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dentity Design to Facilitate Farm Restaurants - Developing menu of barley dishes for Hwanggeum Bori (golden barley) in Gimje, North Jeolla Province

농가맛집의 활성화를 위한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과 적용 - 전북 김제 황금보리 밥상개발을 예로 -

  • Received : 2013.10.01
  • Accepted : 2013.11.05
  • Published : 2013.12.30

Abstract

The rural tourism in Korea is expanding in scope including experience tours and integrating with dining industry these days.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n Korea has been supporting the farm restaurant project across the nation as part of its efforts to utilize local or rural food recipes as tourism resource for seven years. Over the years, however, case studies are rarely done or reported regarding physical environment of farm restaurants. This study offers an opportunity for farm restaurateurs and policy makers relat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brand identity and inner culture contents for the rural community by presenting a case of integrated design marketing. In the study, definitions of the "authentic food"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re compared before farm restaurants at home and abroad are investigated. It also addresses the foundation on the significance of physical environment and design to build a brand identity of authentic food. The case presented is naming, designing and developing logos and design applicable to various product packages for "Hwanggeum Bori Aechan", which is the barley (main crop in Gimje)- dish development project for Gimje, North Jeolla Province in 2012.

Keywords

References

  1. 농촌진흥청, http://www.rda.go.kr, 2012
  2. 오현석, "프랑스 지역개발 정책의 변천과 농촌 개발정책의 제유형," 한국농촌지도학회지, 제 4권, 제 2호, 1997. 12, pp. 431-442.
  3. 박호균, "농촌관광과 지원체계: 이스라엘 사례," 한국농촌지도학회지, 제 9권, 제2호, 2002. 12, pp. 161-171.
  4. 정유경.김맹진.송현주.이명은, "농가맛집의 현황과 지역사회발전을 위한 활성화 방안," 한국식생활 문화 학회지, 제 24권, 제 6호, 2009. 12, pp. 692-701.
  5. Helena S Costa, "New data for traditional foods in Europe, prioritisation, collection and analysis," 7th international food data conference, 2007. 10, pp. 36-37.
  6. Decreto del Ministro per le Politiche agricole 8, n. 350, settrembre, 1999. http://www.regione. veneto.it/web/agricoltura-e-foreste/prodottitradizionali
  7. Jo Marie Powers, Anita Stewart, Northern Bounty: A Celebration of Canadian Cuisine, Random House, 1995, pp. 158-160.
  8. 高森 隆, 幸せレストラン, 農家レストラン, 同友舘, 2010.
  9. 高森 隆, 農家レストランの 繁盛指南, 創森社, 2011.
  10. 농촌진흥청, 농촌의 맛과 이야기가 있는 농가맛집, 2009, p. 2.
  11. 김현철, "향토음식 자원화 사업의 경영성과 및 개선 방안 연구," 농촌진흥청, 2013, p. 12.
  12. 장면주.박덕병, "농촌관광발전을 위한 일본의 지역경영형 농가레스토랑에 대한 고찰," 농촌관광 연구, 제12권, 제3호, 2005, pp. 189-208.
  13. 장면주.박덕병 "일본과 영국의 농가레스토랑 사례를 통한 지역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농촌관광 연구, 제 15권, 제 1호, 2008, pp. 19-29.
  14. 오현석, "프랑스 농촌관광연구," 한국농촌관광학회, 제 13권, 제1호, 2006, pp. 101-127.
  15. Hashimoto A & Telfer David J, Selling Canadian "Culinary Tourism: Branding the Global and the Regional Product," Tourism Geographies, 2006, 8(1): 31-55. https://doi.org/10.1080/14616680500392465
  16. 김창수.이성호.박준호.박경원, "U-정보기술에 기반한 전통문화자원의 명품 관광자산화 방안," 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제 8권, 제 2호, 2012, pp. 145-160.
  17. 제갈연수, "지역축제 선호 유형에 따른 농가 맛집 차별화 방안연구," 숙명여자대학교, 2011.
  18. 이진영.최정숙.박영희.김은미, "농가맛집 운영 유형별 방문객의 기대 인식, 만족도 조사 ," 한국지역 사회 생활과학회지, 제 22권, 제4호, 2011. 12, pp. 689-704.
  19. 이연정.최수근, "경주지역 향토음식에 대한 인식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과 기호도 조사연구," 외식 경영연구, 제7권, 제1호, 2004, pp. 157-174.
  20. 이병오.장면주 옮김, 농가레스토랑 경영과 그린 투어리즘, 강원대학교 출판부, 200. 6.
  21. 이진영, 농가맛집의 지역별 차별화 지원 기술 개발, 농촌진흥청 연구 보고서 2010.
  22. European Commission Council Regulation, No . 509/2006 of 20 March 2006 on agricultural products and foodstuffs as tradition specialties guaranteed.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Union L 93. 2006.
  23. Scott, Noel, R. "Branding the Gold Coast f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tourism markets," Tourism Marketing: Quality and Service Management Perspectives, Continuum, 2002, pp. 197-211.
  24. 권지혁.백승국.손기동, "문화콘텐츠 가치평가의 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9권, 제3호, 2013, pp. 129-144.
  25. 김재철, 지방화시대 관광을 통한 농어촌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4.
  26. 김수인, "전라남도 소재 한식 전문점 상차림 실태 조사 및 개선방안,"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5), 2010, pp. 655-667.
  27. 장혜진, 식사 환경 지표 개발을 통한 식공간 디자인의 모듈연구 - 한식당의 코스식 상차림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