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ing the procedure of developing hands-on activity and the planning of consisting the contents in Technology Education

기술교육에서 체험활동 과제 개발 절차 탐색 및 내용 구성 방안

  • Received : 2012.08.02
  • Accepted : 2012.09.21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ing the procedure of developing hands-on activity and provide the generalized development procedure adjusted for the technology subject. The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is mainly based on document and experience. exploration of hands-on activity and development procedure of hands-on activity given by preceded researchers and the common factor was derived from them. For the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concept of experience and hands-on activity was examined and the procedure of developing hands-on activity in technology education was reviewed. Second. suggested 3 steps for the procedure of developing hands-on activity in technology education ; preparation. development. improvement and the detailed steps. Third. presented contents included for hands-on activity task materials. For the teachers. those are ; hands-on activity subject. readings before the class. object for the course class. main activity in class courses. material. tools and facility. design brief. reference data. score sheet. detailed class process. For the students. those are; subject for class. matters to be attended to. portfolio and etc.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교육에서 강조되고 있는 체험활동 과제의 개발 절차를 탐색하고 기술 교과의 특성에 맞는 일반화된 개발 절차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한 연구 방법은 주로 문헌 연구에 기초하였으며 체험, 경험, 체험활동에 대한 개념 탐색, 선행 연구자들에 의해 제시된 체험활동의 개발절차를 살펴보고 공통적인 요소를 추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체험과 체험활동의 개념을 살펴보고 기술교육에서 체험활동 과제개발 절차를 고찰하였다. 둘째, 기술교육에서의 체험활동 과제 개발 절차는 준비, 개발, 개선의 3단계 및 세부 단계로 제시하였다. 셋째, 체험활동 과제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 구성으로 교사용 자료로 체험활동 제목명, 수업 전 읽어볼 내용, 개요, 과정별 수업 목표, 수업 과정별 주요 활동, 재료, 공구 및 시설, 설계 개요, 참고 자료, 평가표, 세부 수업과정안 등이며, 학생용 자료는 수업목표, 유의사항, 포트폴리오 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혜(1999). 체험학습의 이론적 기초, 열린교육연구, 7(2), 열린교육연구회.
  2. 권혁수(2003). 중등기술 교과교육에서 체험활동 중심의 생산기술 교육과정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3. 국립국어원(2012). 다음 국어사전, 에서 2012년 7월 15일 검색.
  4. 교육부(2007). 실과(기술 . 가정)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5. 김다라니 (2009). 중학교에서의 기술적 체험활동에 터한 창의적 문제해결 경진대회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6. 김동입(2008). 기술교육에서 문제 해결의 단계별 능력을 기르는 체험활동 과제의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7. 김학진 (2012). 중학교 기술 . 가정 교과의 '뮤직 로봇' 만들기 STEAM 수업자료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8. 문찬원(2012).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지게차 모형' 만들기의 창의적 STEAM 수업자료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9. 박소정 (2012). 기술 . 가정과 "전자 기계 기술 " 단원에서 오토마타 만들기의 STEAM 수업 자료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0. 박일의(2008). 기술교육에서 기술적 문제의 유형에 터한 통신기술 체험활동 과제의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1. 배협(2012). 중학교 발명수업에서 롤링볼 만들기의 STEAM 수업자료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2. 백현일(2012). 중학교 기술교육에서 기술적 수준에 따른 문제 해결 체험 활동 과제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3. 석현희(2012). 기술 . 가정과 '전통기술의 이해' 단원에서 STEAM 수업자료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4. 오규찬(2005). 중학교 기술교육에서 문제 해결능력을 기르는 체험활동 중심의 수업과정안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5. 용운식(2007). 중학생의 빗물이용 인식 확대를 위한 체험활동 중심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6. 이남섭(2012).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의 동아리활동을 위한 기술적 문제해결 활동 과제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7. 이돈희(1993). 교육적 경험의 이해. 교육과학사.
  18. 이상봉(2001). 기술교과 수행평가의 실제. 교원교육, 21(4). 143-154.
  19. 이상봉.배선아(2007). 기술교육에서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의 함양을 위한 수업설계. 실과교육연구, 13(4).
  20. 이상갑(2001). 주제 중심 통합적 접근에 의한 기술교과 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21. 임미가(2012). 기술교과에서 다중지능을 활용한 만들기 체험 활동의 수업모형 개발: 음악지능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2. 임송원 (2009). 2007 개정 교육과정 8학년 '정보통신기술 활용' 단원에서 개념이해 강화를 위한 체험활동 과제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3. 장수웅(2002). 기술교육에서 창의적인 문제 해결 수업을 위한 수행평가 도구의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24. 장수웅(2002). 체험활동 중심 수업을 위한 수행 평가 도구 개발 모형. 교육과정 평가 연구, 5(1), 87-97.
  25. 장지훈(2011). 고등학교 공학기술 과목 '공학적 소양' 단원을 위한 표준화 체험활동 과제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6. 정진우(2007). 문제의 구조화 수준에 따른 중학생용 발명 체험 활동 수업과정안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7. 조경진(2010). 고등학교 기술.가정과 '수송 모형 장치 만들기' 단원을 위한 체험활동 과제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8. 한국교육공학회(2005). 교육공학 용어사전. 서울: 교육과학사.
  29. Candlin, C.(1987). Toward task-basd language learning In C. Caldlin. and D. Murphy. (eds.) Language Learning Task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30. Dewey, J(1910). How we Think. New York: Free Press.
  31. Dewey, J(1916), Democracy and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Education, New York Macmillan, 민주주의와 교육, 이홍우(역, 주석)(1987), 서울: 교육과학사.
  32. Gronlund, N. E. (1978). Stating Behavioral Objectives for Classroom Instruction, Second Edition. 역) 주영숙, 김정휘(1996). 교실수업을 위한 목표진술. 서울: 형설출판사.
  33. ITEA(2000). Standard for Technological Literacy: Content for the Study of Technology Reston, VA: Author.
  34. ITEA(2003). Advancing Excellence in Technological Literacy Student Assessment,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Program Standards. Reston, VA: Author.
  35. J. M. Keller, 송상호(1999). 매력적인 수업설계. 서울: 교육과학사.
  36. Mager, R. F., & Beach, K. M(1967). Developing Vocational Instruction. Belmont California: Fearon Pitman Pub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