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otor Learning Concepts Applied to Occupational Therapy With Adults With Hemiplegia

뇌졸중 편마비환자의 작업치료에 적용되는 운동학습의 원칙

  • Shim, Sun-Hwa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Woosong University) ;
  • Park, Ji-Hyuk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Yonsei University)
  • 심선화 (우송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박지혁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Received : 2012.09.30
  • Accepted : 2012.11.15
  • Published : 2012.12.30

Abstract

Introduction : The purpose of scholarly paper is to review of motor learning concepts and to examine in integration of motor learning research finding in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for adults with hemiplegia. Body : The principles of motor learning is stage of learning, type of task, practice and feedback. Depending on stage of learning, therapist need to apply of the principles. In early stage of learning, therapists should be promote patient's awareness about therapeutic goals, task performance environment and how to perform. Whole practice, blocked practice and constant practice improve performance skill. In the latter stage of learning, therapists have to design a intervention protocol for patient to use the implicit feedback. Random practice and open task facilitates performance skills. Conclusion : When establishing the a intervention plan for adults with hemiplegia, therapists should systematically developed the principles of motor learning. Intervention program must be established by applying the principles of motor learning in accordance with the learner's level of task performance, and modified depending on the therapeutic progress.

서론 : 뇌줄중 환자의 상지 운동 결손은 일상생활에서 수행하는 많은 활동에 큰 어려움을 겪게 만든다. 작업치료사들은 다양한 활동을 제공함으로써 일상생활의 참여를 돕기 위해서 노력하지만 학습자의 특성과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채 훈련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운동 학습 이론과 원칙에 대해 알아보고 작업치료 영역에 적용하기 위한 임상적 고려에 대해 제언해보고자 한다. 본론 : 운동학습의 원칙으로는 학습의 단계, 과제의 형태, 실행 또는 연습, 피드백이 있는 학습의 단계에 따라 운동학습의 원칙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초기단계에서는 학습목표와 작업환경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지속적이며 차단된 연습, 전체 과제 연습이 학습을 촉진시킨다. 후기단계에서는 내제적 피드백에 의존하도록 유도하여야 하며 열린과제, 무작위 연습이 수행을 증진시킨다. 결론 : 치료기전으로 제공되는 다양한 운동학습의 원칙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치료계획 수립 시에 체계적으로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작업치료사들은 환자 각각의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환자의 수준에서 수행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운동학습의 원칙을 계획하고 치료적 변화를 계속 모니터링하면서 변경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