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지역 간호사의 구강 악안면 영역 손상에 대한 응급 처치 인식도

Cognition of registered nurse on emergency treatment for oral and maxillofacial injury in Jeju province

  • 이병진 (조선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예방치학교실) ;
  • 송효정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
  • 임길채 (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이비인후과학교실) ;
  • 감세훈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치과학교실) ;
  • 김성준 (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치과학교실)
  • Lee, Byoung-Jin (Department of Preventive and Public Health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Song, Hyo-Jeong (College of Nursing, Jeju National University) ;
  • Lim, Gil-Chai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 Neck Surgery, School of Medicine, Jeju National University) ;
  • Kahm, Se-Hoon (Department of Dentistry, Graduate school,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im, Sung-Joon (Department of Dentistry, School of Medicine, Jeju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2.11.09
  • 심사 : 2012.11.23
  • 발행 : 2012.12.01

초록

The purposes of this work were to assess the cognition of the registered nurse(RN) on oral and maxillofacial emergency treatment and to compare cognition of the RN with that of the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EMT). 450 RNs who were working at each of secondary hospitals in Jeju province had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chi-square test were used to assess the state of RN on dental emergency treatment and to compare RN with EMT. The question 'education time on dentistry in formal education' that marked '0 hour' and '1-3 hours' were 73.3% and 20.0%, respectively. The question 'refresher training class on dentistry' that marked '0 hour' and '1-3 hours' were 92.9% and 6.7%, aggregately 99.6%. The results showed low score in the question 'reduction of temporo-mandibular joint(TMJ)'($1.67{\pm}0.857$), 'fixation of dislocated TMJ'($1.70{\pm}0.853$) and 'post-avulsed tooth treatment'($1.78{\pm}0.774$) by 5-point Likert scale. Likewise, the scores were $2.02{\pm}0.806$ in the question 'treatment of maxillofacial trauma', $2.76{\pm}1.061$ in the question 'emergent care of avulsed tooth', $2.70{\pm}1.095$ in the question 'treatment time of avulsed tooth' and $2.79{\pm}1.056$ in the question 'mouth guard', respectively. Compared to EMT, results of RN showed a statistically lower figure(p<0.05) in all items compared except the question 'medicine control', and the question 'doctor care in emergency room' was borderline(p=0.069). From this study, it is necessary for RN and student of nursing science to be educated on the oral and maxillofacial emergency treatment for the initial management of injuries. Authors suggest further co-study and nation-wide research with nursing care.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참고문헌

  1. Andreasen JO, Andreasen FM. Dental traumatology : quo vadis, Endod Dent Traumatol 1990;6(2):78-80 https://doi.org/10.1111/j.1600-9657.1990.tb00395.x
  2. 보건복지부: 2010년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2011.305,315
  3. 보건복지부: 2003년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요약본. 서울: 보건복지부; 2003. 29,86
  4. 보건복지부: 2006년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조사결과보고서. 서울: 보건복지부; 2007.277
  5. 이동근, 민승기, 양찬영, 문철, 김종구. 원광대학교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치과 응급 환자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지 2002;24(1):31-39.
  6. 김소현, 김도영, 백준석, 정태영, 박상준. 부산백병원 응급실로 내원한 치과 응급환자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지 2012;34(1) :58-64.
  7. 금기천, 팽준영, 최보영, 최정구, 오세리. 이준, 외 4인. 단독 치과 병원 치과 응급실 내원 환자의 임상적 분석.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지 2009;31(1):35-40.
  8. 김성준, 김우정, 이병진. 구강 악안면 영역의 응급 처치에 대한 제주 지역 119 구급 대원의 인식도.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12;36(2):131-136.
  9. 김철규, 서문자. 입원환자 낙상 발생 실태와 원인에 관한 분석 연구. 한국의료QA학회지 2002;9(2) :210-228.
  10. 양화미, 천병철. 일개 종합병원 입원환자의 낙상 실태 및 관련 요인. 한국의료QA학회지 2009;15(2):107-120.
  11. 이은남, 주현옥, 박희숙, 김수미, 박미자, 이영진, 장미라, 안향남. 0.1% 클로르헥시딘을 이용한 구강간호와 생리식염수를 이용한 구강간호의 구강내 병원균 발생빈도 비교. 대한기본간호학회지 2006;13(3):351-358.
  12. 최금봉, 모현숙, 김진선. 중환자실 간호사의 기관 내 삽관 환자에 대한 구강간호 실태 조사. 간호과학논집 2009;21(1):1-12.
  13. 구미지, 김경남, 황선경. 0.12% 클로르헥시딘액과 생리식염수액을 이용한 구강간호가 소아 개심술 환아의 구강상태, 구강 내 세균 발생 수 및 폐 감염 점수에 미치는 효과 비교. 대한기본간호학회지 2011;18(3):356-364.
  14. 최선희, 김영경. 생리식염액을 이용한 구강간호가 중환자실 환자의 구강상태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2004;16(3):452-459.
  15. 박희자, 강현숙. 뇌졸중 환자의 구강인두 기능회복을 위한 감각 자극의 효과. 재활간호학회지 2002;5(1):38-48.
  16. 강명자, 김명희. 구강간호가 방사선 요법을 받는 환자의 구강불편감 완화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1997;9(2):225-238.
  17. 전혜정, 김영혜. 구강냉요법이 암환아의 오심구토와 구강섭취량에 미치는 효과. 아동간호학회 2001;7(1):108-117.
  18. 엄동춘. 백혈병환자의 항암화학요법 중 구강얼음요법의 구내염 예방효과에 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1997;9(2):313-323.
  19. 천순미, 이해정, 김명수. 찬 구강함수액이 항암 화학요법 환자의 구강불편감에 미치는 영향. 종양간호학회지 2007;7(1):68-78.
  20. 박명희, 유양숙. 필로카르핀을 이용한 구강간호가 말기 암환자의 구강 상태와 불편감에 미치는 효과. 대한기본간호학회지 2006;13(2):217-224.
  21. 모현숙, 최금봉, 김진선. 장기요양시설 간호제공자의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지식과 영향요인. 대한기본간호학회지 2008;15(4):428-437.
  22. 박명숙, 최스미, 구강간호교육이 노인요양시설 돌봄제공자의 구강간호 지식, 태도 및 행위와 재원노인의 구강위생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2011;41(5): 684-693.
  23. 박명숙, 류세앙, 지역사회 노인의 구강건조증 정도 및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대한간호학회지 2010;40(5):747-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