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fference in Career Competen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High School Students' Work Experience Types and Gender

고등학생 근로경험과 성별에 따른 진로역량 및 진로준비행동의 차이 연구

  • Received : 2013.10.02
  • Accepted : 2013.11.01
  • Published : 2013.12.28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career competen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accordance with high school students' work experience types and 2)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work experience type and sex or work experience type and grades. Three work experience types were classified as no work experience, positive work experience, and negative work experience. The study used the data from "2009 Youth Career? Occupation Survey" conducted in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wo-way MANOVA was employ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female students had higher levels of career competency and career preparation than male students. Also,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negative effects of negative work experience compared to male students. The analysis confirmed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work experience types and sex. Female students showed the higher negative effects of negative work experience than no work experience, whereas work experience, whether or not it is negative, was helpful for male students in career competen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본 연구는 고교생들의 근로경험 유형--근로경험 없음, 긍정적 근로경험, 부정적 근로경험--에 따라 진로역량과 진로준비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근로경험 유형과 성별 간에 진로역량 및 진로준비행동에의 상호작용효과가 있는지 알아본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09년 청소년 진로 직업 실태조사" 자료로부터 3,499명 고등학생들의 근로경험과 진로 관련 자료들을 사용하여 이원 다변량분산분석(two-way MANOVA)을 실행하였다. 전반적으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진로역량과 진로준비행동에 있어 높은 수준을 보인 가운데 여학생의 경우 남학생보다 부정적 근로경험의 역효과가 더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진로역량과 진로준비행동에서 근로경험 유형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가 존재하였으며, 여학생에게 있어 근로경험 자체보다는 부정적 근로경험이 진로역량 및 진로준비행동과 부정적인 관련성이 있음을 암시하였다. 남학생의 경우, 근로경험이 진로역량 및 진로준비행동과 긍정적인 영향과 관계가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특히 자기이해 역량과 확장된 진로준비행동에 있어서는 남학생의 부정적 근로경험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암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장원섭, 시간제 취업이 고등학교 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9.
  2. J. T. Mortimer and M. D. Finch, "The Effect of Past-Time Work on Self Concept and Achievement," In K. Borman and J. Reisman (Eds.), Becoming a Worker, pp.66-89, Norwood, NJ: Ablex, 1986.
  3. R. V. Carr, J. D. Wright, and C. J. Brody, "Effects of High School Work Experience a Decade Later: Evidence from the National Longitudinal Survey," Sociology of Education, Vol.69, No.1, pp.66-81, 1996.
  4.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 청소년 지표조사 IV -청소년 진로.직업 지표- 연구보고 09-R12, 2009.
  5. 유진이, "실업계 여자고등학생의 아르바이트 실태에 관한 연구", 청소년보호지도연구, 제12권, 제 5호, pp.73-112, 2010.
  6. B. W. Westbrook, "Career Maturity: The Concept," In W. B. Walsh and S. B. Osipow (Eds.), Handbook of Vocational Psychology, 제1 권, pp.263-303, NJ: Lawrence Erlbaum, 1984.
  7. D. Luzzo, "Gender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Perceived Barriers in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Vol.4, No.2, pp.319-325, 1995.
  8. S. King, "Sex Differences in a Causal Model of Career Maturity,"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Vol.68, No.2, pp.208-215, 1989. https://doi.org/10.1002/j.1556-6676.1989.tb01359.x
  9. C. C. Achebe, "Assessing the Vocational Maturity of Students in the East States of Nigeria,"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20, No.2, pp.153-161, 1982. https://doi.org/10.1016/0001-8791(82)90003-3
  10. M. B. Watson and J. A. van Aarde, "Attitudinal career maturity of South African Colored High School Pupil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29, No.1, pp.7-16, 1986. https://doi.org/10.1016/0001-8791(86)90025-4
  11. K. H. Lee, "A Cross-Cultural Study of the Career Maturity of Korean and United States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Vol.28, No.1, pp.43-57, 2001. https://doi.org/10.1023/A:1011189931409
  12. G. Hackett and N. E. Betz, "A Self-Efficacy Approach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18, No.3, pp.326-339, 1981. https://doi.org/10.1016/0001-8791(81)90019-1
  13. 김종성, 이병훈, "중.고등학생의 아르바이트 참여요인 및 진로성숙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 제21권, 제3호, pp.33-59, 2010.
  14. 한국소비자교육지원센터, 소비자 역량지수 개발 및 산출연구, 서울: 공정거래위원회, 2007.
  15. V. B. Skorikov, "Continuity in Adolescent Carrier Preparation and Its Effects on Adjus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70, No.1, pp.8-24, 2007. https://doi.org/10.1016/j.jvb.2006.04.007
  16. 박가열, "대학생의 진로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 요구도 분석", e-고용이슈, 제23호, pp.1-23, 2008.
  17. 안창규, 박성미, "진로 및 적성탐색검사를 활용한 상담모형", 한국진로상담학회지, 제4권, 제1호, pp.21-51, 1999
  18. 박정희, 김홍석,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과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6 권, 제11호, pp.125-144, 2009.
  19. 김봉환,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20. 허정철, "부모의 양육태도와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진로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9호, pp.504-513,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9.504
  21. 한혜경,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경험: 그 과정과 의미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제11권, 제2호, pp.153-180, 2000.
  22. 김기헌, "일하는 고등학생들: 재학 중 시간제 취업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학, 제7권, 제6호, pp.115-144, 2003.
  23. 김예성, 김선숙, "청소년 아르바이트 경험이 비행 및 중비행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경로탐색", 사회복지연구, 제40권, 제1호, pp.139-154, 2009.
  24. J. T. Mortimer, M. D. Finch, and M. J. Shanahan, "Work Experience Mental Health and Behavioral Adjustment in Adolescence,"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Vol.2, No1, pp.25-57, 1992. https://doi.org/10.1207/s15327795jra0201_2
  25. D. M. Hansen and P. A. Jarvis, "Adolescence Employment and Psychosocial Outcomes," Youth & Society, Vol.31, No.4, pp.417-436, 2000. https://doi.org/10.1177/0044118X00031004002
  26. 장원섭, 김형만, 옥준필,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에 관한 연구 (I): 고등학교단계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9.
  27. A. Bandur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86.
  28. 이학식, 임지훈, SPSS 18.0 매뉴얼, 집현재, 2011.
  29. 정윤경, 우리나라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와 관련 변인, 한국고용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2005.
  30. 이상록, "지방대학생의 재학 중 근로경험 실태 및 진로준비에의 영향분석", 한국청소년연구, 제 15권, 제1호, pp.5-39, 2004.
  31. 허정철,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227-236,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0.227
  32. 신희경, 김우영,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결정동기에 관한 연구: 개인, 가정, 학교의 역할", 직업능력개발연구, 제8권, 제2호, pp.47-83, 2005.
  33. 박효희, 성태제, "성별 진로성숙도 변화에 있어 부모-청소년 자녀 유대가 미치는 종단적 매개효과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제9권, 제1호, pp.117-142,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