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서해안의 해저표면형상 예측 경험식 제안

Proposal of Empirical Formula for Bedform Size on West Coast of Korea

  • 김효섭 (국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부) ;
  • 유호준 (국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부) ;
  • 장창환 (특허청 건설기술심사과)
  • 투고 : 2012.06.26
  • 심사 : 2012.11.14
  • 발행 : 2012.11.30

초록

우리나라 서해 근해역 4개지역의 해저표면형상 자료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서해안은 조차가 클 뿐 아니라 파랑 또한 상당히 크며, 해저질의 입도가 약 1.2 ~ 1.6 ${\varnothing}$의 분포로 상대적으로 입경이 큰 사질의 형태이다. 자료를 취한 해역에서의 수심은 10 ~ 65 meters로서 해저면의 표면형상이 잘 발달해 있는 편이며, 해저표면형상에서 모래결 길이(ripple length)는 약 6 ~ 13 meters 범위이다. 기존의 모래결 길이를 예측할 수 있는 예측식 중 파랑과 흐름이 공존할 때에 적용할 수 있는 예측식으로는 Khelifa and Ouellet 과 Soulsby 가 있다. 조사한 모래결 길이를 이 두 식으로 예측한 결과 두 식 모두 실제 측정값보다 작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기존의 두 예측식이 우리나라 서해안과는 다른 해역에서 구한 자료로부터 얻은 식이거나 실험실에서 얻어졌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기존의 예측식에 일정한 보정계수를 곱하여 수정한 결과 우리나라 서해안에서 관측한 모래결 길이를 잘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Bedform data at 4 shallow zones in the Yellow Sea where waves as well as tidal range are high and bed material is relatively coars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here. Water depths in the study area where the bedform data were collected are 10 ~ 65 meters, and ripple lengths well developed are between 6 ~ 13 meters. Existing empirical formula for prediction of ripple length as for coexistence of waves and currents include Khelifa and Ouellet(2000) and Soulsby(2005), both of which have been based on laboratory measurements, or field measurements at different physical environment from the Yellow Sea with respect to tidal range, wave strength, and bed material. New scaling factors are proposed here for better prediction of the ripple length on coastal zone in the Yellow Sea.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