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아의 자기 결정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유아의 놀이성,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력을 중심으로

Determinants of Preschoolers' Self-determination: Focus on their Playfulness,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 박근주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학전공) ;
  • 서소정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 투고 : 2013.08.22
  • 심사 : 2013.10.22
  • 발행 : 2013.10.31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관련된 주요 변인으로 자율성을 공통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자아존중감, 놀이성 및 자기조절력으로 구성하였으며, 특히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유아의 놀이성과 자기결정력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4,5세 유아 126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자기결정력, 자기조절력은 교사가 관찰한 경험을 근거로 설문하였으며, 자아존중감은 담임교사가 유아에게 직접 질문하여 평정하였고, 유아의 놀이성은 연구자에 의해 현장 관찰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은 유아의 자아존중감, 놀이성, 자기조절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유아의 놀이성과 자기결정력 사이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eschoolers' levels of playfulness,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on their self-determination. Furthermore, the mediational effects of the children's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layfulness and self-determination. To meet the purposes of this study, 126 preschoolers aged 6-7 years old who attend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settings were sampled. Data on the preschoolers' self-esteem, self-regulation, and self-determination were assessed by their teachers, and their playfulness was observed by one of the researchers in this stud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on the young children's self-determination was found to be their levels of self-esteem. Also, the preschoolers' self-esteem mediated the effects of the playfulness on their self-determination.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along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민주, 심미경(2011).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공감능력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32(4), 203-216.
  2. 고윤지, 김명순(2013). 유아의 놀이성, 놀이주도성 및 의사소통능력 수준에 따른 놀이행동. 한국아동학회, 34(1), 175-189. https://doi.org/10.5723/KJCS.2013.34.1.175
  3. 고현경(2010). 만 4, 5세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부모의 자아존중감의 경향 및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명순, 김길숙, 박찬화(2012). 유아용 놀이성 평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33(2), 69-89.
  5. 김문혜, 강문희(1999). 아동의 자아존중감 관련변인의 인과모형 분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 김연희, 박경자(2001).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및 귀인 성향과 아동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2(2), 49-64.
  7. 김희화(2009). 청소년 초기의 또래동조성과 비행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감독 및 친한 친구 비행의 중재효과. 청소년학연구, 16(7), 127-147.
  8. 나옥선(2009). 유아 주도적 그룹게임이 주도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류가애(2009). 영재아와 일반아의 자기결정성동기와 자기조절학습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류숙렬(2002). 자기결정 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경도장애 학생의 자기결정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1. 박경빈, 권혁민(2011). 영재아와 일반아의 독서성향과 진로태도성숙 및 자기주도적 학습 특성의 관계. 영재교육연구, 21(1), 1-17.
  12. 박지영(2012). 교사용 유아 의사결정력 검사개발 및 타당화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3. 성수현(2008).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성은현(2005). 자아존중감,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인성의 관계. 아동학회지, 26(1), 217-228.
  15. 오숙현(2005). 자기표현활동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6(5), 165-183.
  16. 윤인숙(2012). 아동이 지각한 모의 양육태도와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관계-기본 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이경하(2009).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이 영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이미봉(2004). 자기결정동기와 자기조절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이미정, 도현심, 지연경(2011). 부와 모의 통제가 남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자율성의 매개적 역할. 아동학회지, 32(5), 67-84.
  20. 이석영(2009).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동기, 학업성취간의 관계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이성희(2008). 만5세반 유아의 자유선택활동시 의사결정 상황과 반응.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3(2). 277-298.
  22. 이수영(2012). 자기결정력 증진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적용 논문의 유목별 경향분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이양순, 정영숙, 이기영(2006).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또래 유능성. 한국보육지원학회지, 2(1), 41-63.
  24. 이은주(2001). 몰입에 대한 학습동기와 인지전략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5(3), 199-216.
  25. 이정화,최인수,이수련(2010). 유아의 인지수준에 따른 협동학습의 효과: 사회적 능력과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1(2), 17-34.
  26. 이혜주(2008). 아동의 자기조절 학습전략과 관련이 있는 자기결정성 동기 유형 분석. 아동학회지,29(3), 273-288.
  27. 임연진,안효진(2008).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친사회적 행동 수준에 다른 놀이성. 한국보육지원학회지,4(1), 1-14.
  28. 임지현(2007). 자기결정성 수준에 따른 동기유형과 학업성취, 학업유능감, 자기조절학습 능력과의 관련성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정희선, 박성연(2010). 가정 분위기 및 또래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1(1), 19-33.
  30. 조현철(2000). 자기결정력 학습동기의 학습전략과 학습활동에 대한 관련, 교육학연구, 38(1), 95-121.
  31. 지성애, 김영옥, 박희숙(2003). 유아의 자아존중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학논집, 7(1), 43-67.
  32. 최미경(2011).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32(2), 105-121.
  33. 최미숙, 강은영, 최명희(2009). 유아의 마음이론과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3), 195-218.
  34. 최혜주, 문수백(2012). 학령기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관련변인간의 관계구조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4), 435-451.
  35. 허윤선(2006). 유아의 놀이성과 유치원 적응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홍영희(2006).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와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발달.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황미영(2008). 어머니의 통제유형과 유아의 자기조절력 간의 조화적합성이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황윤세(2013), 놀이 계획-실행-평가 활동에서의 유아의 의사결정력: 혼합연구방법론의 적용. 열린유아교육연구, 18(1), 19-39.
  39. 황윤세, 이혜원(2005). 유아의 정서지능 및 사회적 유능감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6(6), 335-349.
  40. Arce, E. M. (2000).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An introduction. NY : Delmar.
  41. Barnett, L. A. (1991). The playful child: Measurement of a disposition to play. Play & Culture, 4, 51-74.
  42.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gy, 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43. Deci, E. L., & Ryan, R. M. (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ew York: Plenum Press.
  44. Derryberry & Rothbart (1988). Arousal, affect and attention as components of tempera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5, 958-966. https://doi.org/10.1037/0022-3514.55.6.958
  45. Field, S.& Hoffman, A(1996). Steps to Self-Determination: A Curriculum to Help Adolescents Learn to Achieve Their Goals. Austin, TX: Pro-Ed.
  46. Harter, S. (1982). The 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children. Child Development. 53, 77-87.
  47. Harter, S. (2006). The self.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3.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pp. 505-570). NJ : Wiely.
  48. Hoffman, M. L. (1984). Empathy, its limitations and its role in a comprehensive moral theory. In W. M. Kurtines & J. L. Gewirtz, Morality, moral behavior and moral development (pp.283-302). New York: Wiley.
  49. Grolnick, W. S., & Apostoleris, N. H. (2004). What makes parents controlling? In E. L. Deci, & R. M. Ryan (Eds.), Handbooks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162-179) Rochester: The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50. Kopp, C. B. (1982). Antecedent of Self-Regulation: A Development perspec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18(2), 199-214. https://doi.org/10.1037/0012-1649.18.2.199
  51. Ryan, R, M. & Deci, E. L. (2002). Self 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 being. American Psychologist, 55, 68 78.
  52. Seo, S. (2003). Mathernal self-efficacy, quality of parenting, and child developmental outcomes among mothers of young children from Early Head Start. Unpublished Doctoral Disscrtat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East Lansing. MI.
  53. Wehmeyer, M. L.(1997). Self-determination as an educational outcome; A definition framework and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Journal of Development and Physical Disability, 9(3), 175-209. https://doi.org/10.1023/A:1024981820074
  54. Whiteman, T. L. (1990). Self-regulation and mental retardation.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94(4), 347-362.
  55. Wolman, J., Campeau, P. L., DuBois, P. A., Mithaug, D. E., & Stolarski, V. S. (1994). AIR self-determination scale and user guide. Palo Alto, CA: American Institues for Research.

피인용 문헌

  1. 유아의 자기결정력 관련변인에 대한 구조분석 : 유아의 자아존중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vol.10, pp.6, 2013,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6.025
  2. 유아의 놀이성, 자기조절능력, 자아탄력성 간의 구조적 관계 vol.36, pp.3, 2015, https://doi.org/10.5723/kjcs.2015.36.3.155
  3. 유아의 혼자놀이와 자기조절력이 사회적 놀이에 미치는 영향 vol.39, pp.5, 2019,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5.004
  4. 어머니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놀이시간의 매개역할 vol.16, pp.3, 2020,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3.059
  5. The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Anxiety on Preschoolers’ Self-Determination: Task Supportive Behaviors as Mediator vol.42, pp.2, 2021, https://doi.org/10.5723/kjcs.2021.42.2.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