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병원코디네이터 교육프로그램 분석연구

Analyzing Training Program for Hospital Coordinators

  • 투고 : 2013.07.29
  • 심사 : 2013.11.26
  • 발행 : 2013.12.28

초록

병원코디네이터 교육은 아닌 병 의원 실무에서 가장 필요로 요구하는 것을 반영하여 병원서비스 전문인력으로서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표준화된 교육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이 연구는 병원코디네이터 민간자격증 발급기관과 자격취득을 위한 검정과목 및 사설교육기관의 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하고, DACUM(Developing A Curriculum) 법을 활용하여 각 유형별 병원코디네이터가 의료서비스 현장에서 요구되는 기본역량과 핵심역량을 분석하여 표준화된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병원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전문가 11명을 대상으로 DACUM 법을 통하여 도출된 공통기본역량은 친절한 서비스마인드, 고객을 가족처럼 생각하는 마음가짐, 고객응대 및 전화예절과 매너, 커뮤니케이션 스킬, 고객 심리학, 의학기초, 건강보험관련이해, OA(Office Automation)장비활용능력, 컴퓨터 활용능력, 병원정보관리 및 프로그램 활용능력, 직원들과의 친화력 등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16개의 교과목을 포함한 표준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It is needed to provide a supplicated and standardized training program for hospital coordinators to boost their competencies as profession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standardized training program for hospital coordinators especially trained at private institutions. Using DACUM method, with 11 professionals, we first developed competencies required for hospital coordinators. They were service mind, attitude, MOT(Moment of Truth) & phone-call etiquette, communication skill, customer behavior, basic medical terminology, insurance, computer skills, etc. Finally, we proposed a standardized training program for hospital coordinators which covers 16 subject areas.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순복, 김영남, 문희정, 신명숙, 한경숙, 한순진, "치과코디네이터의 업무수행 및 인식도에 관한 조사연구", 치과위생과학회지, 제5권, 제4호, pp.211-220, 2005.
  2. 최영진, "병원코디네이터에 관한 인식과 양성교육의 효과", 심리행동연구, 제3권, 제2호, pp.125-142, 2011.
  3. 이태경, 병원코디네이터의 관계혜택이 관계의 질및 장기적 관계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4. 유형식, 김기훈, "병원코디네이터 주문식 교육과정 개발 연구", 경북전문대학 논문집, 제23권, pp.493-523, 2005.
  5. 조경원, "보건의료 직업윤리 및 서비스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0호, pp.224-233, 2008.
  6. 박수아, 병원코디네이터의 역할과 필요도 인식에 관한 조사, 경희대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7. 임복희, 정연화, 김혜숙, "치과 코디네이터 업무수행 효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1호, pp.189-197, 2010.
  8. 정연화, 일차의료기관에서의 병원코디네이터 업무에 관한연구, 부산가톨릭대학교 생명화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9. 이상준, "병원코디네이터 직무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4.
  10. 유형식, 김기훈, 병원코디네이터의 역할과 필요도 인식에 관한 조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1. 임혜경, 김정아, 병원서비스코디네이터 길라잡이, 새로운사람들, 2003.
  12. 조석련, 대학평생교육원 병원서비스 코디네이터 프로그램의 운영실태와 내용분석,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3. 김미경, 의료관광 코디네이터의 역할 인식도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4. http://www.pqi.or.kr/indexMain.do
  15. L. Anderson, S. Scrimshaw, M. Fullilove, J. Fielding, and J. Normand, "Culturally Competent Health care Systems:A Systemic Review,"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Vol.24, pp.68-79, 2003. https://doi.org/10.1016/S0749-3797(02)00657-8
  16. K. Bozorgmehr, "The 'global health' education framework: a conceptual guide for monitoring," evaluation and practice, 2011.
  17. 김숙정, 김기훈, 유형식, "실버헬퍼형(Silver Helper) 병원코디네이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경북전문대학 논문집, 제26권, pp.357-386, 2008.

피인용 문헌

  1. Development of practical curriculum for dental coordinator based on DACUM vol.42, pp.4, 2018, https://doi.org/10.11149/jkaoh.2018.42.4.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