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음식을 활용한 중국인 관광객 유치전략

A Strategy for Attracting Chinese Food Tourists

  • 도경록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박덕병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Doh, Kyung Rok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
  • Park, Duk Byeong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 투고 : 2013.10.20
  • 심사 : 2013.12.10
  • 발행 : 2013.12.30

초록

본 연구는 음식관광과 관련된 중국인 관광객들의 다양한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농촌관광의 발전을 위한 중국인 음식관광객의 유치방안을 제안하고자 구성되었다. 음식관광과 관련된 주요한 특성으로는 음식관광의 동기, 음식행동, 선택속성, 정보수집의 경로, 농촌에서의 선호음식 등이 조사되었다. 농촌을 방문한 중국인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의 결과, 중국인 관광객을은 평상시와 다른 새로운 음식에 대한 요구로 음식관광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문지역의 음식을 먹는 것이 의미있는 행동으로 간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음식의 선택에 있어서는 음식의 맛, 신선도, 위생상태 등이 주요한 결정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중국인 음식관광객의 유치를 위해 1)지역색이 잘 나타나는 음식상품의 개발, 2)지역농산물과 육류를 바탕으로 하는 다양한 메뉴의 서비스와 간편한 아침식사의 제공, 3) 높은 수준의 음식신선도와 위생 및 청결상태의 유지, 4) 음식의 시각적, 후각적 요소 및 장식에 대한 연구개발 등을 주요한 유치방안으로 제안하고 있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chinese tourists in relation to food tourism. These features includes motivation, travel behavior, attributions, information source, preference about local food and food tourism. Based on the results from empirical investigation, it develop suggestions for attracting chinese tourism to rural area. The results shows that the strongest motivation is to find new food which is different from daily life. Also, they believed that eating local food is meaningful travel behavior. In addition, this study reveals that the attribution of food selection is highly related to freshness, tastes, and sanitation.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 guide to attract chinese tourist to rural area. 1) developing unique and authentic local food, 2) preparing extensive menu with meat and local agricultural products & a light menu for breakfast 3) deliberating about freshness and sanitation, 4) creating good appearance and smell.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석임, & 윤숙자. (2006). 서울 거주 중국인들의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인지도와 기호도 조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1(1), 17-30.
  2. 김용렬, & 윤유식. (2012). 외국인이 본 우리나라 농촌관광, KREI 농정포커스, 제31호. 농촌경제연구소.
  3. 김은혜, & 이민아. (2010). 음식관광에 대한 소비지의 인식 및 요인분석.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5(1) : 83-93.
  4. 김장호. (2012). 음식관광축제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학회지, 18(5), 129-145.
  5. 김지은, & 권용주. (2010). 푸드투어리즘과 여행객의 음식관련 성향간의 관계 연구에 대한 연구. 한국조리학회지, 16(3), 32-50.
  6. 박소현, 이민아, & 장해진. (2011). 중국인 관광객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분석을 통한 음식관광상품 컨셉 요소 도출. 제69차 한국관광학회 학술대회 및 연구논문 발표대회.
  7. 박승현, & 서용석. (2010). 음식관광 결정요인. 관광학연구, 34(6). 149-169.
  8. 서동채. (2010). 한국푸드투어리즘의 활성화 방안 연구. 강원대 박사학위 논문.
  9. 서윤정, 조록환, & 이웅규. (2011). 전통.향토음식을 활용한 푸드투어리즘 개발. 농촌관광연구, 18(1). 117-133.
  10. 서용석. (2009). 진지성 레저로서 식도락 관광의 기대가치와 행동.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1. 신봉규. (2011). 한식에 대한 인식이 이미지, 태도, 충성도 및 세계화 추구성향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2. 안성식, 백만기, & 이현종. (2011). 관광산업에 있어서 음식요인이 관광지 만족 및 관광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23(3), 63-85.
  13. 양성수, 정철, 육운, & 조문수. (2009). 한국음식의 질에 따른 제주 방문 중국관광객의 시장세분화. 관광학연구, 30(5), 387-408.
  14. 윤선희. (2008). 음식관광 관여도와 지역애착도가 여행지 음식추구 성향에 미티는 영향. 대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5. 윤혜려. (2005). 국내 체류 외국인들의 출신지역에 따른 한식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도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3), 367-373.
  16. 이상미. (2010). 음식관광의 참여활동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8), 417-425.
  17. 이소한. (2001). 관광만족에 관한 한.중 비교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이수진. (2010). 신한류콘텐츠 음식관광활성화 방안. 경기개발연구원.
  19. 이인옥. (2010). 음식관광객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이진영. (2009). 외국인 소비자의 한식 선호도와 한식의 관능적 특성 평가. 가톨릭 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1. 정두용. (2010). 음식관광객 유형별 특성 및 동기분석.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진혜란. (2007). 중국인의 한국음식에 대한 인식비교연구: 북경과 상해 거주 한족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한국농어촌공사. (2013). 농어촌자원개발원 내부자료.
  24. 한국관광공사. (2011). 2010년 12월 통계월보. 한국관광공사.
  25. 한국관광공사. (2012). 2011년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한국관광공사.
  26. Hall, C. M. & Sharples, L. (2003). Food Tourism Around the World: Development, Management and Market. Oxford: Butterworth-Heinemann.
  27. Kim, Y. G., Eves, A. & Scarles, C. (2009). Building a model of local food sonsumption on trips and holidays: A Grounded theory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28, 423-431. https://doi.org/10.1016/j.ijhm.2008.11.005
  28. OCTA(Ontario Culinary Tourism Alliance), 2011. Ontario's Four-year Culinary Tourism Strategy and Action Plan: 2011-2015.
  29. Robinson, R. N. S. & Clifford, C. (2011). Authenticity and Festival Food Service Experiences. Annals of Tourism Research. Doi:10.1016/j.annals. 2011.06.007
  30. Ryu, K. & Jang, S. (2006). Intention to Experience local cuisine in a travel destination: the modified theory of reasonalbe action,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Research. 30(4). 507-516. https://doi.org/10.1177/1096348006287163
  31. Sims, R. (2009). Food, place, and Authenticity: Local food and the sustainable tourism experience. Journal of Sustainable Tourism. 17;3. 321-336. https://doi.org/10.1080/09669580802359293

피인용 문헌

  1. 한약과 건강기능식품의 의료담론 분석 - 농촌생산물의 소비담론을 중심으로 - vol.22, pp.4, 2013, https://doi.org/10.12653/jecd.2015.22.4.0465
  2. 관광동기에 따른 관광지 선택속성의 차이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인 관광객을 중심으로- vol.16, pp.2,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6.16.02.365
  3. 농촌관광의 내재적동기와 음식선호에 대한 융복합 연구 vol.7, pp.1, 2021, https://doi.org/10.17703/jcct.2021.7.1.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