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un of Animation-on the Correlation among the Perceptive fun, the Cognitive fun and the Psychological fun

애니메이션의 재미 - 감각적 재미, 인지적 재미, 심리적 재미의 상관관계

  • 성례아 (백석대학교 디장인영상학부)
  • Received : 2013.11.01
  • Accepted : 2013.09.09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is study is meant to be seeing how fun of animation works by reviewing it theoretically and coordinating it to suggest the structure which integrates fun of animation and validates the proposed fun model. After reviewing fun theoretically, the fun of animation could be able to coordinate that fun of animation is consist of perceptive fun, cognitive fun, and psychological fun. Perceptive fun is induced by visual, auditory and other sensory information and it is directly affected the image, sound, and movement. Cognitive fun can be obtained by reasoning and interpretation to mobilize their knowledge with sensuously perceived stimulation and it is directly affected the story. Psychological fun occurs when the audience see the animation. The psychological fun is the psychological emotional state when the audience watches animation by relieving psychological congestion. It consists of fun of unfamiliarity or identification. By suggesting research model and validating it how the perceptive fun, cognitive fun, and psychological fun affects each other, perceptive fun enhances cognitive fun and psychological fun. Although cognitive fun enhances psychological fun, cognitive fun enhances psychological fun twice than perceptive fun. Also when perceptive fun affects psychological fun, cognitive fun shows the indirect effect as a parameter. In conclusion, perceptive fun affects psychological fun directly and be enhanced through cognitive fun. Fun of animation can be experienced when perceptive fun caused by accepting sensory information of animation instantly, cognitive fun caused by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sensory information of animation, and psychological fun caused by relieving psychological identity through recognition fuses and acts as one. An animation emphasized a certain element is difficult to be loved by the audience. In this reason, an harmonical combination among the elements of story, image, sound and movement are important to combinate harmoniously for a successful animation to make the audiences fun by arising funny emotions.

이 연구는 애니메이션의 재미가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조작화 한 후, 애니메이션의 재미를 강화시켜 줄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한 재미모델을 검증하여 애니메이션의 재미가 어떠한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의미가 있다. 재미에 대해 이론적으로 검토한 결과 애니메이션의 재미는 감각적 재미, 인지적 재미, 심리적 재미로 구성된다고 조작화할 수 있었다. 감각적 재미는 시각, 청각등의 감각적 정보를 통해 유발되는 재미로, 감각적 재미에 직접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이미지, 사운드, 움직임이 있다. 인지적 재미는 감각적으로 지각된 자극을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을 동원하여 능동적으로 추론하고 해석하여 얻어지는 재미로 스토리를 인지적 재미의 요소로 보았다. 심리적 재미는 관객이 애니메이션을 관람할 때 발생하는 심리적 정체를 해소함으로써 재미를 경험하는 심리적 감정 상태로 동일시나 낯섦의 재미로 구성된다. 애니메이션의 재미를 구성하는 감각적 재미, 인지적 재미, 심리적 재미가 서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해 연구모델을 검증한 결과, 감각적 재미가 인지적 재미와 심리적 재미를 강화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물론 인지적 재미도 심리적 재미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감각적 재미가 인지적 재미보다 두 배 이상 심리적 재미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각적 재미가 심리적 재미에 영향을 미칠 때 인지적 재미가 매개변수로서 간접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감각적 재미는 심리적 재미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주지만 인지적 재미를 통해서 더욱 강화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애니메이션의 재미란 감각적 재미와 인지적 재미, 심리적 재미가 하나로 융합되어 작용할 때 경험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어느 한 재미요소만을 부각시킨 애니메이션은 관객에게 사랑받기 어렵다. 애니메이션의 재미요소인 스토리, 이미지, 사운드, 움직임의 조화로운 결합을 통해 재미감정을 유발시켜 심리적으로 재미있게 만드는 일이 중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성수, 애니메이션의 미학, 향연, 2005.
  2. 송윤엽, 브레히트의 연극이론, 연극과 인간, 2005
  3. 루돌프 아른하임, 김춘일 역, 미술과 시지각, 기린원, 1990
  4. 조미라, 상상력의 미학 애니메이션, 한울, 2009.
  5. 앤드류 달리, 김주환 역, 디지털 시대의 영상문화, 현실문화연구, 2003
  6. 폴 웰즈, 한창완 외 역, 애니마톨로지@애니메이션 이론의 이해와 적용, 한울아카데미, 2001.
  7. 성례아, "애니메이션에서 음향의 리듬과 충실성에 대한 연구-작품 <사형수>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02,8)
  8. Michael O'Pray, "Eisenstein and Stokes on Disney-film animation and omnipotence", in Jane Pilling, (eds.), in A Reader in Animation, John Libby, 2000.
  9. Shank, R. C., Tell me a story; Narrative and Intelligence, Evanston IL: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995.
  10. Lazarus R. S., "Thoughts of the relations between emotion and cognition", American Psychologist, Vol.37(1982).
  11. Mulaik S. A., L. R. James, J. Van Alstine, N. Bennett, S. Lind & C. D. Stilwell, "Evaluation of Goodness-of-Fit Indices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Vol.105(1989)
  12. Steiger, J., "Structure Model Evaluation and Modification: An Interval Estimation Approach",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Vol.25(1990)
  13. Sung-il Kim, "Causal bridging interface: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Vol.90(1999).
  14. Tappan, M. & Brwon, L., "Stories told and lessons learned: Toward a narrative approach to moral development and moral education", Harvard Educational Review, Vol.59(1989)
  15. Wyer S. & Clore L. & Isbell M., "Affect and information processing",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31(1999)
  16. Zajonc B., "Feeling and thinking: Preference need no inference", American Psychologist, Vol.35(1980)

Cited by

  1. Educational Animation No!Smokick Ikooman for Smoking Prevention in Preschoolers: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2018, https://doi.org/10.1080/10509208.2017.138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