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Walking Exercise on Diabetic Parameters and Vascular Compliance in Type II Diabetes Mellitus Patients

걷기 운동이 성인 제 2형 당뇨병 환자들의 당뇨지표 및 혈관탄성도에 미치는 영향

  • 박성모 (동의대학교 체육과학대학 체육학과) ;
  • 김경철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학과) ;
  • 김이순 (동의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 곽이섭 (동의대학교 체육과학대학 체육학과)
  • Received : 2013.11.15
  • Accepted : 2013.12.26
  • Published : 2013.12.30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alking exercise on diabetes mellitus indicator and vascular compliance of type 2 diabetes mellitus adults. Methods The subjects were 2 groups; exercise group(n=11, $age=57.36{\pm}8.74$), non-exercise group(n=10, $age=59.20{\pm}5.81$). Walking exercise five or more times a week, and more than 10,000 steps per day with writing the walking diary ordered to the exercise group. For date analysi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scores were calculated, and independent t-test was performed. Result After 45 days of walking exercise, weight (p <.01), abdominal obesity rate (p <.05), body fat mass (p <.05)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but diabetes indicators and vascular compliance tend to decreased in the exercise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s Walking exercise is effective in improving body composition.

Keywords

References

  1. Tanaka, T., Gjonca E. & Gulliford, M. c.(inpress). Income, wealth and risk of diabetes among older adults: cohort study using the English olongitudinal study of ageing. Eur J public Health. 2011; Equb ahead of print.
  2. 지용석. 임상운동처방. 서울. 21세기 교육사. 2004: 160-168.
  3. 박상규. 당뇨병 발병 전,후 운동 및 식생활 변화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웰니스학회지. 2007; 2: 49-60.
  4. 이상연, 이명섭. 당뇨병에 대한 영양과 운동처방. 중앙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02; 16: 103-122.
  5. 최필병. 장기간의 규칙적인 운동과 약물요법이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당뇨지표, 혈중지질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11; 50: 513-522.
  6. 대한당뇨병학회. 임상당뇨병. 2010; 11.
  7. 최우혁. 고혈압환자의 대동맥 맥파전도속도 결정인자. 운동과학. 2003; 10: 341-345.
  8. 김영설(2009). 당뇨병 알아야 이긴다. 서울 : 홍신문화사.
  9. 유형준. 노인당뇨병, 노인당뇨병대한당뇨병학회 노인당뇨병 소연구회 저. 도서출판 ᄒ.ᆫ의학. 2003.
  10. 이태희. 운동과 당뇨병. 운동학 학술지. 2000; 3: 79-86.
  11. 박준영. 당뇨병 환자의 운동금기 및 주의사항. 운동학 학술지. 2000; 3: 145-154.
  12. 민경완. 당뇨병 환자의 운동 습관에 대한 다기관연구. 운동소연구회심포지움. 제 18차 대한당뇨병학회 춘계학술대회. 2005; 161-162.
  13. 오봉석, 이삼규. 수중운동이 당뇨병 여성 노인의 HbA1c, CRF, HGH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11; 45: 891-900.
  14. 안근희, 안희정, 임강일, 한경아, 민경완. 처음 진단된 제2형 당뇨병 환자의 1일 보수 증가에 의한 당 대사 및 운동 능력의 변화. 대한내과학회지. 2006; 71: 388-395.
  15. 안근희, 한경아, 민경완. 한국인 제2형 당뇨병환자의 운동능력 평가 및 실측한 최대 심박수에 근거한 적절한 운동강도 산출법. 대한당뇨병학회. 2005; 29: 479-485.
  16. 박수창. 당뇨병 환자와 건강인의 맥상과 사상체질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박사학위 논문. 2007.
  17. Schoeller DA, Tylavsky FA, Baer DJ, Chumlea WC, Earthman CP, Fuerst T, Harris TB, Heymsfield SB, Horlick M, Lohman TG, Lukaski HC, Shepherd J, Siervogel RM, Borrud LG. QDR 4500A dual-energy X-ray absorptiometer underestimates fat mass in comparison with criterion methods in adults. Am J Clin Nutr; 2005: 1018-25.
  18. 김철현, 김혜진. 체성분도표를 이용한 남자 엘리트 운동선수와 성인의 체구성과 체질량지수의 위계적 차이.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2012; 14: 73-82.
  19. 김유진, 오상우. 한국인의 남, 녀 직업군별 복부비만과 대사증후군의 위험. 대한비만학회. 2012; 21: 108-114.
  20. 이규성, 김문희. 탄력밴드운동시 NIDDM 환자의 혈장내 Leptin 수준과 Insulin, Glucose 신체구성성분과의 관련성 분석. 운동과학. 2002; 11: 131-143.
  21. 김승석. 유산소성운동과 반신욕처치가 비만 중년남성의 혈액성분, 호흡기 순환기능 및 혈관탄성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정책연구. 2012; 10: 541-550.
  22. 배지철, 김만겸, 김성철, 김홍. 16주간 복합운동프로그램 적용이 고령 남성 노인의 신체구성 심혈관기능 및 최대근력에 미치는 효과. 운동과학. 2010; 19: 381-390.
  23. 정수진, 윤은선, 손태열, 제세영. 레크리에이셔널댄스 운동이 노인여성의 심혈관계 위험인자 및 혈과 구조와 기능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2011; 20: 35-46.
  24. 이현희 ,이지현 ,김성수 ,김주희 ,지용석 ,이중철. 규칙적인 운동이 제 2 형 당뇨병 노인여성의 혈당, 혈중지질 수준 및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2001; 40: 733-747.
  25. Marandi SM, Adadi NG, Esfarjani F, Mojtahedi H, Ghasemi G. Effects of intensity of aerobics on body composition and blood lipid profil in obese/overweight females. Int J Prev Med. 2013; 4: 118-125.
  26. Mashhadi NS, Ghiasvand R, Hariri M, Askari G, Feizi A, Darvishi L, Hajishafiee M, Barani A. Effect of ginger and cinnamon intake on oxidative stress and exercise performance and body composiotion in Iranian female athletes. Int J Prev Med. 2013; 4: 31-35.
  27. 이영실, 문성수. 한국인 당뇨병의 진단을 위한 당화혈색소 측정의 유용성. 대한내과학회지. 2011; 80: 291-297
  28. International Expert Committee. International expert committee report on the role of the A1C assay in the diagnosis of diabetes. Diabetes care. 2009; 32: 1327-1334. https://doi.org/10.2337/dc09-9033
  29. 황승욱. 당뇨병이 없는 성인에서의 당화 혈색소 농도와 관련된 인자. 제주생명과학연구. 2002; 5: 45-55.
  30.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Handbook of exercise in diabetes. 2002.
  31. Chan DT, Watts GF, Irish AB, Ooi EM, Dogra GK. Insulin Resistance and the Metabolic Syndrome Are Associated With Arterial Stiffness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Am J Hypertens. 2013. [Epub ahead of print]
  32. 김일곤. 유산소성 운동 후 혈관탄성의 반응. 운동과학. 2002; 11:. 383-391.
  33. 엄윤섭. 증강점 검출을 이용한 한국인 표준 대동맥경화도 설정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06.
  34. 김은문. 최대운동 후 생리적 회복능력과 혈관탄성도의 관련성.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35. WHO. Guidlines for the treatment of mild hypertension. Memorandum from a WHO/ISH meeting. bulleti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3; 61: 53-56.
  36. American College of Sport Medicine. ACSM's Guidence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5th edition. 1995.
  37. 이수경, 윤성진, 변용현. 운동과 혈관탄성. 스포츠문화,과학연구지. 2008; 14: 1-9.
  38. 문종일, 김선호, 유종상, 윤영복. 12주간 복합운동이 고령 여성의 활성산소, 항산화능력 및 혈관탄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2012; 7: 141-154.
  39. 이종호. 고혈압환자의 일회성 트레드밀 운동에 따른 혈압과 혈관탄성 반응. 한국운동과학회. 2003; 12: 267-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