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Deflection Characteristics of Plywood for Wood Based Flooring by Veneer Composition

마루판용 합판의 단판 구성요소에 따른 변형 특성에 관한 연구

  • Pi, Duck-Won (Wood Based Composite Materials Research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ang, Seog Goo (Wood Based Composite Materials Research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피덕원 (충남대학교 환경소재공학과) ;
  • 강석구 (충남대학교 환경소재공학과)
  • Received : 2012.09.19
  • Accepted : 2013.01.19
  • Published : 2013.01.25

Abstract

Since 1990's, a plywood for flooring base has gotten customers' demand. Costs of raw material and production increased because of changed environment of industry. Tropical timber such as Red Meranti (Shorea acuminate) used for raw material of the floor has been depleting beside countries in South Eastern Asia changed species of afforestation. As a result, it gets hard to secure good quality of raw material for plywood. Moreover plywood price is increased suddenly after earthquake in Japan. Eucalyptus (Eucalyptus globulus) in china has been using for raw material as a countermeasure of changed environment of industry. In this study, possibility of using flooring consisted of Eucalyptus veneer as crossband layers was checked by deflection experiments. Flooring consisted of Red Meranti was used for comparison. Two factors which impact on deflection are a type of density gradient and density difference between Long-grain veneer and Short-grain veneer. Red Meranti samples are M type of density gradient on the other hand Eucalyptus samples are W type of density gradient. The more samples have high density difference, the more deformation was checked. A sample which has big density difference between core and cross bands layer warp more also deform. Flooring was deformed smaller than plywood and samples which have big density difference was deformed more.

1980년대 중반 이후 국내 생산이 시작된 온돌마루(이하 합판마루)는 종전의 주택용 바닥재(PVC 바닥재)의 대체재로서 일반 소비자들의 폭발적인 수요를 얻어왔다. 그러나 최근 마루판 산업은 건축경기 악화 및 산업 환경의 변화로 인한 수요의 감소와 그에 따른 생산율의 저하 등의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다. 최근 마루판용 합판의 원재료로 주로 사용된 동남아산 수종의 고갈 및 변화로 인한 양질의 합판원재료 확보가 어려워졌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중국산 유칼립투스를 원재료로 부분적으로 이용한 마루판용 합판의 대체이용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칼립투스 단판을 부심판으로 제조한 복합합판의 마루판용 합판의 원재료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실험을 통해 비교분석하였으며, 모든 단판이 동남아산 Meranti로 구성된 합판을 대조군으로 설정했다. 변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단판 간 밀도차이와 합판의 밀도경사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남양재 시험편은 병판의 밀도가 다른 단판의 밀도보다 큰 M자형의 밀도경사, 유칼립투스 시험편은 반대성향의 W자형의 밀도경사를 나타내었다. 2) 종류에 따른 마루판의 변형은 마루 가공 시험편이 합판상태로 가공을 한 경우보다 최소 0.1~최대 6.25 mm 적게 나타났으며, Density Profile 측정 결과 단판 간의 밀도차가 클수록 변형이 많이 발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석구, 박계신, 이호, 서인수, 이종신, 이화형. 2011. 북미산 흑호두나무 Bi-Sn 용융합금 복합체의 제조와 특성. 한국가구학회지, 22(1): 54∼55.
  2. 김재성, 온돌용 목질마루판의 유통실태 및 시장 확대방안. 2003. 한국산림경제학회. pp. 14-25.
  3. 박종영, 조재성, 윤형운. 1997. 목질판재료 및 목질마루 판의 특성평가(II) - 열적특성 평가 및 온돌모델 시험. 한국목재공학 학술대회. pp. 82-91.
  4. 박종영, 조재성, 윤형운. 1997. 목질판재료 및 목질마루 판의 특성평가(I) - 기계적 성질 및 수분적 특성평가. 한국목재공학 학술대회. pp. 63-73.
  5. 최성용, 한민철, 한천구. 2008. 공동주택 바닥 목재 마루 판 들뜸 하자 사례조사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정기학술 발표대회 논문집.
  6. 이화형, 강춘원, 김남훈 외. 2008. 목재물리 및 역학, 98. 향문사. 서울.
  7. 김준봉, 리신호, 오홍식. 2008. 온돌 그 찬란한 구들문화, 김종석. 청흥. 서울. pp. 398-410.
  8. THE LIVING vol. 173 March 2012. 안규명. 54(5), 바닥재 소비자 불만.
  9. 한국산업규격. 2006. 보통 합판, KS F 3101.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10. 한국산업규격. 2008. 치장 목질 마루판, KS F 3126.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11. Molarne Posch, P., R. Nemeth, and S. Molnar, Testing of pre-fab flooring components.
  12. Forest Products Laboratory, Forest service U. S. Department of Agriculture, Some cause of warping in plywood and veneered products, 19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