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ing a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Package for Successful Aging

성공노화를 위한 포괄적 노인평가 패키지 개발

  • 김선호 (선문대학교 간호학과) ;
  • 오두남 (호서대학교 간호학과.기초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2.06.28
  • Accepted : 2012.08.22
  • Published : 2012.09.28

Abstract

This is a methodological study designed to develop a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package for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in various health condition. Assessment items and tools were primarily selected and categorized into 9 domains through the review of existing geriatric assessment tools, which have been used in the clinic and community settings, and the investigation of related articles. We have obtained professional advice from three experts and conducted a preliminary survey (n=15). Based on findings, the final version of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package were devised. It was constructed of 29 assessment items in 6 domains of basic, psychologic function, physical function, life style, subjective health state, and environment. It also contained concrete implementation guide of each tool.

본 연구는 다양한 건강상태에 놓여 있는 노인들의 성공노화를 실현하기 위한 통합적인 건강서비스 제공의 근간이 되는 포괄적 노인평가 패키지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된 방법론적 연구이다. 노인평가도구들에 대한 임상 및 지역사회에서의 사용 실례와 관련문헌 고찰을 통해, 총 9개 평가 영역으로 나누어 관련 평가항목과 평가도구들을 1차적으로 선정하였다. 이후 관련 전문가 3인의 자문 결과와 노인 15명을 대상으로 한 예비조사 실시 결과를 토대로 포괄적 노인평가의 영역과 항목들을 수정 보완하였다. 최종적으로 기본평가, 정신기능평가, 신체기능평가, 생활습관평가, 주관적 건강수준평가, 환경평가로 이루어진 6개의 평가영역에서 각 해당 항목의 수행지침이 포함된 29개 평가항목으로 구성된 포괄적 노인평가 패키지가 구축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2009 고령자 통계, 2010.
  2. L. Z. Rubenstein and T. Joseph, "Freeman award lecture: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from miracle to reality,"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Vol.59, No.5, pp.473-47, 2004. https://doi.org/10.1093/gerona/59.5.M473
  3. C. Hawes, J. N. Morris, C. D. Phillips, B. F. Fries, K. Murphy, and V. Mor, "Development of the nursing home resident assessment instrument in the USA," Age and Ageing, Vol.26, Suppl 2, pp.19-25, 1997. https://doi.org/10.1093/ageing/26.suppl_2.19
  4. J. M. Lee, Y. L. Lym, S. W. Oh, and D. N. Oh, "Developing a comprehensive interdisciplinary healthcare program for the elderly in senior residence," The Middle European Journal of Medicine, Vol.121, suppl 1, pp.75-77, 2009.
  5. 정소연, 이철민, 조비룡, "일차의료연구에서 연구 목적에 적절한 설문 평가 도구의 정리", 가정의학회지, 제28권, 제11호 별책, pp.s156-s166, 2007.
  6. 박주성, "포괄적 노인평가와 접근법", 대한임상노인의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pp.227-291, 2005.
  7. K. J. June, J. Y. Lee, and J. L. Yoon, "Effects of case management using resident assessment instrument-home care (RAI-HC) in home health services for older people,"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Vol.39, No.3, pp.366-375, 2009. https://doi.org/10.4040/jkan.2009.39.3.366
  8. 김철환, 박영규, 신호철, 원장원, 조비룡, 송상욱, 윤영호, 정승필, "한국형 노인 건강 상태 평가 도구의 개발", 가정의학회지, 제23권, 제4호, pp.440-457, 2002.
  9. J. W. Rowe and R. L. Kahn, Successful aging, Pantheon/Random House, 1998.
  10. 조경희, 조주연, 배철영, 노인 환자 평가의 실제: 임상 가이드, 의학출판사, 1999.
  11. 임정기, "우리나라 노인요양보장제도의 평가판정 도구에 관한 고찰-외국사례에 대한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25권, 제2호, pp.174-219, 2005.
  12. C. Gray, K. Berg, B. E. Fries, J. C. Henrard, J. P. Hirdes, and K. Steel, "Sharing clinical information across care settings: The birth of an integrated assessment system," BMC Health Service Research, Vol.29, No.9, pp.71-80, 2009.
  13. 김홍수, 정영일, "RAI-FC와 RAI-HC를 이용한 포괄적 노인평가에 관한 국내연구 고찰", 노인간호학회지, 제4권, 제1호, pp.58-68, 2012.
  14. 이지아, "한국형 노인요양시설 질 관찰 평가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 대한간호학회지, 제38권, 제3호, pp.474-482, 2008.
  15. 원장원,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와 한국형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의 특징", 노인병, 제6권, 제1호, pp.1-10, 2002.
  16. 조정진, "일차의료연구에서 연구목적에 적절한 설문 측정 도구의 선정", 가정의학회지, 제28권, 제11호 별책, pp.s167-s170, 2007.
  17. 김미혜, 신경림, 강인, 강미선,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에 대한 경험", 한국노년학, 제24권, 제2호, pp.79-95, 2004.
  18.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Global recommendations on physical activity for health. Retrieved March 20, 2011 from http://www.who.int/dietphysicalactivity/en/
  19. L. Z. Rubenstein, A. E. Stuck, A. L. Siu, and D. Wieland, "Impacts of geriatric evaluation and management programs on defined outcomes: overview of the evidence,"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39, pp.8-16, 1991. https://doi.org/10.1111/j.1532-5415.1991.tb05927.x
  20. D. Anspaugh, M. Hamrick, and F. Rosato, Wellness: Concepts and applications (6th ed),. McGraw Hill, 2004.
  21. 이은옥, 연구논문 분석과 실무적용, 군자출판사, 2007.
  22. 정선영, 권인순, 조비룡, 윤종률, 노용균, 이은주, 원장원, 최윤호, 선우덕, 박병주, "한국형 외래용 포괄적 노인평가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노인병, 제10권, 제2호, pp.67-76, 2006.
  23. R. C. Tallis and H. M. Fillit, Brocklehurst's textbook of geriatric medicine and gerontology, Churchill Livingstone, 2003.
  24. I. S. Kwon,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Vol.48, No.1, pp.9-14, 2005. https://doi.org/10.5124/jkma.2005.48.1.9
  25. 천희란, 부가청, 조성일, "고령화 연구를 위한 바이오마커 예비조사 소개", 노동리뷰, 제48권, pp.68-81, 2008.
  26. 조혜숙, "한국 노인간호요양시설의 질 관리 지표 (QMI) 개발", 간호학탐구, 제15권, 제2호, pp.174-189, 2006.
  27. 김남희, 최수일, "여성 노인의 신체적 사회적 특성이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1호, pp.241-252,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1.241
  28. H. K. Kuo, K. G. Scandrett, J. Dave, and S. L. Mitchell, "The influence of outpatient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on survival: a meta-analysi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Vol.39, No.3, pp.245-254, 2004. https://doi.org/10.1016/j.archger.2004.03.009
  29. S. Studenski, S. Perera, D. Wallace, J. M. Chandler, P. W. Duncan, E. Rooney, M. Fox, and J. M. Guralnik, "Physical performance measures in the clinical setting",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51, No.3, pp.314-322, 2003. https://doi.org/10.1046/j.1532-5415.2003.51104.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