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 Focusing on Media Literacy

비판적 다문화교육을 위한 가정과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미디어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 Kim, Seo-Hyun (Won Mi High School) ;
  • Chin, Mee-Jung (Dept. of Child Development & Family Studies/Research Institute Human 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서현 (원미고등학교) ;
  • 진미정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생활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1.05.30
  • Accepted : 2012.07.09
  • Published : 2012.09.28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troduce a critical perspectiv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to develop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to apply them in classes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students' multicultural competence for a validity test. For these purposes, family life culture sections from six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were analyzed based on the contents and elements of multicultural competence. After recomposing the family life culture sections, this study developed 12-session teaching-learning materials with an emphasis on media literacy. Among them, 4-session plans were taught in classrooms for 247 students in the 10th grades. To test the validity of the plans, a questionnaires was given to the students as a pre- and post-test.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aired t-tests.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pre and post differences in all sections of multicultural competence except the section of 'general cultural understanding'. This implied that the develop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were effective in helping students overcome ethnocentrism and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cultural differences.

본 연구는 가정교과의 다문화교육 관점을 비판적 다문화교육으로 설정하고, 미디어 리터러시를 통해 다문화역량을 강화하는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 및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목적을 지닌다. 이를 위해 우선 다문화역량 내용 요소를 바탕으로 6종 고등학교 기술 가정교과서의 가족생활 문화 단원을 비판적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재구성한 후, 총 4차시의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수 학습 과정안으로 고등학교 1학년 247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개발한 교수 학습 과정안이 다문화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지에 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설문지로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한 후, 이 중 성실하게 작성된 설문지 237부를 SPSS/WIN(versio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교과의 비판적 다문화교육을 위해 고등학교 기술 가정교과서의 가족생활 문화 단원을 재구성하여 4차시의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특히, 교수 학습 과정안은 미디어 리터러시를 중점적으로 활용하여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일상생활에서 접하게 되는 다양한 문화의 의미를 읽어내고, 해석하고, 평가하며,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교육적 경험을 갖도록 하였다. 둘째, 수업을 실행한 후, 개발된 교수 학습 자료가 다문화역량을 강화시키는가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문화 일반 이해'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수업 전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개발된 교수 학습 자료가 바람직한 다문화 가치를 내재화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수 학습 자료는 학생들의 다문화역량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그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