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NPS Reduction at Yongsan Area Considering Spatio-Temporal Chnages in CN

CN의 시공간적 변화를 고려한 용산 물순환 환경도시계획의 비점오염물질 저감효과 비교

  • Received : 2012.05.24
  • Accepted : 2012.10.16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Yongsan ward is located at central place connecting south and north ecology axis of seoul. Various environment-friendly Yongsan development could pose positive effects on NPS(non pollutant source) pollutant reductions and water quality improvement at Han-rive because BOD, T-N, and T-P NPS discharges took 90% of total pollutant from this area. In this study, direct runoff and NPS pollutant loads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development using spatio-tamporal change in CN(curve number) and EMC(event mean concentration) data. It was found that direct runoff value is $23,584,724m^3$, and BOD, T-N and T-P loads are 104,456 kg/year, 111,483 kg/year and 7,500 kg/year under pre-development condition, respectively. Annual runoff, BOD, T-N and T-P reducing rate were 12.9%, 33.3%, 35.6% and 40.7% under integrated post-development condition,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environment-friendly urban development could be achieved at Yongsan area.

Keywords

References

  1. 김종건, 임경재, 박윤식, 허성구, 박준호, 안재훈, 김기성, 최중대, 2007, 경사도에 따른 CN보정에 의한 L-THIA 직접유출 모의 영향 평가, 한국수질보전학회지, 23(6),897-905.
  2. 금강물환경연구소, 2008, 주요 비점오염원 유출 장기모니터링 및 저감기법 연구, 국립환경과학원 금강물환경연구소 2008년(2년차) 보고서.
  3. 금강물환경연구소, 2009, 주요 비점오염원 유출 장기모니터링 및 저감기법 연구, 국립환경과학원 금강물환경연구소 2009년(3년차) 보고서.
  4. 낙동강물환경연구소, 2008, 주요 비점오염원 유출 장기모니터링 및 저감기법 연구,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2008년(2년차) 보고서.
  5. 낙동강물환경연구소, 2009, 주요 비점오염원 유출 장기모니터링 및 저감기법 연구,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2009년(3년차) 보고서.
  6. 문화일보, 2011, 용산 '물 순환 친환경도시'로 가꾼다. 문화일보, 2011년 2년 18일 12면.
  7. 영산강물환경연구소, 2008, 주요 비점오염원 유출 장기 모니터링 및 저감기법 연구,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2008년(2년차) 보고서.
  8. 영산강물환경연구소, 2009, 주요 비점오염원 유출 장기모니터링 및 저감기법 연구,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2009년(3년차) 보고서.
  9. 용산구청, 2009, 2009 용산통계연보.
  10. 용산구청, 2011, http://www.yongsan.go.kr.
  11. 이흥신, 이승환, 2009, 국내 중소 도시지역 강우유출수의 유출특성, 대한환경공학회, 31(3), 193-202.
  12. 한강물환경연구소, 2008, 주요 비점오염원 유출 장기모니터링 및 저감기법 연구,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2008년(2년차) 보고서.
  13. 한강물환경연구소, 2009, 주요 비점오염원 유출 장기모니터링 및 저감기법 연구,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2009년(3년차) 보고서.
  14. 환경부, 2006, 비점오염원관리 업무편람.
  15. 환경부, 2007, 합류식하수도월류수(CSOs) 오염부하 저감시설설치 타당성 조사용역.
  16. 홍성태, 2000, 군사공간의 생태적 재생과 문화정치. 한국공간환경학회지, 14, 108-129.
  17. Mockus, V., 1964, Chapter 10. Estimation of Direct Runoff from Storm Rainfall, Section 4. Hydrology, National Engineering Handbook, Washington, D. C., 7-28.
  18. Rallison, R. E., Cronshey, R. C., 1979, Discussion to runoff curve numbers with varying soil moisture.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Engineering, ASCE, 105(4), 439-441.
  19. Rallison, R. E., Miller, N., 1982, Past, resent, and further SCS runoff procedure.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ainfall-Runoff Modeling, Water Resource, Rublished Littleton, Co., Mississippi, 353-364.
  20. Soil Conservation Service, 1972, National Engineering Handbook, Section 4. Hydrology. U. S. Department of Agriculture, Soil Conservation Service, Washington, D. C., 7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