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ormal Characteristics of Joseon Films in the Early 1920s

1920년대 초반 조선영화의 형식적 특징

  • 한상언 (한양대학교 연극영화과) ;
  • 정태수 (한양대학교 연극영화과)
  • Received : 2013.09.27
  • Accepted : 2013.11.12
  • Published : 2013.12.28

Abstract

Early 1920s, Joseon film production began with Japanese colonial rule organization and expanded into civilian. These films were influenced by the documentary film what recorded the scenery and the custom also influenced by kino drama that displayed the place of a dramatic incident. So these films developed into the form emphasize on place. At that time, hollywood serial films were popular. So the first Joseon films shooted a picturesque place and a landmark of the city in the background where heros took a risk. In the style stakes, Joseon films looked very similar to Japanese films. shooted long-take and long-shot, it had rhythm with narration of benshi and emphasized on visual excitation by using color. Early 1920s Joseon films which were similar to Japanese films changed from Japanese style to Hollywood style caused by Na woon-kyu's .

1920년대 초반 조선영화의 제작은 식민지지배기구에서 시작되어 민간으로 확대되었다. 이들 영화는 풍경과 풍속을 기록한 실사영화와 극적 사건이 일어나는 장소를 촬영하여 보여주는 연쇄극의 자장 안에서 형성되어, 장소를 강조하는 형식으로 발전했다. 이 당시 할리우드 연속영화의 영향으로 조선의 주요한 경승지를 위험과 모험이 일어나는 장소로 사용했다. 하지만 스타일적인 면에 있어서는 롱테이크와 롱쇼트로 촬영되었고, 단조로운 화면은 변사의 설명으로 리듬감을 주었고, 필름에 색을 넣어 시각적인 자극을 강조하는 등 일본영화와 같았다. 일본영화와 비슷했던 1920년대 초반 조선영화는 나운규의 <아리랑>의 등장으로 보다 할리우드 영화와 같은 모습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京城の演藝界", 朝鮮新聞, 1910.7.17.
  2. 한상언, "1920년대 초반 조선의 영화산업과 조선 영화의 탄생", 영화연구, 제55호, pp.661-662, 2013.
  3. 한상언, "1920년대 초반 조선의 영화산업과 조선 영화의 탄생", 영화연구, 제55호, pp.662-668, 2013.
  4. 한상언, "1920년대 초반 조선의 영화산업과 조선 영화의 탄생", 영화연구, 제55호, pp.668-671, 2013.
  5. 홍영철, 부산근대영화사, 산지니, pp.51-54, 2009.
  6. 권혁희, 조선에서 온 사진엽서, 민음사, p.79, 2005.
  7. "仁川の連鎖劇", 朝鮮新聞, 1915.4.1.
  8. 한국예술연구소 편, 이영일의 한국영화사를 위한 증언록-이필우 편, 소도, pp.181-182, 2003.
  9. 백문임, "조선영화의 '풍경의 발견' : 연쇄극과 공간의 전유", 동방학지, 제158집, pp.291-292, 2012.
  10. "[廣告] 義理的仇討", 每日申報, 1919.10.26.
  11. "林聖九一行의 連鎖劇", 每日申報, 1920.3.24.
  12. "映畵劇으로 表現된 春香傳", 每日申報, 1923.8.23.
  13. 安鍾和, 韓國映畵側面秘史, 현대미학사, p.66, 1998.
  14. 서기재, "기이한 세계로의 초대", 일본어문학, 제40집, p.243, 2009.
  15. 李龜永, "朝鮮映畵의 印象", 每日申報, 1925.1.1.
  16. 문정희, "금강산/위엔산/낙토의 표상, 동아시아 식민지 관설 전람회", 미술사논총, 제30집, pp.256-260, 2010.
  17. 정종화, 조선 무성영화 스타일의 역사적 연구, 중앙대 박사논문, p.119, 2012.
  18. 백문임, "조선영화의 '풍경의 발견' : 연쇄극과 공간의 전유", 동방학지, 제158집, p.292, 2012.
  19. 한국예술연구소 편, 이영일의 한국영화사를 위한 증언록-이구영 편, 소도, p.203, 2003.
  20. 한국예술연구소 편, 이영일의 한국영화사를 위한 증언록-이구영 편, 소도, pp.181-182, 2003.
  21. 尹甲容, "雲英傳을 보고", 東亞日報, 1925.1.26.
  22. 安鍾和, 韓國映畵側面秘史, 현대미학사, p.77, 1998.
  23. 三淸洞사팔뜨기生, "珍奇한 沈淸傳", 每日申報, 1925.4.3.
  24. 金乙漢, "[映畵評] 籠中鳥 朝鮮기네마作品", 東亞日報, 1926.6.27.
  25. "黃金館覗",朝鮮新聞, 1914.4.25.
  26. 仁寺洞사팔뜨기,"눈뜨고 못볼 悲戀의曲!", 每日申報, 1924.12.03.
  27. 印鐵, "朝鮮映畵製作所 當局者들에게", 東亞日報, 1925.10.10.
  28. 이순진, 조선영화의 활극성과 공연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 박사논문, p.94, 2009.
  29. "朝鮮映畵の全を語る", 映畵評論, 1941.7, 한국영상자료원 영화사연구소 엮음, 일본어잡지로 본 조선영화 1, 한국영상자료원, p.266,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