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보육교사의 반성적 저널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분석 : 그림책 활동을 중심으로

Analysis of Children's Social Efficacy Appearing through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 Focusing on Picture Book Activities

  • 투고 : 2013.04.15
  • 심사 : 2013.08.17
  • 발행 : 2013.08.31

초록

본 연구는 그림책 활동을 중심으로 보육교사의 반성적 저널쓰기를 통해 나타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A시에 위치한 G어린이집 만 3, 4, 5세반 교사 3명과 유아 47명이다. 교사들은 20회기에 걸쳐 유아들과 그림책 활동을 실시하면서 매회기 반성적 저널을 작성하였다. 수집된 반성적 저널을 통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요인인 정서성, 정서조절, 대인관계기술, 사회적 지식이해에 따른 저널을 분류, 텍스트 내용을 추출하여 질적으로 해석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유아들은 자신의 정서를 자연스럽게 표출하였으며, 이러한 정서성은 친구들과 함께 생활하는 동안 배워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들은 공감과 감정이입으로 자신의 정서를 인식하고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들은 서로의 생각의 차이를 통해 틀림이 아닌 다름을 인정하고 수용하며 대인관계능력을 형성해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들은 친구들을 사회적 구성원으로 이해하고 존중하고 격려하며 변화해 나가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ocial efficacy of children shown in reflective journal writing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focusing on picture book activities. The subjects were 47 3, 4 and 5 year old children in G Child Care Center in the Capital Area. Teachers were asked to do 20 picture book activities and to write a journal according to reflective thinking after each picture book activity. Through the reflective journals collected, this study attempted to interpret and analyze them qualitatively by classifying the journals and yielding text contents according to factors for children's social efficacy such as emotionality, emotion control,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chnique, and social knowledge understanding.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children expressed their emotion naturally and that they learned their unique emotionality while they lived together with their friends. Second, it was found that children perceived and controlled their own emotions by using their sympathy and empathy. Third, it was found that children recognized and accepted that they are different rather than the counterparts are wrong through their differences in each other's thoughts to compose the cap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urth, it was found that children improved themselves by their understanding, respecting and accommodating their friends as members of societ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경중(2003). 유아교육과 아동문학. 신아출판사.
  2. 김종순(2012). 유아의 독서프로그램이 정서지능과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가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 호, 서선진(2009).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저널에 나타난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분석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5), 205-227.
  4. 박은혜(1999). 유아교사교육에서 저널쓰기 활용에 대한 고찰. 한국교사교육, 16(2), 195-216.
  5. 석은조(2006). 저널 쓰기가 예비 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수준 향상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14), 373-396.
  6. 성은영(2006). 반성적 사고중심의 발문 개선교육 과정에 나타난 교사의 발문변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7. 안혜준(2010). 유아교사의 반성적 정서 저널쓰기 과정의 의미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4(4), 287-314.
  8. 염연정(2009).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협동적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오윤주(2009).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이영석, 이세나(2004). 유아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소고: 반성적 사고를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4), 229-254.
  11. 이완희(2008). 반성적 저널쓰기 경험이 유아 초임교사에서 주는 의미. 인문과학연구 16, 133-158. 안양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2. 이우영(2007). 유치원에서의 그림책 활용에 대한 실태분석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이은화, 배소연, 조부경(2000). 유아교사론. 서울: 양서원.
  14. 이찬숙, 조경선, 현은자(2011). 정보 그림책 혹은 이야기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 프로그램이 유아의 쓰기능력과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67, 167-191.
  15. 이혜원(2005). 교사용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평가척도 개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6. 임경심(2009). 유치원 교육실습에서 반성적 저널쓰기가 에비교사의 교육신념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한수란, 황해익(2007). 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 경험을 통한 교수행동의 변화. 열린유아교육연구, 12(2), 161-183.
  18. Austin, E. J., Farrelly, D., Black, G., & Moore, H. (2007). Emotional intelligence, Machiavellianism and emotional manipulation: Does EI have a dark sid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3, 179-189. https://doi.org/10.1016/j.paid.2006.11.019
  19. Bain, J. D., Ballantyne, R., Packer, J., & Mills, C. (1999). Using journal writing to enhance student teachers' reflectivity during field experience placements. Teachers & Teaching, 5(1) , 51-74. https://doi.org/10.1080/1354060990050104
  20. Brackett, M. A., & Mayer, J. D. (2003). Convergent, discriminant, and incremental validity of competing measures of emotional intelligenc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9, 1147-1158. https://doi.org/10.1177/0146167203254596
  21. Cassidy, K. W., Werner, R. S., Rourke, M., Zubernis, L. S., & Balaraman, G.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understanding and positive social behaviors. Social Development, 12, 199-221.
  22. Cole, P. M., Usher, B. A., & Cargo, A. P. (1993). Cognitive risk and its association with risk for disruptive behavior disorder in preschoolers.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2, 154-164.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2202_3
  23. Dewey, J. (1986). 사고하는 방법. (임한영 옮김). 서울: 범문사(원판 1933).
  24. Hartup, W. W. (1991). Having friends, making friends and keeping friends: Relationships as educational context. Early Report. Minneapolis, MN: Center for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University of Minnesota.
  25. Katz, L. G., & McClellan, D. E. (1997). Fosteri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teacher's role. 8(1), NAEYC Research into Practice Series.
  26. Kerka, S. (1996). Journal writing and adult learning. ERICED 399-413.
  27. Lafreniere, P. J., & Dumas, J. E. (1995).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r evaluation, preschool edition(SCBE). Los Angeles, CA: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28. McAlpine, L. (1992). Learning to reflect: Using journals as professional conversation. Adult Learning, 3(4), 15-24.
  29. Parker, J. G., & Asher, S. R. (1987). Peer acceptance and later adjustment; "Are low accepted children at risk?" Psychological Bulletin, 102, 357-389. https://doi.org/10.1037/0033-2909.102.3.357
  30. Pellegrini, A. D., & Bjorklund. D. F. (1998). Applied child study: A developmental approach, Mahwah, NJ: Lawrence Erlbaum.
  31. Schickedanz, J. (1990). Adam's righting revolutions: One child's literacy development from infancy through grade one. Portsmouth, NH: Heinemann Educational Books, Inc.
  32. Surbeck, E., & Han, E. (1993). Becoming a child sensitive teacher: Cal journal Writing help.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0(2), 2-9.

피인용 문헌

  1. 유아교사가 생각하는 만 3세 교실에서 '책을 통한 유아들 간의 의견나누기' 활동에 대한 교육적 의미 vol.9, pp.6, 2013, https://doi.org/10.14698/jkcce.2013.9.6.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