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nalysis of Economic Contribution of Beauty Industry by Input-Output Table

산업연관분석에 의한 캐릭터 산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

  • 이유빈 (세종대학교 경제통상학과) ;
  • 김언군 (세종대학교 경제통상학과) ;
  • 배기형 (세종대학교 경제통상학과)
  • Received : 2013.08.19
  • Accepted : 2013.10.30
  • Published : 2013.12.28

Abstract

The character industry is a high value-added industry, and is one of the strategic industries to be fostered. However, the character industry is struggling due to the lack of national consensus on the importance and value of the character industry. Therefore, in order to resolve this issue, the study used the character Input-Output Table of year 2009 of korea to analyze how much the character industry(Toys and games, Models and decorations) contributes to the national economy by measuring economic spreading effects of character industry on national economy. The results shows that character industry shows that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is column 1.602, row 1.007, index of the sensitivity of dispersion is 0.543, Index of the power of dispersion is 0.864, value-added coefficient is 0.620, income inducement coefficient is 0.334, tax inducement coefficient is 0.066, employment inducement coefficient is 0.008.

캐릭터 산업은 고부가가치 문화산업이며, 반드시 육성해야 하는 전략산업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캐릭터 산업의 중요성과 가치에 대한 국가적인 공감대의 형성 부족과 영화산업을 국가 전략산업으로서의 가치 인식의 미미로 인하여 캐릭터 산업의 발전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은행의 2009년 산업연관표상 기본분류인 403개 산업 중 장난감 및 오락용품(291), 모형 및 장식용품(296) 등 2개 부문을 캐릭터산업으로 한정하고 새로이 캐릭터 산업연관표를 작성, 활용하여 캐릭터산업의 경제적 효과를 계량적으로 측정, 평가하여 향후 캐릭터산업의 정책과 전략수립에 일조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다. 캐릭터 산업의 생산유발계수는 열 합계 1.602, 행 합계 1.007, 감응도 계수 0.543,로 영향력계수 0.864, 부가가치유발계수 0.620, 소득유발계수 0.334, 생산세유발계수 0.066, 노동유발계수 0.008 등을 보여주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최연철,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캐릭터)", 한국콘텐츠진흥원, 연구보고서 10-06, p.1, 2010.
  2. 문화체육관광부, 캐릭터산업 진흥 중장기 계획 (2009 2013), 2008.
  3. 배영철, "다시 뛰는 한국의 캐릭터 산업", 월간디자인, 2007(10).
  4. http://data.adic.co.kr/lit/fulltext/S0001488/01.doc.
  5. 한국콘텐츠진흥원, 2011년 콘텐츠산업백서, 2012.
  6. 박혜정, 잘 키운 캐릭터 하나 열 '산업' 안부럽다, 아시아경제신문, 2013.01.15.
  7. 파이낸셜뉴스, 2013년 2월 22일자 5면.
  8. 고영자,김민정,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애니메션 캐릭터 선호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3호, pp.470-479, 2012.
  9. 이선경, "애니메이션 캐릭터 산업의 현황과 발전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6권, 제1호, pp.26-28, 2008.
  10. 이제, 경병표, 유석호, 이완복, "게임 캐릭터의 아이덴티티개선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 권, 제2호, pp.162-169, 2011.
  11. 김강, 오치규, "만화〈손오공〉에 나타난 한.중.일캐릭터디자인 특징", 한국콘텐츠학회 2009 춘계통합학술대회 논문집, 제7권, 제1호(상), pp.235-238, 2009.
  12. 한국은행, 산업연관분석 해설, 1987.
  13. 강광하, 산업연관분석론, 비봉출판사, 1994.
  14. R. E. Miller and P. D. Blair, Input-output Analysis:Foundation and Extensions, New Jersey:Prentice-Hall, 1985.
  15. 한국은행, 2009년 산업연관표, 2010.
  16. A. Ghosh, "Input-output approach to an allocative system," Econometrica, Vol.25, pp.58-64, 1958.
  17. 한국은행, 알기쉬운 경제지료 해설,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