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is designed to help pre-service teachers to improve their teaching skills in elementary math class. For this, the consulting program with 5-steps was planned and applied to thre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Each class the teachers performed was analyzed by both Flanders's Interaction Analysis Category System and participant observation. As results of consulting,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ree pre-service teachers are shown. Firstly their teaching style is non directive, but they fail to induce their students spontaneously respond. They often ignore or don't use their students' respond they think incorrect to develop the next ideas. Simply saying, their classes are typically teacher-oriented but they are not authoritative. It is proved that consulting program is effective for improving developing non directive teaching skills, but is not much effective decreasing teachers' comment and increasing students' rolls in a math class.
이 연구는 수학수업을 운영함에 있어 발문과 관련하여 예비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의 정도를 진단하고, 예비교사들에게 적절한 도움을 제공하여 그들의 수학수업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의 일환으로 시도되었다. 예비교사의 수업을 진단하고, 진단내용 및 진단에 기초한 처방을 제안하는 절차는 수업컨설팅 방식을 택하였으며, 차시별 수업 분석을 위해 Flanders의 언어상호작용분석법을 컴퓨터 프로그래밍화한 AF(Advanced Flanders)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수업 컨설팅을 실시한 결과, 예비교사들의 수업은 주로 비지시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생들의 반응을 적절하게 이끌어 내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은 발언기회를 독점하였으며,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수용하는 것에 매우 서투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그들의 수업은 비지시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교사중심의 수업으로 흘렀으나, 교사의 권위를 내세우지는 않았다. 컨설팅 효과 측면에서는 지시적 발언을 비지시적 발언으로 수정하는 것은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나, 교사의 발언 비중을 줄이거나 강의 대신 질문을 사용하는 것,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수용하는 것 등은 1회의 컨설팅으로는 큰 효과가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