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f narrative of cartoon Focusing on prerequisites for narrative in the Theory of 『Story and Discourse』 by S. Chatman

카툰의 서사 연구 (S.채트먼의 『이야기와 담론』 이론의 서사의 전제조건을 중심으로)

  • 안소라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만화학과) ;
  • 이원석 (공주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부)
  • Received : 2013.11.01
  • Accepted : 2013.09.03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Even though cartoons and narration comics were born from different origin, they have been called by names such as 'cartoons' or 'comics'. The reason can be found in the similarity of cartoons and narration comics. The similarity of cartoons and narration comics is the genre consisting of writing and drawing. Writing can be the format of expression and it can represent the story. Such story is present as a component of 'narration'. Sub genre of comics includes cartoons and narration comics. It includes animation in a broad range. In cases of narration comics and animation, it is thought that narration is present with continuity of time. However, in case of cartoon, because one or two cuts without continuity of writing are frequently expressed, it is being asked whether narration is present. It is easy to be reminded of epic or chanson de geste whenever you hear 'narration'. Since it deals with a biography of the character, we think the concept of 'narration' with temporality. However, narration provides a certain event in a broad range. Thus, cartoons presenting one event with the image may have the existence of narration, because description of multiple scenes of narrative comics can be implicitly represented in cartoons. As such implications leave a space, the empty space can be filled by active reasoning of recipients. However, nevertheless,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studies as well as mentions of narration in cartoons. Thu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concept and structure of narration and demonstrate the presence of narration in cartoons. First of all, we looked at the narration theory in literature before studying narration in cartoons. The reason is that we thought the approach to the literary theory was requir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basic elements, since cartoons are a collection of writing and drawing. We were focused on the prerequisites of narration presented in "story and discourse" of s. Chatman. If the prerequisites of narration are present, we can assume that the narration is present. The prerequisites are 'narration reasoning', 'screening', 'consistency', 'process statements' and 'stasis statement'. As s. Chatman described them as prerequisites of narration, he analyzed the narration structures of films and novels. In addition, we revealed that the narrations were present in cartoons as we identified how prerequisites of narration presented by Chatman were presented and expressed through "vocabulary of comics", "Timeframe" and "life in the line" described in "understanding comics" by Scott McCloud.

카툰과 서사만화는 그 태생이 서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cartoon' 혹은 '만화'라는 이름으로 아울러서 지칭된다. 그 이유는 카툰과 서사만화의 유사성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카툰과 서사만화의 유사성은 글과 그림으로 이루어진 장르라는 것인데 글은 만화에서 표현형식이 되기도 하지만 이야기를 나타내기도 한다. 이러한 이야기는 '서사'의 구성요소로서 존재한다. 만화의 세부장르로 카툰과 서사만화, 넓게는 애니메이션까지도 포함하는데 서사만화와 애니메이션의 경우 시간의 연속성으로 서사가 있다고 생각하지만 카툰의 경우 주로 글과 연속성이 없이 한 칸에서 두 칸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서사의 존재에 대하여 반문하게 된다. '서사'라 하면 흔히 서사시 혹은 무훈시를 떠올리기 쉽다. 등장인물의 일대기를 다루기 때문에 보통 시간성에 의해 '서사'의 개념을 생각하지만 서사는 어떠한 사건을 제시하는 것으로 그 범위를 넓게 볼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사건을 이미지로 제시하는 카툰에도 서사의 존재 가능성이 제기될 수 있다. 서사만화의 여러 장면에 대한 설명을 카툰에서는 함축적으로 표현되는 것일 뿐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함축적 의미는 여지를 남겨놓음으로써 수용자의 적극적 추론에 의해 그 빈 공간이 채워지게 된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툰의 서사에 대한 언급은 물론이거니와 연구내용도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서사의 개념과 그 구조를 살펴보고 카툰에서 서사의 존재를 증명하고자 한다. 먼저 카툰의 서사에 대하여 알아보기에 앞서 문학의 서사이론에 대하여 살펴보았는데, 만화가 글과 그림의 집합체이기 때문에 그 기본적인 요소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서사이론에 대한 담론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논문에서는 S.채트먼의 "이야기와 담론"에 제시 된 서사의 전제조건들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서사의 전제조건이 존재할 경우 서사가 존재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조건들은 '서사적 추론', '선별', '일관성'과 '경과진술', '정체진술'로 S. 채트먼은 이것들이 서사의 전제조건이라고 설명하면서 영화와 소설의 서사구조를 분석하고 있다. 그리고 스콧 맥클라우드가 "만화의 이해"에서 기술한 "만화의 어휘", "시간틀", "선 속의 생명" 등을 통하여 채트먼이 제시한 서사의 전제조건들이 카툰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제시되고 표현되는지 알아보며 카툰에서 서사가 존재하고 있음을 밝혔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용석, 서사철학, 휴머니스트, 2009.
  2. 스티븐 코헨, 린다 샤이어스, 임병권 외 역, 이야기하기의 이론, 한나래, 1996.
  3. 최용호, 서사로 읽는 서사학,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9.
  4. 제랄드 프랭스, 최상규 역, 서사학이란 무엇인가, 예림기획, 1999.
  5. 한일섭, 서사의 이론, 한국문화사, 2009.
  6. 한용한, 소설학 사전, 문예출판사, 2009.
  7. S.채트먼, 한용환 역, 이야기와 담론, 푸른사상, 2003
  8. 스콧 맥클라우드, 김낙호 역 만화의 이해, 비즈앤비즈, 2008
  9. 박경철, "카툰과 만평의 유머와 풍자 비교 분석", 만화애니메이션 연구통권 제 31호, 2013.
  10. 최인자는 "허구적 서사물의 플롯 이해에 기반 한 서사 추론 교육", 한국어교육학회 제 122권, 2007.
  11. 공주대학교 사이버 국제만화영상관, http://libproxy.kongju.ac.kr/
  12. 브리태니커, http://www.britannica.co.kr/, 검색어; 서사, 2013. 10.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