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Self-sufficiency's Level and Support Need for it in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농촌 다문화가족의 자립인식 수준과 지원 요구

  • Yang, Soon Mi (Divi. of rural environment & Resources of the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i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양순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촌환경자원과)
  • Received : 2013.11.12
  • Accepted : 2013.12.05
  • Published : 2013.12.30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identifying level of self-sufficiency, and support need for it in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Frist, the level of self-sufficiency in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was the lowest in a information sub-area, whereas it was the highest in a socio-psychological relation sub-area. Second, the chi-square test showed that the level of assistant request for a cost-of-living allowance was high in the multicultural family group received the medical social security(MSS) or not prepared the expenditure for children education or the golden years. Whereas the level of assistant request for the education of marketing or agricultural technology was high in the multicultural family group not received MSS or prepared the expenditure for children education or the golden years. Third, rate of PC ownership in the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was lower than that of national whole. and difference of it according to the living characteristics uch as MS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difference in level of assistant request for children education and social dimension according to the living characteristics such as MS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means that assistant request for children education and social dimension have universality without distinction the living characteristics such as MSS. And to conclude, support for self-sufficiency in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should be selective approach with discriminative or integrational viewpoint according to the living characteristics such as MSS or area of self-sufficiency. Findings of this study may be used as a basic material to establish the policy supporting self-sufficiency in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이 연구의 목적은 농촌 다문화가족의 자립인식 수준과, 자립을 위한 지원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 다문화가족의 자립인식 수준은 정보화영역에서 가장 낮았고, 사회심리관계영역에서 가장 높았다. 둘째, 사회보장 수혜 등 생활특성에 따라 농촌 다문화가족의 경제적 자립지원 요구를 카이자승검증한 결과, 의료보장을 받거나 또는 자녀교육 및 노후준비를 하지 않는 가족은 생활비 보조에 대한 요구가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 반면 의료보장을 받지 않거나 자녀교육 및 노후준비를 하는 가족은 농산물 판매교육, 농업기술교육, 창업지원에 대한 요구가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 셋째, 농촌 다문화가족의 PC보유율은 도시가족 보다 낮으며, 사회보장 수혜 등 생활특성에 따른 PC보유율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넷째, 사회보장 수혜 등 생활특성에 따른 다문화가족 자녀교육 또는 사회적 지원 요구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는데, 이러한 것들에 대한 요구가 다문화가족 전반을 포괄하는 보편성을 지님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농촌 다문화가족에 대한 자립지원은 생활특성별, 영역별로 차별적이거나 통합적으로 접근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농촌 다문화가족의 자립을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질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용노동부. (2000). 자활지원사업 질의 회의집. 과천: 고용노동부.
  2. 김민정. (2002). 국립재활원 자립생활프로그램 평가. 재활의 샘 15호. 101-127.
  3. 김정연, 하지선, & 김인숙. (2011), 시설 십대 청소년의 "자립" 척도 개발: 십대 여성 지원 시설 입소 및 이용자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3(2), 23-53.
  4. 노대명. (2010). OECD사회지표중 자립지표의 분석. 보건복지포럼(2010.9), 128-138.
  5. 데일리중앙. (2011). 컴퓨터 보급률도 지역별 '부익부 빈익빈'(2011. 4월 26일자).
  6. 동아일보. (2012). 다문화가족, 농촌 고령화 늦추고 출생률 높여(2012. 1월 3일자).
  7. 박경숙, & 박능후. (2001). 저소득층 여성가장 생활실태 조사 및 자활 프로그램 개발. 수원: 경기도 2.
  8. 보건복지부. (2010). 2009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연구. 서울: 보건복지부.법무부.여성부.한국보건 사회연구원.
  9. 양순미. (2001). 농촌가족의 건강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0. 양순미. (2006a).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적응정책의 모색. 한국자치행정연구. 제5호. 111-127.
  11. 양순미. (2006b). 농촌 국제결혼부부의 적응 및 생활실태에 대한 비교분석: 중국, 일본, 필리핀, 이주여 성 부부중심. 농촌사회, 16(2), 151-179.
  12. 양순미. (2008). 농촌 다문화가족의 농업 및 사회참여활동 프로그램 개발 연구. 수원 : 2008농촌진흥청 국립 농업과학원 시험연구 보고서.
  13. 양순미. (2011). 문화산업사회를 디자인하는 다문화테마사업 가이드 북. 수원: 농촌진흥청.
  14. 양순미, & 유영주. (2002). 농촌부부의 배우자에 대한 역할 기대, 역할수행평가, 역할상이성이 결혼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1), 75-91.
  15. 양순미, & 정현숙(2005). 농촌가족의 건강성에 관한 종단적 비교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3), 27-46.
  16. 오혜경. (1998). 장애인 자립생활 실천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리뷰, 3, 39-63.
  17. 유계숙. (1996). 가족테이터의 통계적 산출 및 분석방법에 관한 탐색적 고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1), 11-20.
  18. 이상록. (2007). 중증뇌성마비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 지학과 석사학위논문.
  19. 이자성. (2011). 정보화마을의 자립운영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경상남도 정보화 마을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3(1), 193-216.
  20. 이양호. (2009). 새터민 정책 개선에 관한 연구: 경제적 자립 지원 정책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1. 이연숙. (1999). 실내디자인 양식사.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22. 이형하, & 조문탁. (2004). 한국 자활사업의 자활효과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경제적, 사회적, 정서적 자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20(1), 217-244.
  23. 임선희. (2010). 결혼이주여성의 경제적 자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동양대학교 정보대학원석사학위논문.
  24. 최명숙. (2005). 저소득 여성세대주 가정의 자립지원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 석사학위논문.
  25. 최종희. (2010). 사회적 지지가 자활대상자의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6. 타니구치아키히로, & 타케다야스하루. (1999). 자립생활은 즐겁고 구체적으로. 서울: 나눔의 집.
  27. 통계청. (2011). 혼인이혼통계 자료.
  28. 허태헌. (2005). 자활산업 참여자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Hawkins, R L. (2002), How Low-Income Single Mothers leave Welfare for self-sufficiency : The role of psychosocial characteristices,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Brandeis University.
  30. Johnes, K. (1993). Asylums and After: A Revised History of the Mental Health Service: from the early 18th century to the 1990s. London: The Athlone Press.
  31. Gorge, V. & Wilding, P. (1984). Impact of Social Policy.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32. Pearce, D., Brooks, J. & Quttz, J. H.(1997). The Self-Sufficiency Standard for Pennsylvania-selected family types. Wider Opportunities for Women. Washington : Inc, Women's Association for Women's Alternat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