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CO2 Emission Factor for Wood Chip Fuel and Reduction Effects

목질계 바이오매스 중 대체연료 우드칩의 온실가스(CO2) 배출계수 개발 및 저감 효과

  • Lee, Seul-Ki (Cooperate Course for Climate Change, Sejong University) ;
  • Kim, Seung-Jin (Departmen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Sejong University) ;
  • Cho, Chang-Sang (Departmen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Sejong University) ;
  • Jeon, Eui-Chan (Cooperate Course for Climate Change, Sejong University)
  • 이슬기 (세종대학교 기후변화협동과정) ;
  • 김승진 (세종대학교 환경에너지융합학과) ;
  • 조창상 (세종대학교 환경에너지융합학과) ;
  • 전의찬 (세종대학교 기후변화협동과정)
  • Received : 2012.07.12
  • Accepted : 2012.09.19
  • Published : 2012.09.29

Abstract

Technology for energy recovery from waste can reduce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So recently, there are several companies using RDF, RPF, WCF instead of using only coal fuel and it's part of the fuel on the increase. In this study, we developed Wood chip fuel $CO_2$ emission factor through fuel analysis. It's moisture content is 23%, received net calorific value is 2,845 kcal/kg, and received basis carbon is 34%. The result of emission factor is $105ton\;CO_2/TJ$, it's 5.9% lower than 2006 IPCC guideline default factor $112ton\;CO_2/TJ$. The gross GHG(Greenhouse gases) emissions of plant A is $178,767ton\;CO_2 eq./yr$, and Net GHG emissions is $40,359ton\;CO_2 eq./yr$. Therefore, the reduction of GHG emissions is $138,408ton\;CO_2/yr$ through using WCF, and I accounts for 77% of all GHG emissions.

폐기물 에너지화가 온실가스 감축 수단으로 등장함에 따라 에너지를 많이 소비하는 국내 사업장 중 화석연료와 함께 RDF(Refuse Derived Fuel), RPF(Refuse Plastic Fuel), WCF(Wood Chip Fuel)와 같은 대체연료를 사용하는 곳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사업장에서 실제 사용하고 있는 고형대체연료 WCF의 연료 분석을 실시하여 $CO_2$배출계수를 개발하였다. 연료 분석 결과, 수분은 23%, 인수식 순발열량은 2,845 kcal/kg, 인수식 탄소함량은 34%였다. 이를 통해 산정한 $CO_2$ 배출계수는 약 $105ton\;CO_2/TJ$로 나타났으며, 이는 2006 IPCC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본 배출계수 $112ton\;CO_2/TJ$보다 약 5.9% 낮게 산정되었다. A 사업장의 온실가스 총배출량은 $178,767ton\;CO_2 eq./yr$이고, 순배출량은 $40,359ton\;CO_2 eq./yr$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바이오매스 기반 대체연료 WCF의 사용으로 인한 $CO_2$ 저감 효과는 연간 $138,408CO_2ton$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연간 총배출량의 약 77%에 해당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