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이용한 한.양방 의료의 보완 및 대체관계 분석

Identifying Complementary and Substitute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using Korea Health Panel dataset

  • 최병희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학정책연구센터) ;
  • 김동수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래정책부) ;
  • 유왕근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복지대학 보건학부) ;
  • 윤영주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동서협진의학과) ;
  • 권영규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양생기능의학부) ;
  • 이상재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양생기능의학부) ;
  • 임병묵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인문사회의학부)
  • Choi, Byunghee (Korean Medicine Policy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 Kim, Dong-Soo (Policy Division,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 Yoo, Wang-Keun (Department of Health Care Management, College of Health & Therapy, Daegu Haany University) ;
  • Yun, Youngju (Department of Integrative Medicine,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won, Young-Kyu (Division of Longevity and Biofunctional Medicine,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Jae (Division of Longevity and Biofunctional Medicine,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im, Byungmook (Division of Humanities and Social Medicine,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3.10.30
  • 심사 : 2013.12.23
  • 발행 : 2013.12.31

초록

Objectives: Korea has a dual medical system wher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KM) and Western Medicine (WM) exist au equal terms with exclusive practice boundari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omplementary and substitute relationships between KM and WM in Korea. Methods: The data of 19,413 respondents were collected from the 2009 Korea Health Panel dataset.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medical utilization of respondents were analyzed descriptively. the Univariable Analysis was used to compare the factors that affected KM and WM utilization, and the Multivariable Analysis was applied to identify complementary or substitute relationships between the respondents' choices for KM and WM.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even disease groups; diseases of nervous system, circulatory system, respiratory system, digestive system, skin and subcutaneous tissue, musculoskeletal system, and connective tissue, injury, poisoning and others. Results: 13.6% and 76.9% of respondents used KM and WM respectively last 12 mouths. 12.7% used both, and 0.9% used KM only. In overall, respondents who visited KM institutions used also WM. However,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hoices of medical institutions, non-pharmacological KM treatment and WM has been used as a substitute for another in the diseases of the skin and subcutaneous tissue, diseases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and connective tissue, injury, poisoning and others. Conclusions: Despite some exceptional disease areas, Korean people use KM complementarily to WM, and this result can rationalize the recent Korean government policies encouraging the cooperation of KM and WM. This study can he used for the future policies development for KM service delivery.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영규, 이현지. 한.양방협진에 대한 의료전문직의 태도.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6;20(1); 10-14.
  2. 정인숙, 임병묵, 이원철. 한.양방협진에 대한 의.한의.간호대학생의 태도비교.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10;14(1):25-35.
  3. 류지선, 임병묵, 조병만, 이원철, 윤태호. 협진병원 근무 의사들과 종합병원 근무 의사들의 양.한방 협진에 대한 인식도.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9;13(3):29-41.
  4. 정우열, 동서의학 기초이론의 비교연구(1)- 동서의학의 만남과 융합-. 제3의학 2000;5(1): 51-83.
  5. 이태형, 이병욱, 김남일. 통합의학의 정의 고찰 및 국내 관련 연구 분석. 한국의사학회지 2010;23(2):57-69.
  6. 최병희. 만성질환자들의 통합의료이용에 미치는 요인.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7. 이원철 외. 주요 난치성 질환에 대한 한.양방 협진의 임상효과 검증 및 한.양방 협진 의료기관의 운영모형 개발. 보건복지부. 2001.
  8. Andersen R. M, Newman J. F. Societal and individual determinants of medical care utilization in the United States.The Milbank Memorial Fund Quarterly Journal 1973;51 (1):95-124. https://doi.org/10.2307/3349613
  9. Andersen R. M., Aday L. A. Access to medical care in the US : realized and potential. Medical Care 1978;16(7):533-546. https://doi.org/10.1097/00005650-197807000-00001
  10. Sable M.R, Wikinson D.S.The role of perceived stress on prenatal care utilization : implications for socialwork practice. Health and Social Work 1999;24(2):138-146. https://doi.org/10.1093/hsw/24.2.138
  11. Andersen R., Bozzette S., Shapiro M., Clair P. S. Access of vulnerable groups to anti retroviral therapy among persons in care for HIV disease in the United States. Health Services Research 2000;35(2):389-416.
  12. 지선하. 흡연이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2.
  13. 박현애, 송건용. 의사방문회수의 결정요인 분석. 보건행정학회지 1994;4(2):58-76.
  14. 주경식, 김한중, 이선희, 민혜영. 도시농촌간 의료이용 수준의 비교분석. 예방의학회지 1996; 29(2):311-329.
  15. Paramore L. C. 1997. Use of alternative therapies: estimates from the1994 Robert Wood Johnson Foundation National Access to Care Survey.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1997;13(2):83-89. https://doi.org/10.1016/S0885-3924(96)00299-0
  16. Astin J. A. Why Patients Use Alternative Medicine: Results of a National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998; 279(19):1548-1553. https://doi.org/10.1001/jama.279.19.1548
  17. Eisenberg D. M., Davis R. B., Ettner S. L., Appel S., Wilkey S., Van Rompay M., Kessler R. C. Trends in alternative medicine use in the United States, 1990-1997: results of a follow-up national survey. JAMA 1998;280(18):1569-1575. https://doi.org/10.1001/jama.280.18.1569
  18. 조재국, 김남순, 도세록, 이연희, 윤강재, 박진한, 장동현, 천재영, 김화영, 이난희, 유형석, 서성우. 한방의료이용 및 한약소비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19. 조경숙. 양.한방 의료이용 행태의 차이.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20. 김성영. 근골격계질환자의 양.한방 외래 의료이용과 관련 요인.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21. Druss B. G., and R. A. Rosenheck. Association between Use of Unconventional Therapies and Conventional Medical Service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999; 282(7):651-656. https://doi.org/10.1001/jama.282.7.651
  22. Xu K. T., Farrell T. W. The Complementarity and Substitution between Unconventional and Mainstream Medicine among Racial and Ethnic Groups in the United States.Health Services Research 2006;42 (2):811-826.
  23. 유왕근(1). 한방의료 서비스 이용행태 및 이용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2003.
  24. 유승흠, 이용호, 조우현, 진병원, 김상재. 우리나라 의료이용에 관한 연구. 예방의학회지 1986;19(1):137-145.
  25. 오인환, 윤석준. 의료패널을 이용한 질병별 한방 및 양방의료 이용 비율 분석. 제3회 한국의료패널 학술대회자료집 2011;165-166.
  26. Eisenberg D. M., R. C. Kessler, C. Foster, F. E. Norlock, D. R. Calkins, and T. L. Feldstein P. J. Health Care Economics. 4th ed., Delmar Publishers Inc, 1993.
  27. Spigelblatt L.,G. Laine-Ammara I.B. Pless and A. Guyver.The Use of Alternative Medicine by Children. Pediatrics 1994;94(6 Pt1):811-814.
  28. 홍정효. 아토피의 치료에 관한 양방과 한방, 민간요법과 자연치유법에 관한 고찰. 생태유아교육연구 2008;7(1):65-85.
  29. 유왕근(2). 한방의료서비스에 대한 인식도 및 개선요구도.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3;7(2):45-64.
  30. 이응세, 이규식, 이선동, 조경숙. 한방의료이용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 1999.
  31. 서연숙. 중고령자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건강행위와 건강수준 연구.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32. 박지은. 한방의료 이용현황 및 이용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고령화 패널을 이용하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33. 김제선. 노인의료보장 사각지대 진입,탈출 요인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34. 윤정혜, 김시월, 장윤희, 조향숙, 송현주. 패널자료 분석을 이용한 중, 고령자 단독가계의 의료비지출 영향 요인. 소비자학연구 2010; 21(4):193-218.
  35. 김채봉. 입원환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의료이용 요인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6. 조자현. 한국의료패널을 이용한 일반의약품 지출 관련 요인 분석.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7. 김유진. 민간의료보험가입상태에 따른 의료비 지출 및 부담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8. 곽은경. 복합만성질환자의 외래이용 현황 분석 -2008년도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9. 이윤정. 질환별 의료비부담의 형평성 분석.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40. Mechanic D., Newton M. Some problems in the analysis of morbidity data. Journal of Chronic Diseases 1965;18:569-580. https://doi.org/10.1016/0021-9681(65)90078-0
  41. 정영호, 고숙자, 손창균, 김은주, 서남규, 황연희, 인수지. 2010년 한국의료패널 기초분석 보고서(I).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민건강보험공단. 2012.
  42. 이호영, 김희연, 정부연, 장덕진, 김기훈. 소셜미디어의 성장과 온라인사회관계의 진화,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1.
  43. 권순식. 근로자 참여와 비정규직 고용의 관련성에 관한 실증 연구. 노동정책연구 2006; 6(2):75-106.
  44. 한상필, 방봉원, 안재현, 김문구. 와이브로서비스와 기존 정보통신서비스간의 대체/보완 관계 실증분석. 경영과학 2005;22(2):35-49.
  45. 박성순, 남철현. 한국인의 한방의료 이용에 대한 인식과 행태 요인 분석. 대한보건협회학술지 1999;25(2):34-50.
  46. 조희숙, 이선희, 최은영, 최귀선, 채유미. 양.한방 의료서비스 이용환자의 시장 세분화에 관한 연구. 보건행정학회지 2002;12(1):125-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