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초등 발명영재 교수-학습에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이 분석

An Analysis on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Gifted in the Elementary Invention

  • 투고 : 2013.11.20
  • 심사 : 2013.12.30
  • 발행 : 2013.12.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등 발명영재 교수-학습에서 교사와 학생들간의 인식 차이를 조사하여 교수-학습 상호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발명영재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교사와 학생들의 과반수 이상이 발명에 관심이 많아 자발적으로 발명 영재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남자교사들은 의무적으로 담당하거나 여학생들의 경우 부모님이나 교사의 권유로 참여하게 되었다는 응답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명영재 담당 교사들은 발명의 필요성이나 기초 지식, 창의적 아이디어 창출에 관한 수업내용을 많이 다루고 있다고 생각하나, 학생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교사들의 교수에 대한 인식보다 학습은 적게 일어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교수-학습의 괴리현상이 일어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호 평가와 발표, 토론 등의 활동은 교사의 교수의도와 다르게 학생들의 학습에서 잘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발명영재 담당교사들과 학생들의 수업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발명영재 교수-학습에서 나타나는 괴리 현상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교수-학습의 상호작용을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발명영재 수업을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운영하고 학습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교수기법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n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gifted in the elementary inven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appears that although the majority of teachers & students are spontaneously joining in that learning course due to lots of interest, the response rate for how to come in that learning course has been higher in the case of a male teacher being obligatory and female students being recommend by their teacher or parents. Second, the teachers who take disjun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think that they are dealing with the basic knowledge or necessity of the invention and the content of a class for how to create a clever idea. However, it has analysed that phenomenon of estrangement for teaching & learning occur because students meaningfully recognize that learning arise less than the recognition from teaching teacher statistically. Third, it has analysed that the intention of teaching from teachers such as, evaluation, debate, and presentation is not well reflected in student's learning. Finally, it has shown that the class satisfaction from students and teachers is generally higher. Hence, in order to minimize the phenomenon of estrangement, it needs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Moreover a variety of teaching methods should be studied to facilitate learning and systematically manage a invention of the gifted education efficiently.

키워드

참고문헌

  1. 곽영순, 김주훈 (2003). 좋은 수업에 대한 질적 연구: 중등 과학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2), 144-154.
  2. 권낙원, 김동엽 (2008). 교수-학습 이론의 이해. 서울: 문음사.
  3. 김용익, 문대영, 박기문, 박수진, 이주호, 전철만 (2012). 발명영재교육 내용표준 체계의 재구조화 및 타당성.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5(4), 285-305.
  4. 김재춘, 변종효 (2005). '좋은 수업'의 의미에 대한 비판적 검토. 수산해양교육연구, 17(3),373-382.
  5. 김종서 (1973). 교수과정의 분석. 서울: 교육출판사.
  6. 김희필 (2012). 발명 영재 교육의 개념 고찰 및 기술교과 교육에서의 활성화를 위한 실천전략. 교과교육연구, 14(2), 45-62.
  7. 대통령직속 여성특별위원회 (1999). 여학생에 친화적인 과학프로그램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대통령직속 여성특별위원회 용역 연구보고서.
  8. 동효관, 홍준의, 신영준, 김경호, 이길재 (2003). 과학영재가 선호하는 수업형태와 수업환경조사를 통한 수업 전략의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1(1), 16-23.
  9. 맹희주, 서혜애 (2010). 발명영재교육 운영체제별 초등 발명영재 수업내용 및 수업활동 분석. 초등과학교육, 29(1), 1-12.
  10. 문대영 (2013). 발명영재를 위한 교육과정 차별화 내용과 과정.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6(3),77-90.
  11. 박기문 (2013). 발명영재학급 당당교사의 요구에 터한 발명영재교육의 연구영역 조사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6(3), 91-109.
  12. 박기문, 이규녀, 이병욱, 나영민, 이경표, 손다미, 이상현 (2012). 발명영재 교원 및 전문직인식에 기반한 발명영재교육의 방향 탐색. 영재교육연구, 22(1), 1-21.
  13. 박완희 (1994). 수업총론. 경성대학교 출판부.
  14. 서혜애, 정현철, 손정우, 이봉우, 김주후, 맹희주 (2006). 발명영재교육프로그램 개발. CR2006-58. 특허청․한국교육개발원.
  15. 서혜애, 조석희, 김홍원, 정현철, 손연아 (2002). 공교육 차원의 발명영재교육 체제 구출 방안 연구. 수탁연구 CR 2002-29. 한국교육개발원.
  16. 신종호, 서정희, 김용남, 김윤근, 이현주 (2007). 사고유형에 따른 아동과 일반 아동의 학습선호 활동의 차이 연구. 초등과학교육, 25(5), 495-506.
  17. 윤정아, 박은혜 (1998). 유아사회교육에 대한 유아 교사의 개념도 분석. 한국교사교육,15(2), 107-127.
  18. 이대현, 고호경, 유미현 (2012). 고등학교 영재학생들이 선호하는 수학 수업형태와 수업환경. 영재교육연구, 22(1), 23-37.
  19. 이재호, 박경빈, 진석언, 류지영, 안성훈, 진병욱 (2013). 3대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한 미래지향적 발명영재상 정립에 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23(3), 435-452.
  20. 이재호, 박경빈, 진석언, 류지영, 이상철, 안성훈, 진병욱 (2012). 발명영재상 수립을 위한발명영재의 특성 이해. 영재교육연구, 22(3), 551-573.
  21. 임창재 (1996). 학습양식. 서울: 형설출판사.
  22. 조희형, 김희경, 윤희숙, 이기영 (2011).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23. 최유현, 문대영, 강경균, 이진우, 이주호(2008). STEM 기반 발명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효과. 한국기술교육학회지, 8(2), 143-164.
  24. 최유현, 박기문, 이정균, 이정규, 이봉우, 김동하 (2009). 발명영재 담당교사를 위한 교수.학습 모형과 전략 이러닝 콘텐츠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9(1), 199-217.
  25. 최유현, 박기문, 이정균, 이정규, 이봉우, 김동하 (2009). 발명영재 담당교사를 위한 교수.학습 모형과 전략 이러닝 콘텐츠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9(1), 199-217.
  26. Renzulli, J. S. (1997). The enrichment traid model: A guide for developing defensible 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27. Sternberg, R. J. (1997). Mental self government: A theory of intellectual styled and their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31, 197-224.
  28. Davis, G. A., & Rimm, S. B. (1994).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Boston: Allyn and Ba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