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Different is Pragmatism from Utilitarianism?

실용주의는 공리주의인가?

  • Received : 2012.07.05
  • Accepted : 2012.08.10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a case for the availability of pragmatist ethics by showing the differences between utilitarianism and pragmatism. In this paper, drawing on Dewey's view, I show that Bentham and Mill were doomed to failure because they both regarded moral conduct not as a process but as a fixed act, the remarkable differences between their views notwithstanding. Besides, I also show that pragmatism distinguishes itself from utilitarianism by its focus on the aspect of the amendment of a conduct rather than its attainment. Pragmatist ethics works on the assumption that moral conduct arises only in conscious experience. What pragmatists mean by consciousness is not an ability just given to haman, but a function emerging from the human interaction with his environment. Therefore, morality is extended from and restricted by experience, because it is grounded in concrete experience, but not in the transcendental nor a priori realm. Since pragmatism suggests the possibility of "ethics without principles" in that it works through the way which successfully rejects the traditional absolutist ethics, while avoiding the downslide to a nihilistic form of skepticism. Thus, it may serve as a third view that overcomes a seriously divergent situation of the current ethical arguments. In other words, starting from the very nature of experience, pragmatist ethics offers a 'bottom-up' ethics, instead of a 'top-down' one. This reconstructive reading of pragmatism away from utilitarianism is expected to offer a more comprehensive account of our moral experience in the pluralistic world of diverged values.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공리주의와 실용주의의 차이를 명료화함으로써 실용주의 윤리학의 현재성을 옹호하는 데 있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먼저 고전적 공리주의로 분류되는 벤담과 밀이 논점의 상당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동일하게 도덕적 행위를 과정적인 것이 아닌 고정적인 것으로 이해한데서 이론적 한계에 부딪힐 수밖에 없었다는 점을 듀이의 시각을 통해 드러낼 것이다. 나아가 행위의 완성이 아닌 개선적인 측면에 주목하는 실용주의의 기본 입장을 바탕으로 공리주의와 실용주의 윤리학의 차이를 드러낼 것이다. 실용주의 윤리학이 갖는 특징들의 배경에는 도덕이 의식적 경험속에서만 발생한다는 가정이 있다. 여기서 의식은 인간에게 선험적으로 주어진 능력이 아니라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의 산물이다. 그러므로 도덕성은 초월이나 선험이 아닌 구체적인 경험에 기반을 두기 때문에 경험으로부터 확장되고 제약된다. 다원성을 수용하면서도 객관적 지반의 요구를 간과하지 않음으로써 원리 없는 윤리학의 가능성을 제안하는 실용주의는 오늘날 윤리학이 부딪친 커다란 분기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유력한 이론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달리 말하면 그것은 경험으로부터 출발한다는 점에서 위로부터의 윤리학이 아닌 아래로부터의 윤리학을 제안하는 일이다. 공리주의와 구별되는 것으로서 실용주의 윤리학에 대한 이러한 새로운 읽기는 다원적 가치가 공존하는 세계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오늘날 우리의 삶을 보다 포괄적으로 해명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