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nergy Consciousness and Consumer's Characteristics for Occupants of the Public Rental Housing

임대주택 거주자의 에너지 관련 의식 및 소비특성 연구

  • 유정현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Received : 2013.06.20
  • Accepted : 2013.07.29
  • Published : 2013.07.30

Abstract

Energy saving strategy for public housing is given a sizable portion in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From this reason, the consumer's characteristics and energy consciousness of public housing dweller was derived from field survey for compare with sale housing residents characteristics. Utilities fees (e.g. gas and electric) for public housing residents was about 50 percent of sales housing dweller, but real energy consumption was accounting for 70% of sales housing residents in electric consumption. Among the respondents for public housing dweller up to 80 percentile of end-user comment that they have less demanding utilities fees. Given the major energy saving strategies, such as install EMS, make a teaching tool for children, sale housing residents is more proactive approach to participant energy saving strategies than public housing residents.

본 연구에서는 공사의 중점적 업무인 임대주택 부문을 대상으로 거주자의 에너지 소비실태, 거주 만족도 및 에너지 절약 방안을 분양주택 거주자와 비교를 통하여 그 차이를 분석하고 효율적인 에너지 대응방안을 모색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임대주택 거주자의 에너지 지출 비용은 분양주택 거주자에 비하여 가스, 전력 모두 약 절반 수준으로 조사되었으나, 전력의 경우 실제 소비량의 차이는 약 30% 수준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는 가전기기의 보유수, 용량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양, 임대 모두 현재의 에너지 소비지출에 대한 부담 수준에서 "부담되지 않음", "약간 부담"이라는 응답비율이 전체의 8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삶의 질적 향상 요구와 함께 임대주택 부문에서도 에너지 소비가 증가 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에너지 절약 방안의 효과성과 필요성에 대한 IPA결과 분양주택 거주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임대주택 거주자가 절약에 대한 관심 및 의식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에너지 정보 제공에 대한 부분을 저평가하는 것으로 분석되는 등 임대주택 거주자에 대한 적극적인 에너지 대응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위해서는 에너지 소비에 대한 관심도와 중요도에 대한 의식전환의 계기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임대주택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에너지 관련 교육 및 홍보 등의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선엽, 박천일(2012), "공공임대 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Kyungsung University, 28(2): 79-99.
  2. 에너지경제연구원(2008), 에너지 총 조사보고서.
  3. 임재현, 한상삼, 최신융(2011), "영구임대주택 임차가구의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연구", GRI 연구논총, 3(2).
  4. 임기추(2004), 생활양식이 가정부문 에너지 소비량에 미치는 영향분석, 에너지경제연구원.
  5. 임기추(2008), 에너지 절약정보유형의 가정부문 에너지소비 영향 분석, 에너지경제연구원.
  6. 토지주택연구원(2012), 주택 부문의 에너지 수요 트렌드 분석 연구.
  7. 한국전력거래소(2009), 가전기기 보급률 조사.
  8. 한국전력공사(2010), 한국전력통계.
  9. 건축행정시스템 세움터: http://www.eais.go.kr.
  10. 집단에너지 정보넷: http://www.kienergy.net.
  11. Guerra Santin, O. (2012), "Occupant Behaviour in Energy Efficient Dwellings: Evidence of a Rebound Effect", Journal of Housing and the Built Environment, 1-17.
  12. Guerra Santin, O. (2010), "Actual Energy Consumption in Dwellings", 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 2010.
  13. Mizutani, S. et al. (2006), "Energy Consumption for Different Uses in Housing and Energy Usage : Analysis based on National Scale Questionnaire",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609: 117-124.
  14. Wood, G. (2002), "Dynamic Energy Consumption Indicators for Domestic Appliances; Environment, Behaviour and Design", Energy and Buildings, 35(8): 821-841.
  15. Yuasa, K. et al. (2009), "Energy Saving Potential of Low-Impact Life Style in Residential Buildings",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74(642): 1019-1024. https://doi.org/10.3130/aije.74.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