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Giving Behavior -Analyzing Moderating Effect of Religiosity-

종교와 기부행동의 관계에 대한 연구 -종교성의 조절효과-

  • Received : 2013.10.04
  • Accepted : 2013.11.11
  • Published : 2013.11.30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religios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secular giving behavior (absolute amount and philanthropic effort). For the analysis, this study utilizes 'Giving Korea 2012' by the Beautiful Foundation and employs Tobit regression model. Focusing on giving amount, major findings are that (1) Protestants and Catholics give greater amounts for secular cause than those with no religious affiliation; and (2) interaction between Protestants and religiosity and interaction between Catholics and religiosity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citizens' secular giving amount in a positive direction. Focusing on philanthropic effort (giving amount divided by family income), major findings are that (1)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types and citizens' philanthropic effort and (2) interaction between Protestants and religiosity and interaction between Catholics and religiosity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citizens'philanthropic effort in a positive direction. This study provides new knowledge foundation on citizens' secular giving behavior and contributes to developing effective fundraising strategies of nonprofit organizations on religion-related donor markets.

본 연구는 종교와 세속적 기부행동(secular giving)의 관계에 있어 종교성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종교와 기부에 대한 새로운 지식의 구축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아름다운재단의 "2012 기부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종교 및 종교성과 기부행동의 관계를 토빗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종교가 없는 경우에 비해 개신교와 가톨릭인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더 큰 규모의 기부를 행하고, 동시에 개신교와 가톨릭의 종교적 배경과 종교성은 기부의 절대적 규모에 정적인 방향에서 결합적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절대적 기부규모에서 소득의 크기를 통제시킨 개념인 기부노력에 초점을 두고 분석한 결과, 종교유형의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고, 개신교와 가톨릭의 종교적 배경과 종교성이 기부노력에 정적인 방향에서 결합적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종교와 종교성에 초점을 두며 이들 변수에서 기부로 이어지는 기부행동 기제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의 초석을 제공하고, 종교적 배경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기관들의 모금전략 수립에서 새로운 이해에 기반한 접근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