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ng of Forest Types in Chungnam Coastal area Using Multi-Temporal Satellite imagery and ASTER DEM Data

다중시기 위성영상과 ASTER DEM자료를 이용한 충남해안지역의 임상 변화 분석

  • Received : 2012.03.19
  • Published : 2012.03.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omorphic factor and changes in forest types of the Chungnam coastal area using ASTER DEM and multi-temporal satellite imagery. The results showed that in case coniferous forests vary by altitudinal segments, reduction rate continuously increased up to 500m, but dropped upon exceeding 550 meters. Next, the variation rate of mixed forests by altitudinal segments decreased from less than 50m. However, the variation rate of mixed forests increased from more than 50m to 700m, but dropped upon exceeding 700m. Lastly, the variation rate of deciduous forests according to altitudinal segments increased at all altitudes. A sharp increase was found in segments of more than 550 meters. With regard to the changes in the distribution area of forest types according to slope aspects, coniferous forests showed a reduction in all slope aspects. The reduction rate was especially higher in northern, northwestern, western and northeastern aspects. Mixed forests manifested a high growth rate in northwestern, northern and western aspects, but slightly decreased in eastern and southeastern aspects. In addition, deciduous forests increased in all slope aspects, but the growth rate was especially high in eastern, southeastern, northeastern and southern aspects.

본 연구는 다중시기 위성영상과 ASTER DEM을 이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충남해안지역의 임상변화와 지형인자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침엽수림 감소율은 550m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다 550m 이상부터는 그 감소율이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혼효림의 변화율을 살펴보면 50m 이하에서는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50m 이상에서부터 700m까지 혼효림의 변화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 700m 이상에서 급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활엽수림의 변화율을 살펴보면, 전 고도에서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50m 이상의 구간부터는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면향에 따른 임상 분포면적 변화를 살펴보면 침엽수림의 경우 전 사면향에서 감소율을 보였는데, 북향과 북서향, 서향, 북동향에서 감소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혼효림의 경우 북서향과 북향, 서향에서 높은 증가율을 보인 반면, 동향과 남동향에서는 약간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활엽수림의 경우 전 사면향에서 증가율을 보였지만 특히 동향, 남동향, 북동향, 남향에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