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U-project Teaching-Learning Model for the Successful Green Growth

녹색성장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u-프로젝트 교수·학습 모형 개발

  • Received : 2012.07.17
  • Accepted : 2012.09.17
  • Published : 2012.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suggest u-project teaching and learning model in order to effectively practice multidisciplinary and practical green growth conversion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the researchers conducted surveys to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189), teachers-to-be (285), and middle school students (358) on green growth perception, and analyzed relation between the ten green growth strategic directions and the 2007 and 2009 curricula. The extraction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for the ubiquitous green growth conversion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a TUGG (Teaching Ubiquitously for Green Growth) model that is suitable for middle school application were also pursued. This study will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necessity and propriety of green growth and also promote multidisciplinary and practical green growth conversion education.

본 연구는 인문사회과학을 통합하는 간 학문적 실천적 녹색성장 융합 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u-프로젝트 교수 학습 모형을 개발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사, 예비교사, 중학생을 대상으로 녹색성장에 대한 인식수준 조사, 녹색성장 10대 정책방향과 중등/사범대학 교육과정 간 연관성 분석, 녹색성장 융합교육을 위한 교수 학습 내용요소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녹색성장 u-프로젝트 교수 학습의 핵심활동 요소와 절차를 구안한 후 중등학교 상황에 적용하기 용이하도록 교수 학습의 세부 진행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형을 통해 녹색성장의 필요성과 타당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것과 동시에 인문사회과학을 통합하는 간 학문적 실천적 교육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승경, 김지경, 성윤숙, "녹색성장정책에 대한 청소년의 인지도 조사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수시과제) 09-R25, 2009.
  2. 녹색성장위원회, "녹색성장교육 활성화방안. 제5차 녹색성장위원회 자료, 2009.
  3. 환경부, "녹색성장 및 환경교육에 관한 국민의식 조사 결과 보고서", 환경부, 2009.
  4.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육성 : 창의․인성교육기본방안", 교육과학기술부, 2009.
  5. 김용만. "초중등학교 제6차 교육과정 및 교과서상에서의 환경 교육 강화 방안: 각 교과별 주요 내용 요소의 반영 방안",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991.
  6. J. Krajcik and N. Shin, "Promoting student engagement through, project-based learning," 한국과학교육학회 제 57차 동계학술대회 초청강연, 2010.
  7. 이준, 이경순, "초,중등교육 지원을 위한 e-Learning 적용 방안 연구", 컴퓨터교육학회, 제7권, 제5호, pp.71-82, 2004.
  8. P. C. Blumenfeld, E. Soloway, R. W. Marx, J. S. Krajcik, M. Guzdial, and A. Palincsar, "Motivating project-based learning: Sustaining the doing, supporting the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Vol.26, No.3&4, 1991.
  9. 손미, "유비쿼터스 학습 환경에서 체험학습의 가능성과 실현 조건 탐색", 교과교육학연구, 제11권, 제1호, pp.143-172, 2007.
  10. UNESCAP, "Achiving environmentally sustainable economic growth in Asia and the Pacific," E/ESCAP/SO/MCED(05), 2005.
  11. J. Y. Lee, Holzapfel, J. M. Gu, Y. L. Kim, H. K. Do, Y. C. Park, B. S. Seo, J. W. Ahn, C. G. Lee, G. Y. Jang, and W. C. Cho, "Convergence technology and related environmental education for green growth," Presidential advisory council on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12. H. S. Keum, "Direction of environmental technology industry policy for green growth,"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31, No3, pp.173-176, 2009.
  13. 녹색성장위원회, "녹색성장 국가전략 및 5개년 계획", 2009-7, 2009.
  14.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프로젝트기반 학습을 위한 글로벌 네트워크 '샤우트(Shout)' 개설",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해외정기동향보고 12월 1호, 2010.
  15. http://green.korea.kr/
  16. J. Laffey, "A computer-mediated support system for project-based learning," ETR&D, Vol.46, No.1, pp.73-86, 1998. https://doi.org/10.1007/BF02299830
  17. 조은순, "국제간 인터넷 프로젝트 중심학습의 수업설계 전략 고찰-한국형 앵커드 수업이론 설계를 위한 사례 분석", 교육공학연구, 제16권, 제1호, pp.247-266, 2000.
  18. 정영란, 웹 기반 프로젝트 중심 학습이 학습자의 태도, 학습 결과 및 성찰적 실천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2.
  19. 임정훈, "교실수업-사이버학습 연계를위한 커뮤니티 교수․학습 모형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KR 2003-22, 2003.
  20. 임정훈, "웹기반 가상수업에서 온라인 토론 촉진을 위한 설계전략", 교육학연구, 제37권, 제2호, pp.249-270, 1999.
  21. D. Moursund, "Project-Based Learning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ISTE publications, Vol.13,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