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Affecting the Baby Boom Generation's Preparation for Old Age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Received : 2013.08.22
  • Accepted : 2013.09.26
  • Published : 2013.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baby boom generation's preparation for old age, and based on that, it will provide foundational data to improve the baby boom generation's preparation for life in old age.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with regard to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ir sex, age, health conditions, average monthly income, attitudes to old age, and anxiety about aging ma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preparation for old age. In other words,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old age is higher in women than men, those who are older, those having better health conditions, those with higher average monthly income, and those with better attitudes to old age, and those whose anxiety about aging is lower.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the paper intends to make the following political suggestions: first, it is needed to develop preparation for old age services appropriately for each generation's needs and characteristics in consideration of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for preparation for life in old age by steps and change their consciousness to enhance their attitudes to old age. Third, it is needed to develop and distribute a variety of mental health programs that can lower their anxiety about aging.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생활 준비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성별, 연령, 건강상태, 월평균소득이 그리고 노후태도, 노후불안이 노후준비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자보다는 여자가, 연령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월평균소득이 높을수록 그리고 노후태도가 높을수록, 노후불안이 낮을수록 노후준비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책제언을 하면,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세대별 욕구와 특성에 맞는 노후준비 서비스가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노후태도를 높일 수 있는 의식변화와 단계별 노후생활 준비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노후불안을 낮출 수 있는 다양한 정신건강 프로그램이 개발 보급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2013년 장례인구추계, 2013.
  2. 나일주, 임찬영, 박소화,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대비를 위한 정책방향", 노인복지연구, 제42권, pp.151-174, 2008.
  3. 한국경영자총협회, 숫자로 본 경제: 베이비붐 세대 712만 명, 월간 경영, 제372권, p.36, 2010.
  4. 김미혜, 문정화, 신은경, "베이비부머의 부부관계 특성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7권, 제3호, pp.211-239, 2012.
  5. 김미혜,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 실태와 노후 준비교육의 방향", 은퇴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참여 활성화를 위한 한.일 대응방안, 교보생명.한국노인인력개발원, pp.87-111, 2010.
  6. 박창제, "베이비부머의 노후를 대비한 사적재무적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보장연구, 제27권, 제4호, pp.327-351, 2011.
  7. 정호성, 베이비붐 세대 은퇴의 파급효과와 대응방안, 삼성경제연구소, 2010.
  8. 석재은, 이기주, 베이비붐 세대의 경제활동특성별 유형화와 다층노후소득보장 전략, 한국사회보장학회 추계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pp.25-74, 2010.
  9. 이성균, 베이비붐 세대의 건강과 노동능력, 한국노동연구원, 2010.
  10. 한준, 베이비붐 세대의 경제적 자산과 사회적 자본, 한국노동연구원, 2010.
  11. 이소정,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 실태와 노후 설계 지원서비스의 방향, 보건사회연구원, 2011
  12. 김의철, 박영신, 김명언, 이건우, 유효식, "청소년, 성인, 노인세대의 차이와 생활만족도", 한국심리학회지, 제5권, 제1호, pp.119-145, 2000.
  13. 박현식,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와 성공적 노후 관계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58호, pp.281-302, 2012.
  14. 김수현, 직장인들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5. 박창제, "중.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 요인", 한국사회복지학, 제60권, 제3호, pp.275-297, 2008.
  16. 조추용, 송미영, 이근선,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제43호, pp.135-156. 2009.
  17. 이선형, 최은희, "안정적 노후준비 가계의 특성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에비노인의 경제적 노후준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경영학회지, 제14권, 제4호, pp.193-194. 2010.
  18. 이용재,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 특성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253-261,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253
  19. 김양이, 이채우, "중년층의 노후준비 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19권, pp.55-82, 2008.
  20. 강유진, "한국 성인세대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30, 40, 50대 기혼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제16권, 제4호, pp.159-174, 2005.
  21. 홍성희, 곽인숙, "중년기 남녀 봉급생활자의 은퇴계획 비교분석; 경제적준비와 건강준비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4권, 제1호, pp.193-207, 2006.
  22. 황승일, 초기노인의 노후관련태도와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23. 김주성, 최수일, "라이프스타일이 노후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한국가족복지학회지, 제15권, 제3호, pp.97-119, 2010.
  24. 김백수, 이정화, "중년층의 사회적 노후준비 결정요인분석: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제21권, 제3호, pp.411-425, 2010.
  25. 배문조, 전귀연, "은퇴에 대한 태도 및 은퇴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가정학회지, 제42권, 제7호, pp.89-102, 2004.
  26. 배옥현, 김태선, 홍상욱, "노후생활의식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자원문제연구, 제11호, pp.147-162, 1992.
  27. K. F. Ferraro, "Cohort Analysis of Retirement Preparation 1974-1981,"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Vol.45, No.1, pp.21-31, 1990. https://doi.org/10.1093/geronj/45.1.S21
  28. 유인순, 최수일, "베이비부머의 성격특성이 노후 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245-262, 2012.
  29. 박관영,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생활 인식 수준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0. K. P. Lasher and P. J. Faulkender, "Measurernent of aging anxiety: Development of the anxiety about aging scal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 Human Development, Vol.37, No.4, pp.247-259, 1993. https://doi.org/10.2190/1U69-9AU2-V6LH-9Y1L
  31. S. M. Nynch, "Measurernent and prediction of aging anxiety," Research on Aging, Vol.22, No.5, pp.533-558, 2000. https://doi.org/10.1177/0164027500225004
  32. L. A. Harris and S. M. Clancy Dollinger, "Individual differences in personality traits and anxiety about ag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4, pp.187-194, 2003. https://doi.org/10.1016/S0191-8869(02)00019-3
  33. 보건복지부, 저출산 고령화 현상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06.
  34. 양순미, 홍숙자, "중년기 농촌여성의 노후준비와 관련변인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0권, 제6 호, 2002.

Cited by

  1. Study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conomic Retirement Preparation for People Living with Disabilities Based on Andersen's Behavioral Model vol.15, pp.10, 2014, https://doi.org/10.5762/KAIS.2014.15.10.60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