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Factors influencing Job Performance of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 투고 : 2013.09.02
  • 심사 : 2013.11.11
  • 발행 : 2013.12.28

초록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성과와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직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접근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직무성과와 관련 변수들의 특성과 변인들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임파워먼트 요인, 네트워크 요인, 직무특성 요인에 따라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직무성과와 각 관련 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각 단계마다 새로운 변수군을 투입하여 각 모델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리하여 변수들의 영향력, 유의미성, 모델 전체의 설명력 변화를 통하여 임파워먼트 요인, 네트워크 요인, 직무특성 요인 등의 변수들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approaches towards the improved the job performance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by analyzing relations between their job performance and its concerned variables. For that purpose, the investigator searched the characteristics of variables and 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job performance.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empowerment, network and job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 that changes to each of the models were checked by introducing a new group of variables in each stage. Then the influences of the variables including the empowerment, network and job characteristics on job performance were tested through the influence and significance of the variables and the changing explanatory power of the entire models.

키워드

참고문헌

  1. 보건복지부.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 전국 지역아동센터 실태조사 보고서, 2013.
  2. 공계순, 서인혜, "지역아동센터에서의 사례관리실천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4권, 제4호, pp.155-178, 2009.
  3. Y. Hasenfeld, "The Nature of Human Service Organizations," In Y. Hasenfeld(Ed.), Humans Services as Complex Organizations, Newbury Park, Ca: Sage, 1992.
  4. 김경희,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 결정 변인에 관한 연구-서울지역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실천 창간호, pp.73-116, 2002.
  5. A. Kadushin, Supervision in Social Work(3rd. ed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2
  6. 변숙영,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인식도에 관한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제12권, 제4호, 2010.
  7. 성미영, 서영숙,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의 직무만족도와 조직헌신도 연구", 방과후아동지도연구, 제5권, 제1호, pp.49-65, 2008.
  8. 공계순,"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5권, 제4호, pp.23-48, 2010.
  9. 박현숙, "ADHD 성향 아동을 위한 강점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9권, 제2호, pp.247-270, 2013.
  10. 최순옥, 조상윤,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자존감 및 스트레스 대처기술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분석", 한국가족복지학, 제16권, 제4호, pp.97-117, 2011.
  11. 김선숙, 유민상, "지역아동센터의 사례관리가 아동방임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학교사회복지, 제24 권, pp.191-195, 2013.
  12. 이경림, 정익중, "지역아동센터 야간보호 프로그램의 운영성과와 이용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34권, pp.183-206, 2010.
  13. 최인섭, 초의수,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제13권, pp.282-311, 2002.
  14. 장신재, 이희연,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내외통제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0권, pp.63-93, 2003.
  15. 전선영, 윤정혜, 안정선,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사회복지교육성과와 직무성과와의 관계", 한국사회복지학, 제63권, 제1호, pp.291-316, 2011.
  16. 이인재, 사회복지 실무자의 직무성과 결정요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17. 김경희,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 결정변인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실천 창간호, pp.73-115, 2002.
  18. 한동우, "리더십과 조직문화의 적합유형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pp.106-132, 2002.
  19. 조미형, 최재성, "정보기술 활용이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조절변수로서의 영향 연구: 서울시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12권, pp.105-132, 2005.
  20. 이성윤,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에 관한 연구 : 노인복지시설을 중심으로", 대한케어복지학, 제2권, 제1호, pp.108-135, 2006.
  21. 원일, "사회복지사의 업무갈등과 관계갈등, 직무 성과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제19권, pp.72-87, 2012.
  22. 한현지, 김희숙, 구민정, "지역아동센터 종사자가 경험한 지역아동센터 평가과정에서의 어려움과 개선방향", 방과후아동지도연구, 제9권, 제2호, pp.1-24, 2012.
  23. R. P. Tett and J. P. Meyer,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turnover: path analysis based on meta analytic finding," Personal Psychology, Vol.46, No.2, pp.259-293, 1993
  24. I. Millar, "Performance appraisal of professional social workers,"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Vol.14, No.1, pp.65-85, 1990. https://doi.org/10.1300/J147v14n01_05
  25. 윤정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26. A. Charles, Rapp and J. Poetner, Social Administration - A Client-Centered Approach, N.Y.: Longman, 1992.
  27. 장신재, 김희수,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전문적 능력, 임파워먼트, 직무성과 영향구조",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8권, 제3호, pp.31-57, 2006.
  28. 박경순, 박영란, "노인일자리사업 실무자의 직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30권, 제4호, pp.1059-1075, 2010.
  29. 김용민, "종합사회복지관 종사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임파워먼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1권, 제2호, pp.270-303, 2011.
  30. 백민희,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지역사 회교육전문가의 직무수행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31. 이형하, 조원탁, "한국 자활사업의 자활효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경제적, 사회적, 정서적 자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20권, 2004.
  32. 정무성, "전달체계의 연계를 통한 사회복지서비스 효율성 강화전략: 호주 Centrelink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비영리연구, 제2권, pp.99-123, 2003.
  33. 정순돌, 고미영, "재가노인을 위한 사례관리 서비스의 효과성 연구: 팀접근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54권, pp.273-294, 2003.
  34. 이민홍, 최재성, "사회복지조직간의 상호협력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13권, 제1호, pp.25-46, 2003.
  35. 함철호, "지역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기관 간 연계의 효과성 평가", 한국사회복지학, 제55권, pp.309-339, 2003.
  36. J. R. Hackman, G. R. Oldham, R. Janson, and K. Purdy, "New Strategy for Job Enrichment,"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Vol.17, No.4, pp.57-71, 1975. https://doi.org/10.2307/41164610
  37. 오인근, 최재성, "사회복지사의 직무특성과 조직 몰입에 대한 분석 : 서울시 소재 종합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 간의 비교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6권, 제2호, pp.91-116, 2004.
  38. 전재표, 조영경, 박영주, "비영리조직의 직무특성 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조직을 중심으로", 전산회계연구, 제9권, 제2호, pp.105-120, 2011.
  39. 강흥구, "사회복지사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8권, 제2호, pp.355-375, 2006.
  40. 김길현, 하규수, "노년기 부부관계 요인이 결혼 만족도 및 이혼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256-271, 2012.
  41. D. R. Leslie, C. M. Holzhalb, and T. P. Holland, "Measuring Staff Empowerment: Development of a Worker Empowerment Scale," Research on Social Work Practice, Vol.8, No.2, pp.212-222, 1998. https://doi.org/10.1177/104973159800800205
  42. 장신재,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43. 정영림,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네트워크 활동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활동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44. 윤민화, 사회복지 임파워먼트에 대한 연구 : 지역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사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999.
  45. Kutner, Nachtsheim and Neter, Applied Linear Regression Models 4th edition, McGraw-Hill Irwin. 2004.
  46. 보건복지부,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 2013년 지역아동센터 운영매뉴얼, 2013.

피인용 문헌

  1.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Social Welfare Workers on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local child care center- vol.14, pp.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4.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