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Yulgok(栗谷)'s Presenting Seonghakjibyo (聖學輯要) to the King Seonjo(宣祖)

『성학집요(聖學輯要)』 진헌의 정치적 성격

  • 박홍규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
  • 송재혁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 Received : 2012.10.09
  • Accepted : 2012.11.03
  • Published : 2012.11.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Yulgok Yi I(栗谷 李珥)'s political intention through his presenting Seonghakjibyo(The Essentials of the Studies of the Sages, 聖學輯要) to the King Seonjo(宣祖), paying attention to his political situation in early reign of the King. Until presenting the book to the King in December 1576(the 8th year of King Seonjo's reign), Yulgok had been neglected from the political development of the King. So his presenting Seonghakjibyo, which basically professed the perfection of the studies of the Sages(聖學), to the King included another aim to convert the King's negative view on him by synthesizing his political views and appealing to the King. Yulgok's political views are intensively summarized in the book's beginning "Jincha(進箚)" and the final chapter "Seonghyeondotong(聖賢道統)". Through "Jincha", he recalled the past of his political situation during early reign of the King and expressed his own will to participate in the government again by presenting this book that was the summary of his political views. Then through "Seonghyeondotong", he suggested his own specific political opinions to the King as the successor of Taotong(道統) in Chosun by expressing such an ethos that he succeeded directly to Chutzu(朱子). This study firstly tries to identify Toegye Yi Hwang(退溪 李滉)'s presenting Seonghaksibdo(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聖學十圖) to the King and Yulgok's successive will on it. Then we will review the times till presenting Seonghakjibyo to the King, 8 years of early reign of King Seonjo when he had been neglected from the political development of the King. Finally we will specifically analyze how his political views are expressed in each beginning and final chapter of the book.

이 글은 선조(宣祖) 초반 정국에서 율곡(栗谷) 이이(李珥)가 처해 있던 정치적 상황에 주목하여 "성학집요(聖學輯要)"의 진헌이 지닌 정치적 의미를 모색하고자 한다. 이 책이 진헌된 선조 재위 8년(1576) 12월까지, 선조 초기 국정운영 속에서 율곡은 배제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성학(聖學)의 완성을 표방하고 있는 "성학집요"의 진헌 속에는, 율곡이 자신의 정치적 견해들을 종합하여 재차 선조에게 호소함으로써 자신에 대한 선조의 부정적 인식을 전환하고자 했던 목적도 내재되어 있다 할 수 있다. 율곡의 이러한 정치적 입장은 "성학집요"의 서두인 "진차(進箚)"와 종장인 "성현도통(聖賢道統)"에 집약되어 있다. 그는 "진차"를 통해 선조 초기 정국에서 자신이 처했던 정치적 상황을 술회하고 자신의 정견을 집약한 "성학집요"의 진헌을 통해 조정에 재출사하겠다는 의지를 표출하고 있으며, "성현도통"에서는 주자(朱子)의 뒤를 바로 자신이 잇고 있다는 도통(道統)의식을 표방하고 그러한 도통의 계승자로서 자신의 구체적인 정견을 선조에게 제시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먼저 "성학집요"의 모델이 된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성학십도(聖學十圖)" 진헌과 이에 대한 율곡의 계승의식을 확인하고, 다음으로 "성학집요"가 진헌되기까지의 시기, 즉 선조 즉위년부터 재위 8년까지 율곡이 배제되어 있었던 정치적 상황을 살펴본다. 이후에는 "성학집요"의 "진차"와 "성현도통"을 중심으로 그의 정치적 입장이 각각 어떻게 표출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분석하기로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