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pplying the Speech Register Principle to young children`s Perception of the Intelligent Service Robot

언어 사용력(Speech Register)원리를 활용한 유아의 교육용 로봇 인식

  • 현은자 (성균관대 아동청소년학과/인재개발학과) ;
  • 이하원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 연혜민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2.07.13
  • Accepted : 2012.09.25
  • Published : 2012.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young children's perception of IrobiQ, the teacher assistive robot.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fifty 5 year olds attending 3 kindergarten centers who had experienced the robot for at least 2 years.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the hypothesis of speech register". Each child was read a storybook by a researcher and asked to choose which one is more suitable to human speech tones and accents among a robot, a friend, and a to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that the children perceived a robot as a hybrid compound entity, not as a complete human though they perceived it closer to a human than an artificial thing. They were likely to use cognitive distinctions which is unique to human being, as the criteria to verify their answers. These results would suggest that the traditional binary ontological category(animate vs. inanimate) is reconsidered to include an hybrid entity.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로봇을 경험한 만 5세 유아들의 로봇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의 이론적 배경은 언어 사용력(Speech Register) 이론이었으며 로봇, 친구, 인형을 대상으로 말투(Speech Tone) 비교를 하였다. 2-3년간 로봇을 경험한 3군데 유치원의 만 5세 유아 50명을 대상으로 인간에게 어울리는 자연스러운 말투와 단조로운 말투로 그림책을 읽어준 후 어떤 말투가 사람에게 어울리는 말투인지 유아들에게 질문하여 확인하였다. 그리고 인간에게 어울리는 말투가 로봇, 친구, 인형 중 어떤 대상에게 적합한지 선택하게 하였고 그 이유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람에게 어울리는 말투는 86%의 유아가 인형보다 로봇에게, 74% 유아는 로봇보다 친구에게 그리고 68%유아는 인형보다 친구에게 어울린다고 인식하였다. 즉, 유아들은 로봇을 인공물보다는 인간에게 가까운 존재로서 중간자적 혼성물(hybrid beings)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인식 기제는 인간 고유성(human uniqueness)인 인지적 특성이 반영된 결과였다. 그러므로 생물과 무생물의 이분법적 존재론적 인식 분류는 혼성물을 포함한 분류방식으로 대치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B. Gates, "A robot in every home," Scientific American Magazine, pp.58-65, 2007(1).
  2. 현은자, 손수련, "로봇은 살아 있을까? : 우리 반 교사보조로봇에 대한 유아의 인식", 아동학회지, 제32권, 제4호, pp.1-14, 2011.
  3. P. H. Kahn, "Technological nature- adaptation and the future of human life," Cambridge, MIT Press, 2011.
  4. 교육과학기술부, "Robot 활용 유아교육체제(R-러닝) 구축안", 2009.
  5. K. Koay, D. Syrdal, M. Walters, and K. Dautenhahn, "Living with robots: investigating the habituation effect participant` preferences during a longitudinal human-robot interaction study," Proceedings of the 16th IEEE International synposium on robot and human interactive comminiation (RO-MAN 2007), Jeju Island, Korea. pp.564-569, 2007.
  6. A. Austermann and S. Yamada, "'Good robot', 'bad robot' analyzing user`s feedback in a human-robot teaching task," Proceedings of the 17th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robot human interactive communication (ROMAN2008), Munich, Germany, pp.41-46, 2008.
  7. 현은자, 김소연, 장시경, "지능형 로봇을 활용한 그림책 읽기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지, 제28권, 제5호, pp.175-196, 2008.
  8. 현은자, 박현경, 장시경, 연혜민, "유아교육용 로봇에 대한 교사의 사용성 사례연구", 제4회 한국로봇공학회 하계종합 학술대회 논문집, 2009.
  9. 현은자, 윤현민, 강정미, 손수련, "교육용 지능형 서비스로봇에 대한 유아의 인식", 제4회 한국로봇공학회 하계종합 학술대회 논문집, 2009.
  10. 현은자, 박현경, 장시경, 연혜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교사보조 로봇에 대한 유아의 경험과 인식", 아동학회지, 제31권, 제1호, pp.267-282, 2010.
  11. J. Read. "Dseigning multimedia applications for children," Comp@ulan 3, 2004.
  12. 현은자, 장시경, 박현경, 연혜민, 김수미, 박성주, "유아교육 기관용 지능형 로봇의 '우리반' 콘텐츠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제9권, 제10호, pp.482-491, 2009.
  13. 유미열, 김경철, 최연철, 장연주, "유아교실에서 교육 로봇 아이로비 큐의 역할, 그리고 한계와 기대",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7권, 제1호, pp.117-138, 2012.
  14. M. Halliday, "Language as Social Semiotic: the social interpretation of language and meaning," Edward Arnold: London, 1978.
  15. http://en.wikipedia.org/wiki/Register
  16. 강명화, 초등학교 아동의 용서 경험에 대한 연구 -또래관계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7. A. Batliner, S. Biersack, and S. Steidl, The Prosody of Pet Robot Directed Speech: Evidence from Children. Proc. of Speech Prosody, pp.1-4, 2006.
  18. L. Bell and J. Gustafson, "Utterance types in the August dialoues," In Proc. IDS 99. ESCA workshop on Interactive Dialogue in Multi-Modal Systems, pp.81-84, 1999.
  19. E. Carle, 퉁명스러운 무당벌레, 엄혜숙 역, 더큰, 2007.
  20. F. Eyssel, D. Kuchenbrandt, and S. Bobinger, "Effects of anticipated human-robot interaction and predictability of robot behavior on perceptions anthropomorphism," pp.61-67, 2011.
  21. 현은자, 윤현민, 강정미, "유아의 교육용 로봇에 대한 인식과 사용경험과의 관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지, 제9권, 제1호, pp.189-205,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