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elfare Activation Strategy for a Urban Park Users

도시공원 이용자들을 위한 공원복지 활성화전략 -부산도시공원 이용자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2.09.03
  • Accepted : 2012.10.05
  • Published : 2012.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welfare in the park through the empirical test on the park facilities, which are the hardware, and the service contents, which are the software, in the urban parks of Busan. Therefore, to identify the welfare of the parks in Busan, this study took 7 urban parks as samples according to the plate method of experts, and conducted the questionnaire survey from 1,500 persons using these parks. The IPA analysis results on the importance and the satisfaction of the users on the form of use, facilities and the contents of the park are as follows. First, the convenient facilities, which are the hardware of the park, are represented as a intensive management item. Second, the importance and the satisfaction for all the facilities and the contents of each park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each park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incipal park users. Such results mean that the Busan urban park operation does not satisfy the expectation of the park users for the welfare facilities in the parks. Therefore, it implies that to activate the urban park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an the present, the aceessibility of the local residents to the information should be reinforc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contents to reflect the region and the desires of the users and through building and managing the homepage of the urban parks.

부산 도시공원의 시설과 서비스 콘텐츠에 대한 경험적 검증을 토대로 공원복지성의 수준을 파악하고 각 개별 도시공원의 전략적 발전방안 제시가 본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전문가의 평판법에 의해 추천된 부산시 7개 도시공원 이용자 1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로 진행되었다. 도시공원 이용형태와 시설 및 콘텐츠의 공원복지수준의 IPA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시 도시공원 이용자의 공원복지성을 구성하고 있는 이용도와 만족도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시공원 선행연구들과 유사하게 공원복지 시설 중 편의시설이 집중관리 항목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산이라는 동일한 지역에 동일한 도시공원이라는 유형이라 할지라도 주 이용자와 소재지의 지역적 특성에 따라서 집중영역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상정된 두 가지 연구문제에서 제기된 유의미한 차이가 모두 인정되었다. 결론적으로 부산의 도시공원 운영에 있어서 이용객들의 공원복지에 대한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한다고 해석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동일한 유형의 도시공원이라 할지라도 집중관리영역의 차이를 공원복지적 관점에서 경험적인 검증을 했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다. 시민참여와 지역네트워크의 새로운 공원운영 매커니즘인 컨저번시가 공원복지 성과의 가속화를 위한 앞으로의 과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하야리아공원포럼, 부산의 꿈, 미세움, 2011.
  2. 김용운, 도시민의 공원이용행태가 공원만족도 및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3. http://www.millenniumpark.org
  4. http://parks.seoul.go.kr/seoulforest
  5. http://worldcuppark.seoul.go.kr
  6. 김현장, 수변형 공원녹지에 대한 이용행태 및 시민의식 조사 : 대구광역시 봉무공원과 수성유원지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7. http://www.centralpark.org
  8. 이성호, "체육공원내의 야외공연장 건립에 관한 법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pp.211-224, 2012.
  9. 김준규외, 사회복지개론, 창지사, 2011.
  10. 오홍진, "북한산 국립공원의 가치보전에 관한 탐색적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5호, pp.293-303, 2009.
  11. 김동필, "변산반도국립공원의 탐방객 만족요인 및 예측모형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3권, pp.169-176, 2009.
  12. 심준영, "공공서비스로서 신.구도심지의 공원 만족도 차이",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제20 권, pp.481-491, 2009.
  13. 최은경, 사회적 약자를 고려한 공원설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송파구 오금공원을 대상으로, 서울市立大學校 都市科學大學院 석사학위논문, 2010.
  14. 조의영, "관광객 요구분석에 따른 복합자연공원 개발방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제6권, 제11호, pp.85-94, 2006.
  15. 조계중, "해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월악산 국립공원에서의 방문객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제11권, pp.1-9, 2007.
  16. 이지연, 서울숲 방문수요 결정요인 분석,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7. 강영애, "IPA를 이용한 국립공원 생태관광프로 그램의 매력성 분석 -자연생태 및 역사문화 프로 그램을 중심으로-", 觀光硏究論叢, 제23권, pp.147-168, 2011.
  18. 임수원, "IPA기법을 통한 스포츠공간으로서의 수변공원 활성화 전략 : 현재와 전망 -대구광역 시 신천둔치수변공원을 대상으로",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38권, pp.213-222, 2009.
  19. 김대원, 도시 산지형 공원 이용행태와 이용만족 요인 : 김해시를 사례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0. 이영경, "경주 국립공원의 이용만족도 평가", 한국산림휴양학회지, 제12권, pp.1-10, 2008.
  21. J. A. Martilla and J. C. James,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Vol.41, No.1, pp.77-79, 1997.
  22. E. Hammit and D. Bixer, "Francis, P. Going beyond Important - Performance Analysis to Analyze the Observance Influence of Park Impact. Journal of Park and Recreation Administration, Vol.14, No.1, pp.45-62,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