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trends of green growth and eco-friendliness came to be the core development indicator for the sustainable global environment. Korean government reflected these trends in the main flows of the national development index, and suggested diverse directions for green construction technologies and high quality construction environment through Third master plan for construction environment. However, the efforts to follow these trends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as a step for production phrase are not being considered enough yet.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basic environmental management factors in order to enhance the eco-friendliness of public housing construction sites, and suggested the reasonable conducting parties and process for those respective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the valuable reference in defining the required activities and participants' responsibilities, and improving the work process for systematic on-site environmental management. In applying those results, the discussion should be followed on the executing party of each unit activity and the responsibility assignment for each process. At the same time, the legislation and standard related to environment need to be essentially amended. In the future, the method of evaluating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activities, and the technical solution to environmental problems are to be reviewed as a further research for successful environmental management.
저탄소 녹색성장 및 친환경 트렌드는 미래 지구환경 보존의 핵심 개발지표이며, 정부도 제3차 건설환경기본계획을 발표하면서 녹색건설기술 및 고품질 건설환경 구현을 위해 체계적이고 다양한 추진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생산단계인 건설과정에서의 저탄소 및 친환경적 노력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 주택건설 현장의 친환경성 제고를 위해 기본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활동인 현장의 환경관리 업무요소를 도출하고, 각각의 업무요소에 대한 합리적 수행주체와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체계적인 현장 환경관리를 위해 필요한 수행업무를 파악하고, 수행주체 및 역할분담, 업무수행 프로세스를 합리화하는데 매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실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연구결과로 제시하고 있는 단위업무의 수행주체 및 수행프로세스별 명확한 업무분장에 대한 협의가 반드시 필요하며, 이와 아울러 환경관련 각종 제도 및 기준 현실화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적극적 이행노력과 더불어, 향후 환경관리활동 수행과정 및 결과에 대한 평가방법, 환경요인별 환경문제 발생 시의 기술적 해결방법에 대한 검토도 추가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