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hat is Shared in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of Scientific Gifted Students?

과학영재들은 협업적 문제해결과정에서 무엇을 공유하는가?

  • Received : 2013.12.02
  • Accepted : 2013.12.30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Collective intelligence has been focused because it plays an important role for creating knowledge. In order to solve a problem with collective intelligence, collaborative works sharing information are required.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what informations are shared while 4 science gifted students are asked for scientific explanation to the problem which is cognitive conflict. They have shared presupposition and problem in stage of problem finding, aims and means of problem solving in stage of setting up hypotheses, and constraints for evaluation and results of evaluation in stage of hypotheses evaluation. Our research tells that group can create knowledge through sharing information and make a change of their concepts. Our foundation of these spontaneous conceptual change gives an implication for gifted education.

지식의 생성 주체로서 집단지성이 주목받고 있다. 집단지성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협업이 필요한데 협업을 위한 기본 조건은 정보의 공유이다. 이 연구에서는 4명의 과학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불일치 상황을 제시하고 이를 과학적으로 설명하도록 요구한 후 그들의 문제해결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과학영재들이 협업적 문제해결과정에서 무엇을 공유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과학영재들은 문제발견과정에서 전제와 문제를 공유하였고, 가설 생성과정에서는 문제해결의 목표와 이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수단을 공유하여 가설을 생성하기 위한 조작자 인출에 이용하였다. 생성된 가설이 평가되는 과정에서는 해결방법의 평가기준으로서 제약조건과, 이를 이용한 평가의 결과를 공유하였다. 이는 집단이 생각의 공유를 통해 스스로 지식을 창출하고 자신들의 개념을 변화시켜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제해결과정을 통한 자발적인 개념변화는 영재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미숙, 전미란 (2005). 영재의 리더십 육성을 위한 기초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I): 영재 리더십의 사회적 지대와 구성요인 분석. 수탁연구 CR2005-36, 한국교육개발원.
  2. 김미숙, 박효정, 유효현, 전미란, 박춘성, 손은영 (2006). 영재의 리더십 육성을 위한 기초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II): 리더십 검사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수탁연구 CR2006-44, 한국교육개발원.
  3. 박일우, 김우형, 박주영 (2012). 교양교육에서 인터넷 집단지성의 활용을 위한 제언. 교양교육연구, 6(2), 173-206.
  4. 이선희, 김중복 (2009). 검전기에 (-)대전체를 접촉했을 때 검전기가 띠게 되는 전하의 종류는? 현장과학교육, 3(2), 140-143.
  5. 이지원, 김중복 (2013). 탐색기 과학영재를 위한 동료교수법 기반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영재교육연구, 23(2), 237-256.
  6. 전종희 (2013). 공과대학 대학원에서의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양상 탐색. 교육심리연구, 27(1), 1-34.
  7. 최항섭 (2009). 레비의 집단지성: 대중지성을 넘어 전문가지성의 가능성 모색.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6(3), 287-322.
  8. Clement, J. (2008). Creative model construction in scientists and students: The role of imagery, analogy, and mental simulation. Germany: Springer.
  9. Dunbar, K. (1995). How scientists really reason: Scientific reasoning in real-world laboratories. In R. J. Sternberg & J. E. Davidson (Eds.), The Nature of insight. Cambridge, MA: MIT Press.
  10. Dunbar, K. (1997). How scientists think: Onstatement creativity and conceptual change in science. In T. B. Ward, S. M. Smith & S. Vaid (Eds.), Conceptual structures and process: Emergence, discovery and change (pp. 461-493). Washington, DC: APA Pres.
  11. Libert, B., Spector, J., & Tapscott, D. (2010). 나보다 똑똑한 우리 [김정수 역]. 서울: 럭스미디어. (원본출간년도: 2008).
  12. Lee, J. W., & Kim, J. B. (2012). Shaking Fundamental concept of experts by serious cognitive conflict to the strongly believed phenomenon. Paper presented at the First IHPST Asian Regional Conference, Seoul, Korea.
  13. Lee, J. W., & Kim, J. B. (2013). Treatment of science-gifted students' insight in scientific problem solving. Paper presented at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Gifted Children's 60th Annual Convention. Indianapolis. USA.
  14. Levy, P. (2002). 집단지성 사이버 공간의 인류학을 위하여 [권수경 역]. 서울: 문학과 지성사. (원본출간년도: 1997).
  15. Leadbeater, C. (2009). 집단지성이란 무엇인가 [이순희 역]. 파주: 21세기북스. (원본출간년도 2008).
  16. Saywer, K. (2008). Group genius: The creative power of collaboration. New York: Basic Books.

Cited by

  1. Model-based learning: a synthesis of theory and research vol.65, pp.4, 2017, https://doi.org/10.1007/s11423-016-950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