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truction of Sin-Seonwonjeon Shrine and Transformation of Deoksoogung and Changdeokgung Palaces' Area During King Kojong's Funeral

고종 장례 기간 신선원전의 조성과 덕수궁.창덕궁 궁역의 변화

  • 장필구 (서울대 대학원, (주)삼아성건축사사무소) ;
  • 전봉희 (서울대 건축학과)
  • Received : 2013.09.05
  • Published : 2013.12.25

Abstract

After king Kojong's death on 21 Jan 1919, Hyodeokjeon, his ritual shrine in Deoksoogung, was moved to Changdeokgung, and Kojong's portrait was enshrined into Sin-Seonwonjeon with other 10 portraits of former kings. Moreover, these two even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s of Palace areas of Deoksoogung and Changdeokgung. As funeral facilities in Deoksoogung were emptied and destructed and Kojong's daughter and concubines left the palace, these areas were divided and the ownership of the land was scattered afterward. On the other hand, Sin-Seonwonjeon and Euihyojeon, moved from Deoksoogung, were reconstructed in the former military base, which was newly added to the Changdeokgung area at that time. And new king Soonjong's daily schedule was focused only on the funeral of Hyodeokjeon, the ritual shrine of his father Kojong, which was moved to Changdeokgung.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those occasions were held during the king Kojong's funeral. This notion differs from former researches in which Deoksoogung had been disposed gradually after Kojong's death. Then, Changdeokgung came to the sole living place for Joseon royal family, and King Soonjong's role was confined to performing traditional ancestral rites.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References

  1. 조선왕조실록, 日記, (일본)官報
  2. 매일신보, 동아일보, 황성신문
  3. 동궐도형, 지적원도(1912), 토지조사서(1912),
  4. 폐쇄지적도, (구)토지대장, 토지대장
  5. 동국여지비고, 李王家財産調査書
  6. 高宗太皇帝明成太皇后祔廟主監儀軌
  7. 高宗太皇帝殯殿魂殿主監儀軌
  8. 高宗太皇帝山陵主監儀軌
  9. 璿源殿影幀修改謄錄
  10. 純明妃殯殿魂殿都監儀軌
  11. 純獻貴殯宮魂宮儀軌
  12. 影幀摸寫都監儀軌
  13. 眞殿重建都監儀軌
  14. 孝定王后殯殿魂殿都監儀軌
  15. 太祖肅宗英祖正祖純祖文祖憲宗影幀摸寫都監儀軌
  16. 계승범, 조선후기 대보단 친행 현황과 그 정치.문화적 함의, 역사와 현실, v.75, 한국역사연구회, 2010
  17. 국립고궁박물관, 덕혜옹주, 2012
  18. 국립문화재연구소, 최후의 진전-창덕궁 신선원전, 2010
  19. 김기훈, 일제하 在日王公族의 형성배경과 관리체제, 부경대 석론, 2009
  20. 김용숙, 朝鮮朝宮中風俗硏究, 일지사, 1996
  21. 김정동, 근대 이후 서울의 '貞洞洞域'의 변천사 연구, 서울학연구, 19호, 서울학연구소, 2002
  22. 문화재청, 덕수궁 복원정비 기본계획, 2005
  23. 문화재청, 덕수궁 덕홍전 융안문 및 행각 복원공사 보고서, 2011
  24. 문화재청, 창경궁 복원정비 기본계획, 2010
  25. 문화재청, 창덕궁 신선원전 수리보고서, 2002
  26. 백광렬, '망한 나라의 국가제사': 식민지기 경학원 석전제를 중심으로, 탈식민주의 연구 속의 '식민지 조선',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9년 상반기 국제워크샵, 2009
  27. 小田省吾, 德壽宮史, 李王職, 1935
  28. 신명호, 德壽宮贊侍室편찬의 '日記' 자료를 통해본 식민지시대 고종의 일상, 奎章閣, 제23집, 2010.4
  29. 신지혜, 조선 숙종대 왕실 喪葬禮設行공간의 건축특성-빈전.산릉.혼전을 대상으로, 경기대 박론, 2010
  30. 안선호, 조선시대 진전(眞殿) 건축 연구, 원광대학교 박론, 2010
  31. 안창모, 덕수궁-시대의 운명을 안고 제국의 중심에 서다, 동녘, 2009
  32. 이강근, 近代期昌德宮건축의 변화-藏書閣所藏建築圖面 을 중심으로, 한국대학박물관협회 학술대회, 한국대학박물관협회, v.2009, n.10, 2009
  33. 이강근, 조선후기 선원전(璿源殿)의 기능과 변천에 관한 연구, 강좌미술사, v.35,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0
  34. 이강근, 창덕궁 의효전에 대한 연구, 항산 안휘준 교수 정년퇴임 기념논문집-미술사의 정립과 확산, v.2, (주)사회평론, 2006
  35. 이강근, 조선후기 璿源殿의 기능과 변천에 관한 연구, 강좌미술사, v.35,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0
  36. 이규철, 대한제국기 한성부 도시공간의 재편, 서울대학교박론, 2010
  37. 이순우, 정동과 각국공사관, 하늘재, 2012
  38. 이철원, 왕궁사, 구황실재산사무총국, 1954
  39. 장경희, 고종황제의 금곡 홍릉 연구, 史叢, 64권, 역사학 연구회, 2007
  40. 장필구, 고종 國葬과 창덕궁 신선원전의 조성, 한국건축 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한국건축역사학회, 2013
  41. 정동련, 조선후기 창덕궁 구선원전 실내구성에 관한 연구, 경기대 석론, 2012
  42. 조재모, 조선시대 국장의 절차와 공간이용,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v.29, n.2, 대한건축학회, 2013.2
  43. 조혜영, 대한제국기 경운궁 선원전 정전의 복원 연구, 명지대 석론, 2013
  44. 최종덕, 조선의 참 궁궐 창덕궁, 눌와, 2009, p.223
  45. 한국학중앙연구소.장서각, 근대건축도면집-도판편, 2009
  46.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47. 한희숙, 구한말 순헌황귀비 엄비의 생애와 활동, 아시아 여성연구, 제45집, 2호,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2006
  48. 홍순민, 조선시대 궁궐 경영과 "양궐체제"의 변천, 서울대 박론,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