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ingle Mothers' Experiences of Public Support Service: The Case Study of Single Mothers Who are Lack of Work Ability

근로능력이 부족한 여성한부모의 공공부조서비스 이용 경험

  • 성정현 (협성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지혜 (협성대학교 교양교직학부)
  • Received : 2013.09.02
  • Accepted : 2013.11.11
  • Published : 2013.12.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utilizing experience of public support service of the single mothers, who have been assessed as inability in aspect of labor. For this purpose of this study, we had in-depth interview five interviewees who had adolescent children or non-adult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from 20s to 50s. From the outcomes of this study, we figured out that they had attempted to escape from the poor realities of life and to help the family budget through their work. However, they could not have plans to fulfill their aims, because of the unhealthy body conditions, the high working costs, the burdens for parenting or child-rearing, and the low levels of working ability. It has been shown that their parenting stresses and depressions from their hard realities have been reinforced, and those psycho-emotional pressures have been projected to connect with the inappropriate disciplines and parenting or child-rearing. And it has been reinforced through utilizing public support service. Consequently, they have become chronic through the repeated disappointment and unhealthy psycho-emotional condition. In this study, we discussed and proposed the labor policies and practical suggestions which have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efficient judgement systems for work inability.

본 연구는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중 근로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판정된 여성한부모의 공공부조서비스 이용경험을 탐색하여 개선 방안을 모색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대~50대의 미성년자녀가 있는 수급자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이들은 일을 통해 가계에 보탬이 되고 자녀에게 가난한 어머니로서의 이미지를 벗어나고자 수없이 시도하였으나 좋지 않은 건강과 일을 배우는데 드는 비용, 자녀양육부담, 그리고 근로능력판정상의 점수 등으로 본인의 계획을 관철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가난한 어머니로서의 스트레스와 우울감이 강화되고, 또 자녀에게 부적절한 훈육과 양육으로 투사되었다. 이는 공공부조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더 강화되는 경향이 있었다. 결국, 자격 평가 기준에 따른 좌절의 반복과 심신의 건강의 악화로 근로무능력 상태가 장기화되면서 수급자로 만성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결론에서 근로능력 판정제도와 관련된 정책 및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국민기초생활수급자현황, 2013.
  2. 성정현, 송다영, "근로빈곤층 여성가장 가구의 생활실태와 심리사회적 문제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Vol.25, pp.81-106, 2006.
  3. 성미애, 진미정, "빈곤 한부모 여성의 부모권 보장과 일.가족 양립", 가족과 문화, Vol.21, No.3, pp.1-28, 2009.
  4. 김정현, 가난한 이혼 여성의 사회적 배제경험과 기제,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2012.
  5. 유연정, 복지낙인이 여성가구주의 탈빈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여성학 석사학위논문, 2005.
  6. 김은정, 진미정, "빈곤 여성가장 가족의 소득구성과 물질적 곤궁 경험", 사회복지연구, Vol.27, pp.163-188, 2005.
  7. 최은주, 빈곤여성가구주의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8. 송다영, 김유나, "빈곤여성가장을 위한 서비스 제공에 대한 민-관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 거버넌스 실현의 현실적 간격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Vol.60, No.3, pp.177-200, 2008.
  9. 김지연, 우리나라 공공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0. 허선,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서 근로능력자 분리 주장에 대한 비판적 고찰, 상황과 복지", Vol.30, pp.197-229, 2010.
  11. 이상은, "근로능력 빈곤가구에 대한 빈곤정책의 방향", 사회보장연구, Vol.20, No.3, pp.27-56, 2004.
  12. 강신욱, 성명재, 이철인, 저소득층 생계비 지원정책의 개선방안 연구, 한국조세연구원, 2008.
  13. http://www.mw.go.kr/
  14. 참여연대, "빈곤층에게 책임 전가하는 기초수급자 근로능력 판정제도", 2009.12.31.보도자료.
  15. 참여연대, "국가인권위에 근로능력 판정기준에 대한 정책권고 요청", 2010(1.7).
  16. 염춘미, "기초수급자 근로능력판정 체계 개편과 관련하여", 중부신문, 2013(2.19).
  17. K. McCormac, "Resisting the Welfare Mother: The Power of Welfare Discourse and Tactics of Resistance," Critical Sociology, Vol.20, Iss.2, pp.355-382, 2004.
  18. R. Rogers-Dillon, "The dynamics of welfare stigma," Qualitative Sociology, Vol.18, No.4, pp.439-456.
  19. J. Stuber Stuber and M. Schlesinger, "Sources of stigma for means-tested government programs," Social Science & Medicine, Vol.63, No.4, pp.933-945, 2006.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6.01.012
  20. 조문영, 가난의 문화 만들기-빈민지역에서 '가난'과 '복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대인류학과 석사학위논문, 2001.
  21. 이혜경, 복지stigma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4.
  22. 이희연,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가구의 사회적 배제경험에 관한 문화기술지 연구", 제25권, 제1호, pp.281-315, 2009.
  23. C. S. Crandall and R. Coleman, "AIDS-related stigmatization and the disruption of social relationships," J.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thips, Vol.9, pp.163-177, 1992. https://doi.org/10.1177/0265407592092001
  24. C. Baxter, "Investigating stigma as stress in social interactions of parents," J. of Mental Deficiency Research, Vol.33, pp.455-466, 1989.
  25. B. G. Link, E. L. Struening, M. Rahav, J. C. Phelan, and L. Nuttbrock, "On stigma and its consequences: Evidence from a longitudinal study of substance abuse," J. of Health and Social Behaviour, Vol.38, pp.177-190, 1997. https://doi.org/10.2307/2955424
  26. 장윤진, 사회적 낙인, 자기 낙인과 상담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에서 수치심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7. Nichols-Casebolt,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Income Testing Income-support Benefits," Social Science Review, Vol.60, No.2, pp.287-302, 1986.
  28. 이원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지위변화와 우울의 관계", 한국사회복지학, Vol.62, No.4, pp.249-274, 2010.
  29. K. D. Mickelson and S. L. Williams, "Perceived stigma of Poverty and Depression: Examination of Interpersonal and Intrapesonal Mediators," J.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Vol.27, No.9, pp.903-930, 2008. https://doi.org/10.1521/jscp.2008.27.9.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