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경력몰입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Career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Day-care Teachers

  • 투고 : 2013.09.04
  • 심사 : 2013.11.07
  • 발행 : 2013.12.28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경력몰입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정서지능의 중요성 및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원시 소재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2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경력몰입, 조직몰입은 모두 중간 점수 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둘째,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은 경력몰입 및 조직몰입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경력몰입과 조직몰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경력몰입에 대해 약 20.1%의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지능의 하위 변인 중 자신을 동기화하기, 자신의 정서 인식하기 순으로 경력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조직몰입에 대해 14.2%의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지능의 하위 변인 중 자신을 동기화하기가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day-care teachers on their career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n attemp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day-care teachers. Two hundred and three teachers in day-care centers in Gyeonggi-do Suwon-si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descriptive,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day-care teache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career commitment.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motivating oneself and knowing one's emotion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commitment. Seco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day-care teache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motivating oneself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commit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J. Ciarrochi, J. P. Forgas, and J. D. Mayer, 정서 지능 [Emotional intelligence], 박재현, 장승민, 권성우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5(원서 2001 출판).
  2. M. Laupa and E. Turiel, "Children's concepts of authority and social contexts," J.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85, pp.191-197, 1993. https://doi.org/10.1037/0022-0663.85.1.191
  3. G. F. Melson, "The development of metasocialization: A theoretical framework," J.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Vol.10, pp.241-266, 1989. https://doi.org/10.1016/0193-3973(89)90007-5
  4. C. Day, 열정으로 가르치기 [A Passion for Teaching](박은혜, 이진화, 위수경, 조혜선 옮김), 서울: 파란마음, 2007(원서 2007 출판).
  5. 권정윤,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정서노동 및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제30권, 제6호, pp.269-289, 2010.
  6. 이진화,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만족도, 소진과의 관계", 아동교육, 제16권, 제4호, pp.199-210, 2007.
  7. 김영은,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소진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8권, 제6호, pp.57-76, 2012.
  8. 이혜원, "보육교사 조직몰입과 경력몰입,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제15권, 제2호, pp.109-126, 2011.
  9. 송미선, 김소양,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6권, 제4호, pp.99-119, 2009.
  10. 이진화, 이혜원, 유진경,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정서노동과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제5권, 제2호, pp.117-136, 2010.
  11. P. Salovey and J. D. Mayer,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Vol.9, pp.185-211, 1990. https://doi.org/10.2190/DUGG-P24E-52WK-6CDG
  12. D. Goleman, Emotional Intelligence: Why IT can matter more than IQ, London: Bloomsbury, 1995.
  13. G., Matthews and M. Zeidner, 정서지능: 그 오해와 진실 [Emotional intelligence: Science & Myth], 문용린, 곽윤정, 강민수, 최경아 옮김, 서울: 학지사, 2010(원서 2002 출판).
  14. 이진화, 이승연, "보육교사가 지각한 의사결정참여와 직무만족의 관계분석", 유아교육학논집, 제10권, 제1호, pp.229-250, 2006.
  15. 조성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제36권, pp.23-44, 2004.
  16. 서문희, 이옥, 백화종, 박지혜, 2004년도 전국 보육, 교육 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2005.
  17. 오연주, 한유미, "스웨덴과 한국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전문성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2권, 제1호, pp.99-122, 2005.
  18. 이주연, 지명원, "감정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 역할갈등, 자아탄력성 및 이직의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191-200,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191
  19. 이기은, 경력몰입의 결정요인과 경력몰입이 구성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20. S. M. Colarelli and R. C. Bishop, "Career commitment: functions, correlates and management," Group & Organization Management, Vol.15, No.2, pp.158-177, 1990. https://doi.org/10.1177/105960119001500203
  21. 김진아, 보육종사자가 지각한 보육시설의 조직 문화와 조직효과성,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22. N. J. Allen and J. P. Meyer,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irma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 of Occupational Psychology, Vol.63, pp.1-18, 1990. https://doi.org/10.1111/j.2044-8325.1990.tb00506.x
  23. 김영은, "사회적 교환이론에 근거한 조직지원인식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제11권, 제3호, pp.45-64, 2011.
  24. 조부경, 고영미, 박근히,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자악념 요인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제24권, 제6호, pp.25-41, 2003
  25. 이경애, 이주연, "시설장의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경력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제38호, pp.187-210, 2012.
  26. 최승규, 초등학교 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27. 최일선, 조운주, 유아교육평가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2010.
  28. G. Blau, "Further exploring the meaning and measurement of career commitment," J. of Vocational Behavior, Vol.32, pp.284-297, 1988. https://doi.org/10.1016/0001-8791(88)90020-6
  29. 임승옥, 기업조직원의 인적자원전략 인식과 조직몰입 및 경력몰입의 관계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30. 노은숙, 부성숙,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제43집, 제4호, pp.113-135, 2012.
  31. 부성숙, 김반재,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자아개념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제21권, 제4호, pp.649-664, 2012.
  32. S. L. Goldman, D. T. Kraemer, and P. Salovey, "Beliefs about mood moderate the relationship of stress to illness and symptom reporting," J. of Psychosomatic Research, Vol.41, No.2, pp.115-128, 1996. https://doi.org/10.1016/0022-3999(96)00119-5
  33. C. S., Wong and K. S. Law, " The effect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Vol.13, pp.243-274, 2002. https://doi.org/10.1016/S1048-9843(02)000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