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분한 외(1999).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Giori, Colaizzi, Van Kaam방법을 중심으로-. 대한간호학회지, 29(6), 1208-1220.
- 김영천(2006).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문음사.
- 김은숙, 한미라(2009).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기록작업에 대한 교사 인식의 변화. 경남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지선(2011). 수업반성을 통한 교육과정 실행자로서의 교사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연구, 29(1), 187-208.
- 김희연(2004). 실행연구자(action researcher)로서의 유아교사: 유아교사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일고. 유아교육연구, 24(6), 235-255.
- 서동은(2009). 하이데거와 가다머의 예술이해. 서울:누멘
- 서혜정, 김은영(2012). 자유선택활동시간에 교사역할을 찾아가는 현장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6(5), 163-188.
- 성열관(2005). 반성적 교사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실천연구, 교육과정연구, 23(1). 261-282.
- 성열관 (2006). 교육과정 실행연구의 성장과 주요 특징에 대한 이론적 고찰. 교육과정연구, 24(2).87-109.
- 손유진, 정혜영, 손원경(2008). 현장개선과 실행연구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3), 455-476.
-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2008).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안지혜(2011). 교사와 부모 간 프로젝트 일지 공유의 의미.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 안지혜(2012). 프로젝트 일지쓰기 과정에서 경험하는 교사됨의 의미. 유아교육연구, 32(4), 341-363.
- 안혜준(2010). 유아교사의 반성적 정서저널쓰기 과정의 의미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4(4), 287-314.
- 염지숙(2011). 교육과정 실행 주체로서의 유치원 교사의 역할과 전문성. 유아교육학논집, 5(6), 295-310.
- 오채선(2009). 질적연구의 계획과 설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추계학술논문집. 621-635.
- 이경진, 김경자(2005). '실행'을 중심으로 본 교육과정의 의미와 교사의 역할. 교육과정연구, 23(3), 57-80.
- 이근호(2007). 질적연구방법론으로서의 현상학-독특성과 보편성 사이의 변증법적 탐구양식-. 교육인류학연구, 10(2). pp.41-64.
- 이부미(2007). 공동육아 어린이집 교사의 실천적 지식구성과정에 대한 현장연구: 연못활동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1(2), 5-46.
- 이부미(2009). 생태론적 세계관,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 한국유아교육과정, 아이와 교사를 행복하게 하는가?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자료집, 25-52.
- 이부미(2010). 공동육아 교사들의 협력적 실행연구 경험에 대한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4(3),123-171.
- 이용숙 외(2005). 실행연구방법. 서울: 학지사.
- 이진화(2004). 유아교육 교수-학습의 질적향상을 위한 현장연구(action research)의 효용성 탐색. 교육과학연구, 35(2), 105-120.
- 이혁규(2005). 교육현장 속으로 들어온 실행연구 논문읽기. 초등우리교육, 18, 118-122.
- 이혁규(2009). 교육현장 개선을 위한 실행연구방법. 교육비평, 25, 196-213.
- 장상호(1997). 학문과 교육(상).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 장석주(2012). 일상의 인문학. 서울: 민음사.
- 정민(2010). 한시미학산책. 서울: 휴머니스트.
- 정민(2012). 일침. 파주: 김영사.
- 조재식(2002a). 연구자로서의 교사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 교육인류학연구, 5(2), 191-222.
- 조재식(2002b). 교육과정 실행과 교사의 일: 현상학적 접근. 교육과정연구, 20(1). 229-252.
- 조정호(2002). 현장연구의 새로운 방향에 대한 고찰-지정토론. 한국교육인류학회 춘계 학술대회, 29-32.
- 진권장(1999). 교육경험의 의미에 관한 해석학적 이해. 교육인류학연구, 2(1), 123-169.
- 한국문화인류학회(2003). 처음만나는 문화인류학. 서울: 일조각.
- 한전숙(1998). 현상학. 서울: 민음사.
- 황광우(2012). 철학하라. 서울: 생각정원.
- Atkinson, S. (1994). Rethinking the principles and practices of action research: The tensions for the teacher-researcher. Educational Action Research, 2(3), 383-401. https://doi.org/10.1080/0965079940020306
- Bruner, J. (1996). The culture of educa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 Clandinin, D. J. (1985).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A study of teacher's classroom image. Curriculum Inquiry, 15(4), 361-385. https://doi.org/10.2307/1179683
- Eisner, E. (1988). The primacy of experience and the polities of method. Educational Researcher, 20, 15-20.
- Elliott, J. (1991). A Practical guide to action research.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 Gadamer, H. G. (1993). Truth and Method. London: Sheed and Ward.
- Grundy, S. (1994). Action research at the school level: possibilities and problems. Educational Action Research, 2(1), 23-38. https://doi.org/10.1080/09650799400200007
- Kemmis, S., & McTaggart, R. (2000).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In N. Denzin & Y. Lincoln(Ed.),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2nd ed.)(pp. 568-569). Thousand Oak, London: Sage Publication, Inc.
- Mills, G. E. (2005). 교사를 위한 실행연구. (강성우, 부경순, 심영택, 양갑렬, 이경화, 이혁규, 임진영, 허영식 옮김). 서울: 우리교육(원판 2003).
- Noffke, S. (1994). Action research towards the next generation. Educational Action Research, 2(1), 9-21. https://doi.org/10.1080/09650799400200010
- Padget, D. K. (2001). Qualitative Method in Social Work Research: Challenges and rewards.
- Patton, M. Q. (2002).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3rd ed). Thousand Oak, CA:Sage.
- Ricoeur, P. (1981). In J. B. Thompson (Ed), Hermeneutics and the Human Science.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 Squire, F. (1999). Action research & Standards of practice for the teaching profession: Making connections. Ontario Action Researcher, 2(12), 1-11.
- Stenhouse, L. (1975). An introduction to curriculum research and development. London: Educational Books.
- Van Manen, M. (1990).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 Winter, R. (1989). Learning from experience: Principles and practice in action-research. London: The Falmer Press.
- Zeichner, K. (2001). Educational Action research, In H. Bradbury, & P. Reason(Eds), Handbook of Action Research, 273-284. Newbury Park: Sage.
- Zeichner, K. (2003). Teacher research as professional development. Educational Action Research, 3(2), 295-324.
Cited by
- The Effect of SNS Use by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PBL-Based Class on the Flow and Problem-Solving Skills vol.10, pp.6, 2014,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6.165
-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of action research in the area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1, pp.2, 2013, https://doi.org/10.16978/ecec.2016.11.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