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읍·면소재지 종합정비사업 대상지역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ection of Areas for Comprehensive Arrangement Project in Areas of Eup and Myeon

  • Kim, Sung-Rok (Faculty of Regional Development, Kongju National Univ.)
  • 투고 : 2013.09.23
  • 심사 : 2013.12.02
  • 발행 : 2013.12.30

초록

As policy for regional development in bottom-up style is introduced, each local government reflects opinion of regional residents and experts, and continues to strive for active use of regional capability and natural resources. As a result, there are active movements for regional development in Eup and Myeon unit or village unit inside local government. Comprehensive arrangement project in areas of Eup and Myeon is proceeded with a goal of improvement of life quality for regional residents through strengthening base function of Eup and Myeon areas and improving function of basic service by expanding facility of optimal level available to an unspecified number of the general public such as educational, cultural, welfare facility etc. in Eup and Myeon areas which are base space of rural communities. For analysis method of region for selecting areas where comprehensive arrangement project is done, this study suggested analysis of connection structure based on interaction and analysis of centrality. And empi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Buyeo province in Chungcheongnamdo.

키워드

참고문헌

  1. 국가기록원, www.archives.go.kr.
  2. 김기영, 전명식, 1994, 다변량 통계자료분석, 자유아카데미.
  3. 김은정, 안유정, 이만형, 2012, 읍.면소재지 종합정비사업 평가지표체계의 개선방안-기존소도읍육성사업의 평가지표체계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농촌 건축학회논문집, 14(1), 45-56.
  4. 김정연, 박종철, 2009, 거점면소재지마을종합개발사업의 추진실태와 개선과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1(4), 19-40.
  5. 김정연, 2013, 농촌중심지의 활성화 정책의 방향과 추진과제, 정주여건개선 소위원회 기초자료.
  6. 김정태, 2012, 유량적 접근을 통한 지역거점도시와 읍면소재지의 중심기능 및 기초수요변화-공주시와 유구읍의 1995년-2009년 소매점 및 접객업소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9(4), 45-60.
  7. 농림수산식품부(a), 2012, 2012년도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추진매뉴얼.
  8. 농림수산식품부(b), 2012, 농어촌개발사업 유형별 모델.
  9. 농림수산식품부, 2013, 보도자료, 농림축산식품부 지역개발과.
  10. 농림축산식품부 질의, 민원번호:1AA-1308-039616.
  11. 박재호, 김정희, 김기수, 2007, 청천면 거점면소재지 중심마을 개발사업 수립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7(1), 273-276.
  12. 부여군, 2011, 2011년 포괄보조사업계획.
  13. 윤희정, 2011, 읍,면 지역 최저주거기준 설정 및 기준안 제시,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7(2), 13-21. https://doi.org/10.7851/ksrp.2011.17.2.013
  14. 이종상, 2007, O-D행렬에서 간접류의 재해석과 계산방법의 개선,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9(2), 1-14.
  15. 이종상, 김성록, 2012, 시도간 인적물적 연계분석에 의한 광역권 설정, 국토지리학회지, 46(3), 227-237.
  16. 이주용, 2011, 자율적 농어촌지역개발사업 평가지표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이희연, 김홍주, 2006, 서울대도시권의 통근 네트워크 구조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9(1), 91-111.
  18. 임창수, 최수명, 심환휘, 2009, 농촌 거점면 중심지의 공간구조 특성 분석,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5(3), 33-45.
  19. 조은정, 최수명, 김영택, 고영배, 임창수, 2009, 농촌거점면 지역의 중심기능 이용성향 분석, 농촌계획, 15(4), 125-134.
  20. Bonacich, P. (1987) :Power and Centrality : A Family of Measur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2 : 1170-1182. https://doi.org/10.1086/228631

피인용 문헌

  1. 연계성 분석에 의한 행정면권역 설정 - 부여군을 사례로 - vol.22, pp.1, 2013, https://doi.org/10.12653/jecd.2015.22.1.0025
  2. A Study on the Change of Rural Center Revitalization Project and Practical Improvement Plan vol.17, pp.4, 2013, https://doi.org/10.17926/kaolp.2017.17.4.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