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Hyeon Kim Through Lacan: The Subject and The Desire Focused on the Heroines of the ,

라깡을 통해 본 김수현 작가의 주체와 욕망 <사랑과 야망>, <내 남자의 여자>의 여주인공을 중심으로

  • 유진희 (동아방송예술대학 방송콘텐츠학부 방송극작과)
  • Received : 2012.08.27
  • Accepted : 2012.09.17
  • Published : 2012.09.28

Abstract

This study is the subsequent full-scale research of a TV drama writer who has been out of scholarly pursuits as it explores Su-Hyeon Kim's underlying consciousness with focusing on her heroines, the and . The author Su-Hyeon Kim clearly distinguishes a TV melodrama from a TV home-drama by her own self-control, which is a rare case in TV drama genres, therefore, her consciousness lights up at her melodrama. This study applies Lacanian theory to the author's melodramas for examining the author's under-lying thought. For Lacan the subject is an 'alienated', 'privative', 'fractured' 'being' as an imperfect language, the symbolic order, forms the subject through its signification. The subject desires the other's desire, and wants to become an object for the other's desire. The desire constantly demands an integral world, a perfect love, the wholly harmonious imaginary order. And it lasts up as it refuses the symbolic order's imperfection while it works its unconscious fantasy. Lacan states that only the 'traversing the fantasy', 'separation' would give birth to the real, liberated subject. Despite a 20-years of rift within two works, the and have an identical conflict core, that is a subject's constitutive, fundamental privation and desire of a human being. Su-Hyeon Kim's underlying consciousness complies with her continued theses of an inquiry into the subject's real liberation and freedom when desire of the rings produces the subject's alienation, privation, and the pursuit of a impossible perfect love.

본 연구는 학문적 연구 대상에서 소외돼 온 텔레비전 드라마 작가에 관한 후속 연구로, 멜로드라마 <사랑과 야망>과 <내 남자의 여자>의 여주인공을 중심으로 김수현 작가 의식 저변을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김수현 작가는 자율 통제 의식에 의해 텔레비전 드라마 장르에서는 보기 드물게 홈드라마와 멜로드라마의 장르 선긋기를 명확히 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멜로드라마에서 두드러진 작가 의식이 발화된다. 본고는 멜로드라마를 통해 발화되고 있는 김수현 작가의 의식 심층을 탐구하기 위하여 라깡의 주체와 욕망이론을 적용한다. 라깡에게 주체는 언어의 기호작용에 의해 형성되지만, 언어의 상징계는 불완전함으로 주체는 '존재'로부터 '소외'되고 '결여'와 '분열'에 시달리는 주체이다. 이 주체는 타자와의 관계 속에 타자의 욕망을 욕망하고, 욕망의 대상이 되기를 원한다. 이 욕망은 전일체, 완전히 조화로운 상상계, 완전한 사랑을 끊임없이 요구하고, 상징계의 불완전성을 거부함으로써 지속된다. 이 거부 과정에는 무의식적 환상이 작동한다. 라깡은 '환상 가로지르기'와 '분리'를 통해서만 주체의 진정한 탄생, 해방이 이루어진다고 말한다. 20년 세월의 간극 속에도 <사랑과 야망>과 <내 남자의 여자> 속 두 여주인공의 갈등의 요체는 동일하다. 인간의 근원적이고 본질적인 주체의 결여와 욕망이 그것이다. 완전한 사랑에의 이상 추구, 그러나 현실에서는 불가능하며, 주체의 소외와 결여를 낳는 욕망의 고리 속에 주체의 진정한 해방, 자유를 향한 물음이 김수현 작가 의식 저변에 자리한 영원한 테제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유진희, "김수현 멜로드라마의 장르문법과 젠더 이데올로기: <내 남자의 여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1호, pp175-183, 2009
  2. "김수현 홈드라마의 장르문법과 젠더 이데올로기: <엄마가 뿔났다>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1호, pp.165-111, 2010.
  3. 글렌 크리버.토비 밀러.존 털로크 엮음, 박인규역, 텔레비전 장르의 이해, 산해, 2004.
  4. 원용진, "장르변화로 읽는 사회", 언론과 사회, 통권 16호, pp.100-133, 1997.
  5. P. Brook, The Melodramatic Imagination: Balzac, Henry James, Melodrama, and the Mode of Excess,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1976, 이수연, 한류드라마와 아시아 여성의 욕망,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pp36-37에서 재인용.
  6. 유지나, 멜로드라마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9.
  7. J. Lacan, Ecrits, Paris:Seuil, 1966, 홍준기, 자끄 라깡, 프로이드로의 복귀, 김상환.홍준기 엮음, 라깡의 재탄생, 창비, 2002, p.163에서 재인용.
  8. 김석, 에크리: 라깡으로 이끄는 마법의 문자들, 살림, 2007.
  9. 이수연, "라깡을 통한 영화분석 방법론의 모색: 라깡의 시선 개념과 <트루먼 쇼>", 라깡과 현대정신분석, 제6권, 제2호, pp.105-125, 2004.
  10. 홍준기, "지제크의 라깡 읽기: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을 중심으로", 문학과 사회, 제52호 겨울호, pp.1880-1899, 2000.
  11. 조엘 도르, 홍준기.강응섭 옮김, 라깡 세미나.에크리 독해 I, 아난케, 2009.
  12. J. Lacan, Ecrits, Paris:Seuil, 1966, 홍준기, 자끄 라깡, 프로이드로의 복귀, 김상환.홍준기 엮음, 라깡의 재탄생, 창비, 2002, p.86에서 재인용.
  13. 딜런 에반스, 김종주 외 옮김, 라깡 정신분석 사전, 인간사랑, 1998.
  14. J. Lacan, Ecrits, Paris:Seuil, 1966, 홍준기, 자끄 라깡, 프로이드로의 복귀, 김상환.홍준기 엮음, 라깡의 재탄생, 창비, 2002, pp.90-97에서 재인용.
  15. 김석, 에크리: 라깡으로 이끄는 마법의 문자들, 살림, 2007., pp.141-143.
  16. 김용규, "지젝의 판타지이론과 윤리적 행위", 大同哲學, Vol.23, pp.1-20, 2003.
  17. J. Lacan, Ecrits, Paris:Seuil, 1966, 홍준기, 자끄 라깡, 프로이드로의 복귀, 김상환.홍준기 엮음, 라깡의 재탄생, 창비, 2002, p.79에서 재인용.
  18. 임우기, 집과 밥과 말과 사랑, 김포천.원우현.김민수.김홍근 엮음, 김수현 드라마에 대하여, 솔, 1998.
  19. http://tv.sbs.co.kr/yamang/character02.html.
  20. 임옥희, 사랑, 여성문화이론 연구소 정신분석세미나팀, 페미니즘과 정신분석, 여이연, 2003.
  21. J. Lacan, Ecrits, Paris:Seuil, 1966, 홍준기, 자끄 라깡, 프로이드로의 복귀, 김상환.홍준기 엮음, 라깡의 재탄생, 창비, 2002, p.109에서 재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