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ypological characteristic of the comics published gutter

출판만화 칸새의 유형별 특징

  • Received : 2013.11.01
  • Accepted : 2013.12.02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Cartoons exhibit contents and images and deliver them to readers by repeating frames. Frames embody the cross sectional factors of space-time, and the repetition of frames makes those cross sectional factors into a continuous flow. The gutter, which exists between frames, takes the role to make the continuous flow link smoothly, and at the beginning stage of the gutter, the operating of the gutter was usually passive by the frame meanings. However, the gutter is not just a medium for linking the frames, but is an efficient participation device for creating new expression methods of cartoon organization. By producing new directing methods for cartoon organization, the distinctive functions of the gutter have been kept alive with cartoon history. The distinctive functions of the gutter can be divided largely into transition function, reminiscence function, speech balloon function, pen function, and decorative function. And those functions perform actively as direct expression method of the gutter. When those functional methods are expressed by the author's intention and the frequency of them is generalized according to described contents, using each author's individual differences can suggest direction for new directing organization of cartoons.

칸과 칸의 반복을 통해 만화는 그 내용과 이미지를 구동시키고 독자에게 전달한다. 칸은 시 공간의 단면적 요소를 담고 있으며, 칸의 반복은 이러한 단면들을 연속되는 흐름으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연속적 흐름을 원활하게 이어주는 역할은 칸과 칸 사이에 존재하는 칸새에 의해 이루어지고 초창기 칸새의 운용은 칸에 의한 수동적 의미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칸새는 단지 칸과 칸을 이어주는 매개체의 역할뿐만 아니라 만화 구성에 새로운 표현 방식을 창출하는 효율적 참여 장치이다. 칸새의 특징적 기능은 만화의 역사와 궤를 같이 하며 만화의 구성에 새로운 연출방식을 제시하며 그 명맥을 이어왔다. 칸새의 특징적 기능으로는 장면전환 기능, 회상 기능, 말칸 기능, 팬 기능, 장식적 기능으로 크게 나눌 수 있고 이들 유형은 칸새의 직접적인 표현방식으로 만화연출에 능동적으로 기능한다. 이 기능적 요소들은 작가가 의도한 바에 의해 표현되고 서술되는 내용에 따라 그 빈도가 일정치 않지만 보편화된 경우, 작가 개개인의 차이가 누적되어 활용되는 빈도에 따라 새로운 연출구성의 방향이 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용환, 코주부, 동경조선민보, 1940
  2. 문정후, 용비불패, 학산문화사, 1996
  3. 문정후, 용비불패3, 학산문화사, 1996
  4. 안수철, 만화연출, 나도 할 수 있다, 노마드북스, 2008
  5. 안수철, 만화연출, 글논 그림밭, 1996
  6. 양경일, 신암행어사7, 대원씨아이, 2004
  7. 양경일, 신암행어사9, 대원씨아이, 2004
  8. 스콧 맥클루드, 고재경, 이무열 엮음, 만화의 이해, 아름드리, 1998
  9. Frederick Burr Opper, "HappyHooligan", 1905.4.9
  10. George Joseph Herriman, "Krazy Kat", 1922.1.21
  11. 夏目房之介 외, "マンガshigeru mizuki",1967
  12. 夏目房之介 외, "マンガの読み方 (別冊宝島EX)", 宝島社,1995
  13. 水木しげる, "惡魔くん", 少年マガジン, 1967
  14. 윤기헌, "근대동아시아만화의 특징", 경북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5. 이원석, "만화에서 칸과 칸 사이의 공간연구-만화 <꿈속의 여인> 작품 중심으로-세종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6. 김일태 외, 만화애니메이션사전, 한국만화영상진흥원,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