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조화상수를 이용한 조간대 노출시간 추정공식 개발

Development of the Inter-tidal Exposure Duration Formulae Using Tidal Harmonic Constants

  • 정신택 (원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조홍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환경보전연구부) ;
  • 고동휘 (원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Jeong, Shin Taek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Wonkwang University) ;
  • Cho, Hongyeon (Marine Environments and Conservation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
  • Ko, Dong Hui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Wonkwang University)
  • 투고 : 2012.09.25
  • 심사 : 2012.10.17
  • 발행 : 2012.10.31

초록

조간대 저서생물들의 서식환경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 중의 하나인 노출시간을 추정하는 공식을 개발하였다. 이 공식은 기존의 1시간 간격, 1년 기간 조위자료를 이용하여 노출시간을 추정하는 방법과는 달리 대부분 연안의 기본 조석 정보에 해당하는 주요 4분조 조화상수들을 이용하여 노출시간을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다. 서해안의 관측 조위자료를 이용한 노출시간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공식에 의한 추정결과를 비교한 결과 RMS 오차는 0.8-1.4%로 파악되었다. 본 공식은 장기간의 조위자료가 없는 조간대 지역에서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노출 시간 및 침수시간 추정에 활용할 수 있다.

A new formulae for the estimation of the exposure duration in the inter-tidal zone are developed. The exposure dur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habitat distribution of the benthic organisms. The formulae can estimate the exposure duration only using the four major tidal harmonic constants available in almost coastal areas. It is easier than the existing method using the frequency analysis of the hourly tidal elevation data. The estimation results by using the formulae suggested in this study are compared with the value by using the observed tidal elevation data analysis in the west coast, Korea. The mean RMS (root-mean squared) errors ranged form 0.8 to 1.4%. It can be used to simply estimate the accurate exposure duration in the region not having the longterm hourly tidal elevation data.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해양조사원 (2012). http://www.khoa.go.kr/
  2. 안순모, 고철환 (1992). 서해 만경.동진 조간대의 환경과 저서동물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27(1), 78-90.
  3. 정신택, 조홍연, 김정대, 고동휘 (2008). 이중 절단 기법을 이용한 조위자료의 확률밀도함수 추정,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20(3), 247-254.
  4. 정신택, 조홍연, 정원무, 양정석 (2005). 조화상수를 이용한 조위 발생확률분포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5(1B), 51-57.
  5. 조홍연, 김한나, 조범준 (2006). 서해안 조간대의 연속노출시간 특성 분석, 어촌어항연구, 제8집, 73-84.
  6. 조홍연, 정신택, 오영민 (2004). 조위자료의 확률밀도함수 추정,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6(3), 152-161.
  7. 조홍연, 정신택, 이길하, 김태헌 (2010). 조위의 확률밀도함수 변화에 따른 평균 및 표준편차 분석,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22(4), 279-285.
  8. 최강원, 황종서, 지광재, 이은하 (2001). 우리나라 갯벌의 특성 연구,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2001-05-16.
  9. Hartnoll, R.G. and Hawkins, S.J., (1982). The emersion curve in semidiurnal tidal regimes,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15, 365-371. https://doi.org/10.1016/0272-7714(82)90047-6
  10. Pugh, D., (2004). Changing Sea Levels, Effects of Tides, Weather and Climate, Chapter, 9,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Swinbanks, D.D., (1982). Intertidal exposure zones: A way to subdivide the shore, J.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 62, 69-86. https://doi.org/10.1016/0022-0981(82)90217-9

피인용 문헌

  1. Reduction of the Expected Wave Overtopping Probability and Its Rate upon Seawall Utilizing STB(Steel Type Breakwater) vol.72, 2014, https://doi.org/10.2112/SI72-029.1
  2. Estimation of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s for Water Temperature Data in Korean Coasts vol.25, pp.1, 2013, https://doi.org/10.9765/KSCOE.2013.25.1.11
  3. Estimation on the Distribution Function for Coastal Air Temperature Data in Korean Coasts vol.26, pp.5, 2014, https://doi.org/10.9765/KSCOE.2014.26.5.278
  4. Analysis on the Emersion and Submersion Patterns of the Coastal Zone in Korea vol.28, pp.5, 2016, https://doi.org/10.9765/KSCOE.2016.28.5.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