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ucation Needs Assessment of Managers for Learning Organization in Small and Mum Enterprises

중소기업 학습조직 담당자의 교육 요구조사

  • Received : 2012.08.01
  • Accepted : 2012.09.21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In this study, to figure out the demands for learning, a survey was conducted on learning organization agents participating in learning organization project supported by public fund, through measuring their awareness level of the role and tasks drawn from the precedent study. This questionnaire was developed with four roles and twenty competencies drawn from the precedent study. After conducting the survey on over 200 small and medium corporations participated in learning organization project, the data was analyzed about the role and competency from 123 answer sheets colle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the awareness of role importance was higher(4.36) than present level(3.73), and was important in order of innovator, operator, spreader, promoter. Second, in competitive importance of learning organization agents, the role of spreader was high, that of promoter was low. Third, in awareness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agents, the demand level was generally high(4.1), but acquired level was generally low, so there was a wide gap between the demand level and acquired level. Forth, From the analysis result of those data about work competency of learning organization agents, learning organization promoter and learning leader, KMS operator ability and outcome were come out to be necessary, and next administrative ability about organization changes were come out to be necessary.

본 연구는 중소기업 학습조직 담당자의 역할과 구체적 과업별 중요도와 수행수준에 대한 학습조직화 지원 사업에 참여한 중소기업의 학습조직 담당자들의 인식수준을 조사하여 교육수요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습조직담당자의 역할을 혁신자, 운영자, 전파자, 촉진자 등 4개로 구분하고 구체적 과업을 20개로 정리하여 5점척도에 응답하게 하는 설문지를 개발하여 200여개의 중소기업에 배포한 결과, 123매의 응답이 회수되어 이를 기초로 교육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조직화 담당자의 역할 중요도(요구수준)에 대한 인식은 현행수행수준(3.73) 보다 높게(4.36) 나타났고, 역할 중요도의 순서는 혁신자, 운영자, 전파자, 촉진자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조직 담당자의 과업별 수행수준에 대한 인식정도를 살펴본 결과 중요도(요구수준)는 전반적으로 중급(4.1) 이상의 높은 수준이 요구된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현재 보유수준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재의 보유수준과 요구수준의 차이를 기초로 담당자에게 함양 또는 보강되어야 할 직무능력을 분석한 결과 학습조직 활성화를 위한 촉진활동, 학습조 리더 육성, KMS운영 및 성과창출 역량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학습조 도입에 따른 조직의 변화관리 역량의 함양과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생, 한상일(2007). 학습조직화 사업의 실시현황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 김주일, 이철기, 김석우 외 (2004). 인력개발담당자 직무분석 및 연수프로그램 개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 유영만(1993). 학습체제로서의 조직 학습조직에 대한 시론적 논의. 교수공학연구. Vol. 3 No.1.
  4. 임세영 (200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정관 개정에 따른 인력개발담당자 양성 및 자격인증 방안.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내부자료.
  5. 임세영, 김석우, 한국은 외 (2008). 학습조직 매니저 양성을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008 연구보고서.
  6. 장승권, 권석균, 박광량 외 (1996). 학습조직의 이론과 실제.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7. 전영욱(2005). 기업체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핵심역량 모델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한국산업인력공단(2012). 2012년도 중소기업 학습조직화 . 체계적 현장훈련 지원사업 매뉴얼. 한국산업인력공단.
  9. 한국산업인력공단(2012), 2011 직업능력개발사업통계연보. 한국산업인력공단.
  10. Garratt, R.(1987). The Learning Organization. London : Fontanan. Collins.
  11. Garvin, D.A.(1993). Building a Learning Organiz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1993 Jul.-Aug.
  12. Hayes, R., Wheelwright, S. & Clark, K.(1998). Dynamic Manufacturing: Creative Learning organization. New York Free Press.
  13. L. M. Spencer & S. M. Spencer (1993). Competency at Work; 민병모, 박동건 , 박종구, 정재창 역 2007. 핵심역량모델의 개발과 활용. 서울: PSI컨설팅.
  14. Marquardt, M. & Reynolds, A.(1994). The Global Learning Organization: Gaining Competitive Adavatage through Continuous Learning. New York, Irwin
  15. Nonaka, Ikujiro(1995). The Knowledge-Creating Company.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장은영 역 1998. 지식창조기업. 서울: 세종출판
  16. Senge, P.M.(1990). The Fifth Discipline: The Art and Practice of Building Learning Organization. New York, Bantam Double day Dell Publishing Group. Inc.
  17. Watkins, K. & Marsick, B.(1993). "Sculpting the Learning Organization". Lessons in the Art and Science of Systemic Change. San Francisco. Jossey-Bass.