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Relationship among Apartment Residents' Outdoor Space Use, Neighborhoodship, and Sense of Community

아파트 거주자의 옥외공간사용, 이웃관계, 커뮤니티의식의 상호관계에 대한 계량적 검증

  • 장동현 (부산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 박수빈 (부산대학교 주거환경학과 및 노인생활환경연구소)
  • Received : 2013.10.01
  • Published : 2013.12.25

Abstract

Apartments or apartment complexes are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general local community by way of a gateway; apartment residents also describe them as "our (their) neighborhood." In a previous study, we examined the planning of outdoor space in apartment complexes and its impact on residents' space use behavior. This study aims to validate the relationship among residents' space use behavior, neighborhoodship and sense of community. A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research were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meaning of outdoor space, neighborhoodship in Korean Apartments, and the definition and the measurement of Sense of community were reviewed. Three hundred and fifty three residents living in four different apartment complexes were questioned as part of the survey and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 planning types, the outdoor space use, neighborhoodship, and sense of community was estimat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causal link between the planning types and use of outdoor spaces, use of outdoor space and neighborhoodship, and neighborhoodship and sense of community through the hypothetical models.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부산대학교

References

  1. 강혜경, 아파트단지의 커뮤니티 디자인을 위한 공동생활공간의 계획방향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2. 계기석, 천현숙, 커뮤니티 중심의 주거환경정비 연구, 국토연구원, 2000.
  3. 대한주택공사, 주거단지 공동체 시설 활성화를 위한 배치계획 연구, 1994.
  4. 박광재, 백혜선, 서수정, 아파트 공동체 실현을 위한 방안 연구,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2001.
  5. 배병렬, 구조방정식모델링-원리와 실제, 도서출판 청람, 2011.
  6. 백혜선, 공동주택단지 옥외공간의 일상생활공간화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박사학위논문, 2002.
  7. 손세관, 역사속의 커뮤니티, 미래의 커뮤니티,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8권, 2002
  8. 신화경, 김영주, 이수진, 조인숙, 아파트 주민의 공동체 의식과 커뮤니티 시설 이용 현황에 관한 사례조사 연구, 한국가족자 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 151-163, 2010.
  9. 양동양, 도시 주거단지 계획, 기문당, 2003.
  10. 이강훈, 김용운, 공동주택 주동의 배치형식에 따른 옥외공간 의 이용실태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마산시 소재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7(3), 27-36, 2005.
  11. 이라영, 신남수, 공동주택단지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광주광역시 공동주택단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5(3), 223-234. 2009.
  12. 이라영, 공동주택 단지의 공동체의식과 외부 공간구성, 전남대학교 건축공학과 박사학위논문, 2009.
  13. 이태경, 고층고밀 아파트 커뮤니티의 지속가능성 평가를 위한 구조모델,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4. 이학식, 임지훈,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6.0. 법문사, 2007.
  15. 장동현, 박수빈, 아파트 옥외공간 배치유형에 따른 공간사용행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8(10), 2012
  16. 천현숙,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거주자 특성과 커뮤니티 특성간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9(1), 143-172, 2001.
  17. 최근열, 장영두, 주민자치를 위한 지역공동체로서 아파트공동 체형성의 가능성과 강화방안,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4(2), 159-180, 2002.
  18. 최재순, 이재준, 주민들의 공동체활성화를 위한 공동주택 공유공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2(1) 2004.
  19. 홍이식, 정재용, 집합주거단지에서 지역성을 통한 커뮤니티 형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2), 27-30, 2004.
  20. Community Science, Sense of Community Index 2 (SCI-2): Background, Instrument, and Scoring Instructions
  21. Davidson W. B. & Cotter P. R.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Community and Subjectivie Well-being: A first look,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9(3), 246-253, 1991. https://doi.org/10.1002/1520-6629(199107)19:3<246::AID-JCOP2290190308>3.0.CO;2-L
  22. Glynn, T. J.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 Measurement and application. Human Relations, 34, 789-818, 1981. https://doi.org/10.1177/001872678103400904
  23. Hillery, G. H. Definitions of Community: Area of Agreement. Rural Sociology, 20, 1955.
  24. MacIver, R. M. Community: A sociological Study-Being attempt to set out the nature & fundamental laws of social life 4th Edition, Frank Cass and Company Ltd, 1970.
  25. Nisbet, R. A., The Sociological Tradition, New York: Basic, 1966
  26. McMillan, D. W. & Chavis, D. M.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s and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 6-23, 1986. https://doi.org/10.1002/1520-6629(198601)14:1<6::AID-JCOP2290140103>3.0.CO;2-I
  27. Peterson N. A., Speer P. W. & Hughey J. Measuring Sense of Community: A Methodological Interpretation fo the Factor Structure Debate,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4(4), 453-469, 2006. https://doi.org/10.1002/jcop.20109
  28. Sarason, S. B. The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Perspectives for community psychology, San Francisco: Jossey-Bass, 19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