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 between Belief and Actual Practice of Instructor according to Education in Taekwondo Personality

태권도 지도자의 인성교육에 대한 신념과 지도실제와의 관계

  • 이정주 (용인대학교 태권도학과) ;
  • 김동현 (경기대학교 경호안전학과)
  • Received : 2012.08.06
  • Accepted : 2012.08.21
  • Published : 2012.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Belief and Actual Practice of Instructor according to education in Taekwondo Personality. To get the purpose participants was selected 286 Taekwondo instructors. Se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 pearson relation analysis, and multi dimensional analysis with SPSS/PC 18.0. The result was as followed. First, there were different on frequency of important factors between belief and practice of Taekwondo personality based on Taekwondo instructor's cognitive. The order of ethological important factors on Taekwondo instructor's cognitive were manner, confidence, love, perseverance, bravery. But The order of ethological important factors on Taekwondo instructor's practice were manner, confidence, perseverance, leadership, honestly. Second, belief of Taekwondo personality based on Taekwondo instructor's cognitive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practice of Taekwondo personality in a part.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 among factors of belief of Taekwondo personality but were lower positive relationship among factors of practice of Taekwondo personality. Taekwondo instructors' determination on teaching belief has positive effect on guidance factor, practical factor, variety factor, if the teaching belief has higher score then the teaching practice has higher practical teaching.

이 연구는 태권도 지도자의 인성교육에 대한 신념과 지도실제를 확인하고, 인성의 지도신념과 인성 실천정도와 내용과의 차이 및 관계를 규명하는 것에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에 소재한 태권도 지도자 286명을 선정하였다.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인성교육에 대한 신념과 실제에 대한 측정도구, 그리고 태권도 인성덕목 신념과 실제에 대한 중요 덕목을 묻는 반구조화된 개방형 설문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버전을 활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전술한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해 얻은 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 지도자가 인식하는 인성교육 신념과 실제의 중요 요인과 빈도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태권도 지도자가 중요하게 인식하는 인성덕목은 예의, 자신감, 사랑, 인내, 용기 순으로 나타난 반면, 현장에서 실제 지도하고 있는 인성 덕목은 예의, 자신감, 인내, 리더십, 정직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태권도 지도자의 인성교육의 신념과 실제 간에는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관계가 존재한다. 태권도 지도자의 인성교육의 신념 간에는 상관계가 높지만 신념과 실제 간에는 상관관계가 낮다. 태권도 지도자는 지도신념 중 결단성, 지도성, 실용성, 다양성에 대한 인식이 높으면 높을수록 실제 지도자가 인성교육을 위해 결단하고, 지도하고, 실용적인 면을 현장에 적용하는 것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구, 박주영, 초등학생의 태권도 수련활동이 체력요인과 신체적 자기 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4권, 제3호, pp.55-64, 2003.
  2. 김길평, 태권도 도장 프로그램 유형과 정신력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제44권, 제4호, pp.543-552, 2005.
  3. 김동현, 태권도 지도자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지도신념과 실제 간의 관계,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4. 김상순, 태권도 지도자의 교육신념과 실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1999.
  5. 대한태권도협회, KTA 태권도 인성 교육과정 개발, 대한태권도협회, 2010.
  6. 박대복, 태권도 정신특성 개념구조 탐색, 용인대학교 태권도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7. 송형석, 이규형, 초등학생의 태권도 수련과 자아 개념 발달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제45권, 제1호, pp.121-129, 2006.
  8. 서원식, 태권도 교육이 초등학교 어린이 인성교육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8.
  9. 신인성, 태권도 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전문성 요인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0. 안명일, 태권도 수련 아동의 리더쉽과 사회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1997.
  11. 양경덕, 태권도 체육관의 효율적인 경영을 위한 경영실태 분석, 미간행 경희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2. 유진, 장덕선, Sport psychology and psychological skills perceived by coaches and athletes in Korea: An Exploratory study, 서울국제스포츠과학 학술대회 발표논문, 1998.
  13. 이경식, 태권도 지도자가 인식하는 인성과 교육에 대한 요인 추출, 용인대학교 태권도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4. 이규형, 초등학교 아동의 태권도수련과 인성발달의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2.
  15. 임태희, 태권도 수련에 따른 유소년의 사회성 변화, 체육과학연구, 제20권, 제2호, pp.1-12, 2009.
  16. 임태희, 태권도 수련의 심리적 변화모형개발 및 효과검증,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2007.
  17. 정경화, 택견 지도자의 교육신념과 지도실제간의 갈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스포츠외교학과 석사학위논문, 2005.
  18. 정유근, 태권도 인성 실천덕목 체계화, 용인대학교 태권도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9. 조영오, 태권도지도자의 의식구조와 지도 실제간 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3.
  20. 주진만, 태권도 수련이 어린이들 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 서울 지역 어린이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21. B. C. Focht, L. J. Bouchard, and M. Murphey, Influence of Martial Arts Training on the Perception of Experimentally Induced Pressure Pain and Selected Psychological Responses. Journal of Sport Behavior, pp.232-244, 2000.
  22. K. D. Lakes and W. T. Hoyt, Promoting self-regulation through school-based martial arts training. Applied Development Psychology, Vol.25, pp.283-302, 2004. https://doi.org/10.1016/j.appdev.2004.04.002
  23. M. E. Trulson, Martial arts training : a novel "cure" for juvenile delinquency. Human Relations, Vol.39, pp.1131-1140, 1986. https://doi.org/10.1177/001872678603901204
  24. M. Weiser, Kutz, Kutz-Jacobson, and D. Weiser, Psychotherapeutic aspects of the martial arts, American Journal of Psychotherapy, Vol.49, pp.118-127, 1995.

Cited by

  1. Masculinity in Singapore: the residual culture of the Chinese martial artist vol.20, pp.9, 2017, https://doi.org/10.1080/17430437.2017.12847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