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생애전환 초기 노인의 성별에 따른 낙상경험 및 내재적 요인 비교

Comparisons of the Falls and Intrinsic Fall Risk Factors according to Gender in the elderly at Ttransitional Periods of Life

  • 임은실 (대구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 김도숙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
  • 김보환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 투고 : 2013.09.09
  • 심사 : 2013.11.14
  • 발행 : 2013.12.28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생애전환기를 맞이한 초기노인을 대상으로 낙상경험과 낙상의 내재적 요인을 성별에 따라 비교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자는 2008년 1월부터 12월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실시한 66세 생애전환기 건강진단검사를 받은 수검자 중 자료가 불충분한 것을 제외한 255,505명을 대상으로 2차분석한 서술적 단면연구이다. 연구결과: 생애전환기를 맞이한 66세 초기노인의 낙상경험은 전체 10.6%로 남자 8.5%, 여자 12.4%로 여성노인이 남성노인에 비해 낙상비율이 높았다. 남녀에서 낙상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배뇨장애 6.2-6.6배, 우울 1.5-1.8배, 보행장애 1.3-1.5배, 및 실명 1.3-1.4배 순서로 나타났다. 연구결론: 비록 내적 낙상위험요인이 다양할지라도 효과적인 낙상예방을 위해서 배뇨장애가 중요한 내재적 예측요인이며, 이는 초기노인의 낙상에 영향을 줄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elderly falls and the intrinsic fall risk factors according to gender. METHODS: This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was a secondary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for medical checkups for the Transitional Periods of Life supported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The subjects examined were 255,505 people aged 66 years in Korea between January and December, 2008. RESULTS: The elderly people aged 66 when in the transitional periods of life experienced 10.6% of their first falls. The first falls of women (12.4%) was greater than that of men (8.5%) in the elderly. The risk factors for falls included dysuria with an odds ratio of 6.2 to 6.6, depression with an odds ratio of 1.5 to 1.8, gait disturbance with an odds ratio of 1.3 to 1.5, and blindness with an odds ratio of 1.3 to 1.4 in both elderly women and men. CONCLUSIONS: Effective fall prevention should focus on dysuria because it is a more important predictor of falls, even though many intrinsic fall risk factors can affect falls in elderly people.

키워드

참고문헌

  1. http://kosis.kr/wnsearch/totalSearch.jsp
  2. 백진호, 현승권, "노인의 건강행동과 삶의 질에 대한 고찰", 코칭능력개발지, 제7권, 제2호, pp.13-24, 2005.
  3. 이가옥, 서미경, 고경환, 박종돈, 노인생활실태분석 및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4.
  4. 질병관리본부, 2005 국민건강영양조사, 2006.
  5. 김종민, 이명선, 송현종, "노인의 성별 낙상관련 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5권, 제2호, pp.1-18, 2008.
  6. 김종민, 서혜경, "노인생애주기에 따른 낙상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7권, 제1호, pp.21-34, 2010.
  7. 최경원, 박언아, 이인숙, "지역사회 재가 허약노인의 낙상두려움 관련요인 성별비교", 한국노년학, 제31권, 제3호, pp.539-551, 2011.
  8. 김종민, 이명선,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들이 낙상사고 관련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4권 제4호, pp.23-39, 2007.
  9. 유은정, 전태원, 박현, "낙상골절 경험이 노인여성의 낙상관련 체력요인, 심리적 요인,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제22권, 제4호, pp.101-115, 2008.
  10. 신경림, 강윤희, 정덕유, 김미영, 윤은숙, 마예원, "지역사회 여성노인의 인지기능에 따른 낙상발생 빈도, 낙상두려움 및 지각된 건강상태", 한국노년학, 제31권, 제4호, pp.1155-1167, 2011.
  11. 윤은숙, "지역사회 노인의 성별에 따른 낙상 예측모형", 대한간호학회지, 제42권, 제6호, pp.810-818, 2012. https://doi.org/10.4040/jkan.2012.42.6.810
  12. 탁영란, 안지연, "재가노인의 재낙상 관련요인 분석", 한국생활환경학회, 제18권, 제3호, pp.291-300, 2011.
  13. J. Lim, S. Jang, W. Park, M. Oh, E. Kang, and N. Paik, "Association between exercise and fear of falling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Koreans: results of a cross-sectional public opinion survey," Arch Phys Med Rehabil, Vol.92, No.6, pp.954-959, 2011. https://doi.org/10.1016/j.apmr.2010.12.041
  14. 이주현, 안은미, 김계은, 정유경, 김정현, 김지혜, 이건아, 임세진, 정소원, "한국 농촌지역 노인에서 낙상경험과 낙상두려움이 일상활동 제한에 미치는 영향", 노인병, 제13권, 제2호, pp.79-88, 2009.
  15. 임경춘, 전경자, 윤종률, "재가 노인의 낙상공포 여부에 따른 건강상태, 신체기능상태 및 가정환경 위험 비교", 한국노년학, 제29권, 제4호, pp.1577-1589, 2009.
  16. 전경숙, "노년기 건강의 사회적 요인의 성별차이", 한국노년학, 제28권, 제3호, pp.459-475, 2008.
  17. M. E. Tinetti, M. Speechley, and S. F. Ginter, "Risk factors for falls among elderly persons living in the community,"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319, No.26, pp.1701-1707, 1988. https://doi.org/10.1056/NEJM198812293192604
  18.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업무처리, 2008.
  19. 이선자, 장숙랑, "농촌 노인의 안과적 증상 및 안질환 실태", 한국노년학, 제19권, 제3호, pp.155-165, 1999.
  20. 원장원, 노용균, 김수영, 이은주, 윤종률, 조경환, 신호철, 조비룡, 오정렬, 윤도경, 이홍순, 이영수, "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ADL)와 한국형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IADL)의 개발", 노인병, 제6권, 제2호, pp.107-120, 2002.
  21. World Health Organization,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Report of a WHO Consultating on Obesity, 1998.
  22. S. Lee, H. Park, D. Kim, J. Han, S. Kim, G. Cho, D. KIm, H. Kwon, S. Kim, C. Lee, S. Oh, C. Park, and H. Yoo, "Appropriate waist circumference cutoff points for central obesity in Korean adults," Diabetes Res Clin Pract Vol.75, No.1, pp.72-80, 2007. https://doi.org/10.1016/j.diabres.2006.04.013
  23. 기백석, "한국판 노인 우울척도단축형의 표준화 예비연구", 신경정신의학, 제35권, 제2호, pp.298-307, 1996.
  24. 조비룡, 손기영, 오범조, 김석중, 권인순, 박병주, 선우덕, 윤종률, 원장언, 황환식, 가혁, "한국형 외래 노인건강평가도구의 개발 및 타당도, 신뢰도 조사", 노인병, 제10권, 제2호, pp.68-76, 2006.
  25. 양동원, 조비룡, 최진영, 김상윤, 김범생, "Korean Demential Screening Questionnaire Scale(KDSQ) 개발과 타당도 및 신뢰도 평가", 대한신경과학회지, 제2권, 제2호, pp.135-141, 2002.
  26. P. Abrams, L. Cardozo, M. Fall, D. Griffiths, P. Rosier, and U. Ulmsten, "The standardisation of terminology of lower urinary tract function: report from the Standardisation Sub- 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Continence Society," Neurourology Urodynamics, Vol.21, No.2, pp.167-178, 2002. https://doi.org/10.1002/nau.10052
  27. 염지혜, 나항진, "한국노인의 낙상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제32권, 제2호, pp.577-592, 2012.
  28. 추진아, 김은경 "지역사회거주 노인에서 낙상유경험자와 무경험자간의 삶의 질 비교", 근관절건강학회지, 제19권, 제3호, pp.373-382, 2012. https://doi.org/10.5953/JMJH.2012.19.3.373
  29. 최경원, 이인숙, "도시빈곤 노인의 낙상발생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40권, 제4호, pp.589-598, 2010.
  30. 김윤숙, 최스미, "종합병원 입원환자의 낙상위험 요인 및 낙상 위험도 평가", 성인간호학회지, 제25권, 제1호, pp.74-82, 2013.
  31. J. Parsons, J. Mougey, L. Lambert, T. Wilt, H. Fink, M. Garzotto, E. Barrett-Connor, and L. Marshall,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increase the risk of falls in older men," BJU International, Vol.104, No.1, pp.63-68, 2009. https://doi.org/10.1111/j.1464-410X.2008.08317.x
  32. 김은경, 이재창, 엄미란, "입원환자의 낙상위험예측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제38권, 제5호, pp.676-684, 2008.
  33. 박형숙, 박경연,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사지근력과 낙상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작용", 대한간호학회지, 제38권, 제5호, pp.730-738, 2008.
  34. H. Song, M. Han, H. Kang, K. Park, K. Kim, M. Kim, J. Kang, E. Park, M. Hyun, and C. Kim. "Impact of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and Depression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Int Neurourol J, Vol.16, No.3, pp.132-138, 2012. https://doi.org/10.5213/inj.2012.16.3.132
  35. 박순우, "금연상담과 과학적 근거: 금연동기 유발과 재흡연 예방을 중심으로", 대한의사협회지, 제54권, 제10호, pp.1036-1046, 2011.
  36. K. Faulkner, J. Cauley, S. Studenski, D. Landsittel, S. Cumming, K. Ensrud, M. Donaldson, and M. Nevitt, "Lifestyle predicts falls independent of physical risk factors," Osteroporos Int, Vol.20, pp.2025-2034, 2009. https://doi.org/10.1007/s00198-009-0909-y
  37. P. Kwo, V. Ramchandani, S. O'Connor, D. Amann, L. Carr, K. Sandraseqaran, K. Kopecky, and T. Li, "Gender differences in alcohol metabolism: Relationship to liver volume and efect of adjusting for body mass," Gastroenterology, Vol.115, No.6, pp.1552-1557, 1998. https://doi.org/10.1016/S0016-5085(98)70035-6
  38. 김연수, 이온, 이정하, 김재희, 최보율, 김미정, 김태곤, "한국 노인의 근력과 낙상두려움의 연관성",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31권, 제1호, pp.13-19, 2013.
  39. 장기연, 우희순, "여성노인에게 적용한 낙상예방 작업치료가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2호, pp.232-240, 2010.
  40. G. Price, R. Uauy, E. Breeze, C. Bulpitt, and A. Fletcher, "Weight, shape, and mortality risk in older persons: elevatef waist hip ratio, not high body mass index, is associated with a greater risk of death," Am J Clin Nutr, Vol.84, pp.449-460, 2006.
  41. B. Chan, L. Marshall, K. Winters, K. Faulkner, A. Schwartz, and E. Orwoll, "Incident fall risk and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performance among older men: the osteoprotic fractures in men study," Am J Epidemiol, Vol.165, No.6, pp.696-703, 2007. https://doi.org/10.1093/aje/kwk050
  42. K. Heesch, J. Byles, and W. Brown, "Prospective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falls in community-dwelling older women,"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Vol.62, No.5, pp.421-426, 2008. https://doi.org/10.1136/jech.2007.064147
  43. 김정연, 이석구, 이성국, "노인에서 건강행태, 건강수준, 일상생활수행능력,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 한국노년학, 제30권, 제2호, pp.471-484, 2010.

피인용 문헌

  1. Factors Influencing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in Community-dwelling Old Adults vol.29, pp.4, 2018, https://doi.org/10.12799/jkachn.2018.29.4.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