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with Problem-Based Learning through Book-Making 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책만들기를 활용한 문제중심학습 중학교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평가

  • Received : 2012.06.16
  • Accepted : 2012.08.21
  • Published : 2012.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aching learning process plans with problem-based learning using book-making applying to the "Dressing and Self Expression" unit and evaluate its effect 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for first grade. We developed teaching learning process plans with problem-based learning using book-making including 9 teaching materials for teachers and 15 learning materials for students. Further, we conducted and investigated pre- and post-tests in a form of questionnaires in 167 students from a girls' middle school in Pusan. Teaching learning process plans with problem-based learning using book-making showed positive results in body satisfaction, such as reduction in distortion or less dissatisfaction regarding students' body images. Also, they were found to be less affected by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s appearance. The estimation of students included the positive contents that the class was interested with various materials and it provided them with a chance to understand their body. Meanwhile, minor comments pointed out lack of time and complained of the amount of assignments. With these results, we found that teaching learning process plans with problem-based learning using book-making was an appropriate model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we suggested that this class might be applied to other units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가정과 '옷차림과 자기표현' 단원에 적용할 책만들기를 활용한 문제중심학습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책만들기를 활용한 문제중심학습 교수 학습 과정안, 학생자료 15개, 교사자료 9개를 개발하여 부산광역시 소재의 여자중학교 학생 167명을 대상으로 적용한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수업이 학생들의 신체이미지에 대한 왜곡이나 불만족을 줄여줘 신체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에 대해서는 사회적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 바람직하게 변화되었다.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는 수업이 재미있고, 특별나고, 학습자료가 다양하며, 나의 신체에 대해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등으로 매우 긍정적이었으나 수업시간의 부족과 과제가 많았다고 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본 교수 학습과정안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적합한 모형임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교수 학습 과정안의 타당성 검토와 수업시간의 확보를 통한 학습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후속 연구를 통해 더욱 발전된 책만들기를 활용한 문제중심 학습 교수 학습 과정안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