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ceptual Difference between Artwork and Contents concerning the Recipient: Focusing on the Role of Audience in Film

수용자의 관점에서 살펴본 작품과 콘텐츠의 개념적 차이: 영화 <새>에서 관객 역할을 중심으로

  • 김무규 (부경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Received : 2012.07.30
  • Accepted : 2012.09.06
  • Published : 2012.09.28

Abstract

This paper focuses on the systematic conceptualization of the 'contents' through the differentiation between the meanings of the work of art and the contents. The 'contents' are referred to as various media products, but they are all the audience-oriented work of art. From the beginning of its birth the film medium turned out to be a kind of contents, which is involved in the specific role of audience. It also implies that the film medium could not exist without the interaction of the media text and audience. In order to understand this context, this paper analyzes the film of Alfred Hitchcock.

본 논문의 목적은 콘텐츠와 예술작품의 개념적 차이점을 고찰하면서, 콘텐츠의 개념을 수용자 중심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콘텐츠는 다양한 장르의 미디어 생산물이기는 하지만 한 가지 공통된 특성을 지니는데, 그것은 창작자보다는 수용자를 중시한다는 점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특성을 영화의 '미디어'적 특성이 지니는 이론적 논의를 참고하여 설명하려 하였다. 영화 미디어는 태동 당시에서부터 수용자 중심의 콘텐츠로서 예술작품의 개념과 차이점을 나타낸다. 이러한 차이점은 영상 미디어의 특수성을 지적하는 원심성, 알리바이 사실성, 지표성 등의 개념에서 쉽게 발견된다. 그리고 이러한 개념들은 영상 미디어 텍스트의 내부독립성 보다는 내부와 외부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과 관계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상호작용은 관객이 특정한 역할을 암시한다. 본 논문은 미디어 텍스트에 나타나는 이러한 상호작용적 관객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히치콕의 영화 <새>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영화가 관객을 의식하고 있으며, 그리고 관객의 적극적 활동 없이는 성립될 수 없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장순, 문화콘텐츠학 개론, 커뮤니케이션북스, pp.114-123, 2006.
  2. 백승국, 문화기호학과 문화콘텐츠, 다ㅎ.ㄹ미디어, pp.23-27, 1999.
  3. A. Bazin, Painting and Cinema, What is Cinema? University Press California. p.166, 1967.
  4. N. Luhmann, Gesellschaft der Gesellschaft, Suhrkamp, pp.305-308, 1997.
  5. 앙드레 고드로/프랑스와 조스트(송지연역), 영화 서술학, 동문선, pp.50-55, 2001.
  6. J. Paech, Literatur in den Medien, Koreanische Gesellschaft fur Germanistik, Literatur im multimedialen Zeitalter, Bd.1, p.5, 1998.
  7. M. Heidegger, Der Ursprung des Kunstwerks, Reclam, 1970.
  8. R. Barthes, Form Work to Text, Image, Music, Text, Fontana, pp.155-164, 1977.
  9. R. Barthes, The Death of Author, Image, Music, Text, Fontana, pp.142-148, 1977.
  10. P. Burger, Theorie der Avantgarde, Suhrkamp, 1974.
  11. W. Benjamin, Das Kunstwerk im Zeitalter seiner technischen Reproduzierbarkeit, Gesammelte Schriften. Bd. I,2, Suhrkamp, pp.471-508, 1991.
  12. 양석원, "보는 것과 아는 것: <현기증>에 나타난 응시, 환상, 그리고 죽음", 문학과영화, 제9권, 제3호, pp.695, 2008.
  13. L. Poague, Review on Psycho, The Macmillan Dictionary of Film and Film makers, Vol.1, pp.376-377, 김시무, "앨프레드 히치콕의 관음증 삼부작", 영화연구, 제35권, p.304, 2008. 에서 재인용.
  14. 민병록,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의 영상적 특징에 관한 분석: 최소에서 최대로, 최대에서 최소로의 테크닉을 중심으로", 영화연구, 제16권, pp.452-456,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